• 제목/요약/키워드: Veterinary acupunctur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8초

전침자극이 말의 위와 맹장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stomach and cecum motility in horses)

  • 김병선;최희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3-199
    • /
    • 1998
  •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EA)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were investigated in 6 horses. Three acupuncture points ; Guan Yuan Shu(BL-26), Wei Shu(BL-21) and Da Chang Shu(BL-25) were stimulated for 20 minutes by EA at separate occasions under varying condition ; 2V-1Hz, 2V-5Hz, 2V-30Hz, 4V-1Hz, 4V-5Hz and 4V-30Hz. Myoelectric activity of stomach and cecum was monitored to investigate the gastrointestinal motility. Electromyogram(EMG) recordings were carried out before, 0, 20 minutes after and 40 minutes after the EA stimulation. EMG bipolar electrode was surgically implanted in seromuscular layer of greater curvature in the stomach and between medial band and ventral band in the cecum. The EA stimulation and monitoring were not commenced until 15 days after electrode implantation. The EA stimulation of Wei Shu influenced on stomach motility and that of Da Chang Shu on, cecum motility. However, the EA stimulation of Guan Yuan Shu influenced on both the stomach and the cecum motility. The myoelectrical spike burst amplitude of the stomach and the cecum was significantly(p<0.05) increased by 2V-1Hz stimulation, but the myoelectrical spike burst frequence of the stomach and the cec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2V-30Hz or 4V-30Hz stimulation. The myoelectrical spike burst duration of the stomach and the cecum was significantly lengthened by 4V-30Hz and 2V or 4V-30Hz stimulation, respectively.

  • PDF

홍삼사포닌 투여의 다낭성난소에 의한 불임 치료효과 및 기작연구 (Studies on the Therapeutic Effect and Mechanism of Korean Red Ginseng Total Saponin on Infertility Caused by Polycystic Ovaries)

  • 김세은;오동민;심경미;정문진;임성철;나승열;이윤렬;강성수;문창종;김종춘;김성호;배춘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1호
    • /
    • pp.1-7
    • /
    • 2009
  • 사람에서의 PCO와 몇몇 측면에서 유사한, 실험적으로 유발된 다낭성난소(polycystic ovary, PCO)는 장기간 작용하는 estradiol valerate (EV)에 의해 유발된다. 랫드에서 스테로이드로 유발한 PCO 모델에서 홍삼 총사포닌의 역할에 대한 우리의 이전연구는 전침이 난소의 nerve growth factor (NGF)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실제로 PCO와 관련된 난소 기능부전의 병리기전에서 신경성 요소의 관련성은 난소로의 교감신경유출(sympathetic outflow)의 증가로 인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료제로서의 GTS 투여가 PCO를 유발한 랫드에서 교감신경 활성을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시험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테로이드로 유발한 PCO에 내재하고 있는 병태생리학적 과정과 연관된 NGF 단백질과 NGF mRNA를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PCO가 유발된 랫드에서 EV 대조군은 oil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은 NGF mRNA의 발현을 나타내었으며, GTS 투여군은 EV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NGF mRNA의 발현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NGF 단백질은 oil 대조군에 비해 EV 대조군과 GTS 투여군에서도 유의적인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EV가 설치류에서 낭종 형성과 무배란을 유발하는 병리학적 단계의 구성요소일 수 있는 난소의 신경향성 단계(neurotrophic state)를 조절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흰쥐 혈관 내에 존재하는 봉한관의 호은성 섬유 (Argyrophilic Fibers of Intravascular Threadlike Structures in Rat)

  • 이병천;남태정;정현민;박은성;백구연;성백경;소경순;윤여성;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16
    • /
    • 2008
  • Objective: We took intravascular threadlike structures from rat aortas to investigate their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consistent with the intravascular Bonghan duct. Methods: Gomori s silver impregnation method, in addition to routine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was applied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intravascular threadlike structures. Results: These two staining methods clearly showed that the intravascular threadlike structures had unique features of argyrophilic reticular fibers and heavily stained oval or rod-shaped nuclei in them. Conclusion: The results are strong evidences for identifying threadlike structure as the intravascular Bonghan duct.

