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ssel wall MRI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High-Resolu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Intracranial Vertebral Artery Dissecting Aneurysm for Planning of Endovascular Treatment

  • Chun, Dong Hyun;Kim, Sung Tae;Jeong, Young Gyun;Jeong, Hae Wo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8권2호
    • /
    • pp.155-158
    • /
    • 2015
  • The equipment and techniques associat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have rapidly evolved. The development of 3.0 Tesla MRI has enabled high-resolution imaging of the intracranial vessel wall. High-resolution MRI (HRMRI) can yield excellent visualization of both the arterial wall and lumen, thus facilitating the detection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features of intracranial arterial dissection. In the present report, we describe the manner in which HRMRI affected our endovascular treatment planning strategy in 2 cases with unruptured intracranial vertebral artery dissection aneurysm. HRMRI provides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vessel wall and the lumen of the unruptured intracranial vertebral artery dissecting aneurysm, which was treated by an endovascular approach in the 2 current cases.

경동맥 혈관 MRI에서 라디오믹스를 이용한 동맥경화증 진단 모델 (Diagnosis Atherosclerosis Model Using Radiomics Approach in Carotid Vessel MRI)

  • 김종훈;박현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9-290
    • /
    • 2022
  • 동맥경화증은 경동맥 혈관 벽이 두꺼워지는 질병으로 진단을 위해 혈관 벽의 두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동맥 MRI 영상에서 324개의 라디오믹스 특징을 추출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동맥경화증을 진단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라디오믹스 특징을 통해 로지스틱 회귀, 서포트 벡터 머신, 랜덤 포레스트, XGBoost의 총 4가지 분류 모델을 학습하였다. 5-fold 교차 검증에서 가장 높은 성능의 모델인 XGBoost는 정확도 0.9023, 민감도 0.9517, 특이도 0.8035, AUC 0.8776의 결과값을 보여준다.

  • PDF

적혈구 증가증으로 인한 급성 뇌경색에서 경동맥 혈관벽 자기공명영상 소견: 증례 보고 (Carotid Vessel Wall MRI Findings in Acute Cerebral Infarction Caused by Polycythemia Vera: A Case Report)

  • 박준경;이은자;김동억;이현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78-183
    • /
    • 2022
  • 진성적혈구증가증은 드문 골수 증식성 질환이며 제어되지 않은 적혈구 생산으로 인해 절대 적혈구 질량이 증가한다. 진성적혈구증가증은 큰 혈관의 협착 또는 폐색과 함께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에서 뇌경색에 대한 많은 증례 보고가 있다. 그러나 합병증으로 뇌졸중이 발생한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의 좁아진 혈관에서 혈관벽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보고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뇌졸중으로 인해 입원한 후 PV로 진단된 30세 남성의 경동맥 VW-MRI 소견에 관해 보고하고자 하며, 이는 우리가 아는 한 영어로 된 첫 번째 보고이다.

척추동맥폐색의 기전 확인에서 고해상도MRI의 유용성:증례 보고 (Usefulness of High Resolution MRI in Confirmation of Mechanism:A Case Report)

  • 허욱;강현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39-244
    • /
    • 2018
  • 뇌경색의 주요 원인인 동맥 박리와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동맥 폐색 모두 고식적 자기공명혈관조영술이나 컴퓨터단층혈관조영술에서 혈관이 막힌 것처럼 보이지만, 발생 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치료 방향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최근 고해상도MRI가 발달하면서 비침습적으로 혈관벽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임상적으로 혹은 영상학적으로 동맥 박리가 의심되는 환자에게 고해상도MRI는 매우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으나, 아직 두 질환의 감별점이 완전히 적립 되지는 않았다. 저자들은 컴퓨터단층혈관조영술에서 척추동맥폐색이 관찰된 두 환자에서 고해상도MRI를 통해 척추동맥박리와 죽상경화증의 차이점을 찾아보았고, 이를 추적 관찰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혈관벽의 형태, 내막 판, 이중 내막, 혈관벽내 혈종, 가성 동맥류, 동맥벽의 초승달 모양 고신호 강도와 같은 동맥박리의 특징뿐만 아니라 저자들이 경험한 증례와 같이 긴 협착 길이, 폐쇄 부위 혈관의 재개통도 동맥 박리를 시사하는 소견이라고 판단하였다. 고해상도MRI를 통해 확인된 추가적인 동맥박리의 특징과 함께 향후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진단 기준이 명확해 진다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High-Resolution Intracranial Vessel Wall MRI Findings Among Different Middle Cerebral Artery Territory Infarction Types