전기자극이 Sprague-Dawley rat 중뇌의 Tyrosine Hydroxylase 함유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연구(중뇌회백질 및 적색핵뒤영역)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effects to tyrosine hydroxylase containing cells of Sprague-Dawley rat midbrain by electro acupuncture stimulus (Central gray and Retrorubral field))

  • 김동대;김수한;송치원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13-521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change Tyrosine-Hydroxylase immunoreactive(TH-IR) cells in the Central gray and retrorubral field of the male SD rats. 9 healthy and normal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3 SD rat in each group. The one group has been stimulated by electroacupuncture(EA, 2Hz) for 30min and the other group by EA for 1hr 30min and control group has been stimulated. TH-IR cells were found in the Central gray(CG) and Retrorubral field(RF). The numbers of TH-IR cells of CG and R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30 min (CG $6.2{\pm}0.83$, RF $1.4{\pm}0.55$)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CG $24{\pm}3.16$, RF $6.4{\pm}0.55$) and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hr 30min(CG $75.6{\pm}4.51$, RF $18.8{\pm}0.89$) than 30min. These results show that TH is related into CG and RF in response to electrical stimulation.

  • PDF

개에서 전침에 의한 구강 수술 시 진통효과 (Analgesic Effects on the Oral Cavity by Electroacupuncture in Dogs)

  • 최경하;이재연;박창식;정성목;김덕환;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68-573
    • /
    • 2009
  • 개에서 구강 수술 시에 있어서, xylazine 또는 전침 진통을 적용시의 진통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Glucose (GLU),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및 blood urea nitrogen (BUN) 혈액화학치의 변화와 Vital signs (호흡수, 맥박수, 심박수) 그리고 통증 반응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8마리의 건강한 2년령의 잡종개를 사용하였으며, 각 4마리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xylazine 또는 전침 군에 배정하였다. Xylazine 군의 개는 체중이 3.6${\pm}$1.0 kg 이었으며, xylazine 1.5 mg/kg을 근육주사 하였으며, 전침 군의 개는 체중이 3.9${\pm}$1.0 kg 이었으며, 최초 5분 동안은 1 volt (10-15 hz)를 적용하였고, 그 이후에는 1-9 Volts (25-30 hz)를 유지시켜서 총 60 분의 전침을 적용하였으며, 사용된 경혈은 삼간 (LI-3), 합곡 (LI-4) 및 하관(ST-7) 이었다. 모든 개들은 약물 처치 또는 전침 실행에 있어서, 투여 전 및 투여 후10, 25, 40, 55 및 120분에 검사하였다. 전침 군의 평균 직장체온은, 투여 후 25, 40 및 55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군의 평균 심박수는, 투여 후 10, 25, 40 및 55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 군의 평균 호흡수는, 투여 후 55 및 120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군의 평균 GLU는, 투여 후 55 및 120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 군의 평균 통증지수 총계는, 투여 후 10, 25, 40 및 55분에 있어서 xylazine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전침 군의 진통이 xylazine 군에 비하여 더욱 양호 하였다. 침술 유도된 외과적 진통과 관련된 어떠한 부정적인 생리학적 영향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허약한 환자에서 구강의 소 수술에 있어서, 이들 경혈을 사용한 전침 진통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흰쥐의 간 장기 표면에서 관찰되는 프리모 노드와 미성숙 간조직과의 조직학적 비교연구 (Histological Comparison Study with Primo Node and Immature Liver Tissue on Liver Surface in Rat)

  • 류연희;이성원;황성연;김민수;반효정;최선미;김재효;손인철;안성훈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1호
    • /
    • pp.47-52
    • /
    • 2011
  • 목적 : 프리모 모드와 미성숙 간조직에 대한 조직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흰쥐에서 간절제한 후, 간장기 표면에서 관찰되는 프리모 모드와 그와 유사한 미성숙 간조직을 H&E, Oil red O, Masson trichrome and van Gieson 염색방법을 통해서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 : 상기 실험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직의 일반적인 특징을 관찰할 수 있는 H&E 염색결과, 프리모 노드에서는 많은 수의 조그마한 동(sinus)이 관찰되었고 적혈구나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의 분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반대로 미성숙 간조직에서는 동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혈관의 분포와 적혈구가 관찰되었다. 2. 양 조직의 지방성분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한 Oil red O 염색결과, 프리모 노드에서는 지방성분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미성숙 간조직에서는 관찰되었다. 3. 양 조직의 콜라겐성분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한 Masson trichrome and van Gieson 염색결과, 프리모 노드에서는 약간의 콜라겐 성분이 관찰되었으나 elastic 성분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미성숙 간조직에서는 콜라겐 성분과 elastic 성분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상기 결과는 프리모 노드와 간조직과는 조직학적 성질이 다른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콜라겐 성분의 적은 결과는 프리모 노드가 불규칙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이유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프리모 노드의 특성에 대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개에서 Isoflurane 마취시 SP-6 혈위의 전침자극시간이 최소폐포농도 및 심맥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SP-6 with Different Durations on Minimum Alveolar Concentration and the Cardiovascular System under Isoflurane Anesthesia in Dogs)