  • So Yeon Won;Jihoon Cha;Hyun Seok Choi;Young Dae Kim;Hyo Suk Nam;Ji Hoe Heo;Seung-Koo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3호
    • /
    • pp.333-342
    • /
    • 2022
  • Objective: Intracranial atherosclerotic stroke occurs through various mechanisms, mainly by artery-to-artery embolism (AA) or branch occlusive disease (BOD). This study evaluated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middle cerebral artery (MCA) plaques and perforating arteries among different MCA territory infarction types using vessel wall magnetic resonance imaging (VW-MRI).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nrolled patients with acute MCA infarction who underwent VW-MRI. Thirty-four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infarction pattern: 1) BOD, 2) both BOD and AA (BOD-AA), and 3) AA. To determine the factors related to BOD, the BOD and BOD-AA groups were combined into one group (with striatocapsular infarction [BOD+]) and compared with the AA group. To determine the factors related to AA, the BOD-AA and AA groups were combined into another group (with cortical infarction [AA+]) and compared with the BOD group. Plaque morphology and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ating artery orifice and plaque were evaluat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sults: The plaque margin in the BOD+ group was closer to the perforating artery orifice than that in the AA group (p = 0.011), with less enhancing plaque (p = 0.030). In the BOD group, plaques were mainly located on the dorsal (41.2%) and superior (41.2%) sides where the perforating arteries mainly arose. No patient in the AA group had overlapping plaques with perforating arteries at the cross-section where the perforator arose. Perforating arteries associated with culprit plaques were most frequently located in the middle two-thirds of the M1 segment (41.4%). The AA+ group had more stenosis (%) than the BOD group (39.73 ± 24.52 vs. 14.42 ± 20.96; p = 0.003). Conclusion: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ating artery orifice and plaque varied among different types of MCA territory infarctions. In patients with BOD, the plaque margin was closer and blocked the perforating artery orifice, and stenosis degree and enhancement were less than those in patients with AA.

Increased Wall Enhancement Extent Representing Higher Rupture Risk of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 Jiang, Yeqing;Xu, Feng;Huang, Lei;Lu, Gang;Ge, Liang;Wan, Hailin;Geng, Daoying;Zhang, Xiaol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2호
    • /
    • pp.189-197
    • /
    • 2021
  •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eurysm wall enhancement and clinical rupture risks based on the magnetic resonance vessel wall imaging (MR-VWI) quantitative methods. Methods : One hundred and eight patients with 127 unruptured aneurysms were prospectively enrolled from Feburary 2016 to October 2017. Aneurysms were divided into high risk (≥10) and intermediate-low risk group (<10) according to the PHASES (Population, Hypertension, Age, Size of aneurysm, Earlier SAH history from another aneurysm, Site of aneurysm) scores. Clinical risk factors, aneurysm morphology, and wall enhancement index (WEI) calculated using 3D MR-VWI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 In comparison of high-risk and intermediated-low risk groups,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neck width (4.5±3.3 mm vs. 3.4±1.7 mm, p=0.002), the presence of wall enhancement (100.0% vs. 62.9%, p<0.001), and WEI (1.6±0.6 vs. 0.8±0.8,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rupture risk.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WEI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high rupture risk (odds ratio, 2.6; 95% confidence interval, 1.4-4.9; p=0.002).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can efficiently differentiate higher risk aneurysms (area under the curve, 0.780; p<0.001) which have a reliable WEI cutoff value (1.04; sensitivity, 0.833; specificity, 0.67) predictive of high rupture risk. Conclusion : Aneurysms with higher rupture risk based on PHASES score demonstrate increased neck width, wall enhancement, and the enhancement intensity. Higher WEI in unruptured aneurysms has a predictive value for increased rupture risk.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초기 증상으로 나타난 교뇌경색의 증례 보고: 자기공명영상 및 디지털감산 혈관조영술에서의 진단 단서 (A Case Report of Pontine Infarction as an Initial Manifestation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iagnostic Clues from MRI an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 정미선;변준수;임영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281-1286
    • /
    • 2021
  • 척추기저동맥의 혈류공급감소로 인한 뇌간 경색은 매우 드문 전신성 루푸스 환자의 초기 증상으로, 경색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매우 작은 기저동맥 분지인 교뇌공급혈관의 박리성 동맥류는 보고된 사례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디지털감산 혈관조영술과 고해상도 혈관벽 자기공명영상를 이용하여 작은 교뇌공급혈관의 박리성 동맥류의 진단과 추적관찰 중 치유된 20세 여성의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전신성 루푸스의 진단은 신경학적장애의 유무와 혈액화학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다. 추적 고해상도 혈관벽 자기공명영상에서 환자의 교뇌천공지의 박리성동맥류는 폐색되어 있었고 우측 척추동맥의 박리성동맥류는 치유되어 보이지 않았다. 환자는 퇴원 시 수정랭킨척도 점수가 1점으로 증상 개선을 보였으며 3개월과 12개월 추적관찰에서도 증상이 악화되지 않고 1점을 유지하였다.

환자 특정 경동맥 분기부 모델 혈류유동에 대한 입구부 이차곡률의 영향 (Influence of Inlet Secondary Curvature on Hemodynamics in Subject-Specific Model of Carotid Bifurcations)

  • 이상욱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9-486
    • /
    • 2011
  • 의료영상을 기반으로 한 경동맥 분기부 혈류유동장 전산유체역학 해석의 수행에 있어 입구부 경계 조건 도출을 위한 환자 특정 시간 변동 상세 유속 분포를 얻는 것은 일반적으로 쉽지 않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경우 계측된 혈류량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축대칭 완전발달 유속 분포를 적용하게 된다. 그러나 MRI로 직접 계측한 총경동맥 혈류 유속분포를 적용한 기존의 연구에서 입구부 유속분포 경계 조건이 경동맥 분기부 혈류 유동장 해석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였으며, 특히 계측된 혈류 유속분포가 전형적인 Dean type 유동과 다른 독특한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독특한 형태의 유속 분포가 경동맥 입구부 형상의 이차곡률에 의해 생성됨을 보이고, 직접 경동맥 분기부 유동장 CFD 해석의 경계 조건으로 적용하여 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충분한 길이의 실제 경동맥 입구부 형상을 적용 할 경우, 입구부 경계 조건의 영향이 의료영상으로 부터 혈관 형상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유기되는 영상 처리 오차에 의한 영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