  • Jeong, Seong-Mok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3-28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개에서 전침술이 isoflurane 마취시의 MAC 및 심맥관계에 미치는 영향 및 전침처치시간에 따른 차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19개월령, 수컷 비글견 8두를 사용하였다. 대조군, 비혈위 전기자극군, 30분간 전침군(SP-6) 및 연속 전침군(SP-6C)으로 나누어 군 당 5두씩 무작위로 최소 7일간의 휴약기를 두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침처치는 SP-6 혈위에 2-4V 20Hz로 30분간(SP-6)또는 MAC의 측정이 끝날 때 까지 연속적으로(SP-6C) 실시하였다. SP-6C군에서의 전침자극시간은 70-90분이었다. Isoflurane으로 마취를 유도한 후 전침을 실시하고 MAC와 cardiovascular parameters를 측정 하였다. 전침 후 MAC는 SP-6 및 SP-6C 군에서 각각 21.3$\pm$8.0% 및 16.1$\pm$4.6% 씩 유의적으로 저하되었으나(p<0.05) 전침시간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비혈위 전기자극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p<0.05). 전침처치 후 심맥관계에는 유의성 있는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SP-6혈위에 대한 전침은 개에서 심맥관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isoflurane의 MAC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30분간의 전침자극으로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중완혈에서 췌장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순환적 연결 (Novel circulatory connection from the acupoint Zhong Wan(CV12) to pancreas)

  • 김민수;성백경;;최천주;김민수;강대인;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2008
  • 목적 : 피부의 경혈(CV12)로부터 췌장으로 액체가 흘러가는 경로가 있음을 보임. 방법 : 생쥐의 중완혈에 푸른색 염료(Alcian blue) 1% 용액을 주입하고, 2시간이 경과한 후 개복하여 내장장기의 표면들을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결과 : 췌장 위에 있으며, 췌장의 머리부분과 꼬리부분, 췌장과 위장, 췌장과 비장을 연결해주는 망막상의 지방줄(omental fat band)에 Alcian blue가 도달, 착색되었다. 결론 : 중완혈로부터 췌장을 경과하여 망막상의 지방줄에 이르는 액체 순환경로가 있다.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에서 투사(投射)되는 신경원(神經元)의 표지부위(標識部位)에 대(對)한 연구(硏究) (Central Localization of the Neurons Projecting to the Urinary Bladder Meridian)

  • 김정연;전홍재;이상룡;이창현;정옥봉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7권1호
    • /
    • pp.81-100
    • /
    • 2000
  • Transsynaptic tracer이며 신경친화성 virus인 pseudorabies virus(PRV)를 방광(膀胱),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 및 중추(中極)에 주입(注入)한 후 4일간의 생존기간이 경과한 후 희생시켜 면역조직화학침액법(免疫組織化學染色法)에 의하여 뇌척수에 표지된 공통된 영역들을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광벽(膀胱壁),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 및 중추(中極)에서 척수에 투사된 영역은 흉수(胸髓), 요수(腰髓) 및 천수(薦髓)에 모두 표지되었으며 공통적으로 표지된 부위는 척수(脊髓)의 층판 IV, V, VII, IX, X영역에 표지되었으나 주로 강하게 표지된 공통된 영역은 층판 VII의 중간외측핵, 가슴기둥 및 층판 X영역이었다. 2. 방광벽(膀胱壁),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 및 중추(中極)에서 뇌(腦)에 투사된 공통된 영역은 연수(延髓)에서는 A1 noradrenalin cells/C1 adrenalin cells/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솔기핵의 경우 아핵인 불명솔기핵, 창백솔기핵 및 큰솔기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다리뇌에서는 청색반점, Barrington's nucleus, A5세포군 및 삼차신경운동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중뇌에서는 눈돌림신경핵, 눈돌림신경섬유 및 다리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간뇌에서는 시상하부(視床下部)의 뇌실(腦室)곁핵과 시상의 뇌실곁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대뇌(大腦)에서는 septal nucleus, 피질(皮質)의 뒷다리영역, 마루엽, 이마엽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방광(膀胱)에서 투사되는 뇌척수의 영역과 방광유(膀胱兪)나 위중(委中)에서 투사되는 공통된 표지영역들은 방광(膀胱)과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그리고 그 경락(經絡)의 경혈(經穴)들이 어떤 상관성(相關性)을 가지고 연결(連結)되어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특히 방광(膀胱)과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에서 투사된 공통된 표지영역, 즉 배뇨중추인 Barrington's nucleus에 표지되는 것은 내장(內臟)-경락(經絡)이 central autonomic pathway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었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결과(結果)라고 사려(思慮)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