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nacular Desig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4초

버네큘라 디자인에 기초한 지역적 생태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ional Ecological Architecture based on Vernacular Design)

  • 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37-45
    • /
    • 2005
  • In the 21st century modem architecture, not only environmental problem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ut also two subject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The modern application of vernacular design which is the design model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a people and tradition can be a solution for localiz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Vernacular design gives many ideas in respect of organic art and design, the dilemma of modern architecture, and practical solution of its problems, and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ource of modern ecological architectu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types of vernacular design and confirm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is design as the important element of modem regional ecological architecture. In addition, through case studies, it will demonstrate that the regional ecological architecture based on vernacular design can solve new multidimensional architectural problems in the 21st century.

디자인 아이디어로서의 버나큘러 유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rnacular Humor as Design Ideas)

  • 박영원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4-95
    • /
    • 1999
  • 문화의 발전과정에서 새로운 문화창조의 한계에 도달하거나, 대공황이나 세기말처럼 퇴행적 상황에서는 복고주의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한국도 절대적인 경제침체의 영향으로 복고주의적 경향이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문화전반에 유행하고 있다. (중략)

  • PDF

현대 건축 디자인에 토속적인 성향의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roduction of vernacular Phenomena into Modern Architecture Design)

  • 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호
    • /
    • pp.126-134
    • /
    • 1998
  •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e could find rough and stiff feeling expression as a special phenomena. This style is combined regionalism to the modern spirit that we could imagine such a phenomena of the modern design toward vernacular culture. it's conception is conformed to the regionalist architecture in that period and the 3rd world experiences, From 1930s resident house Le corbusier introduced vernacular phenomena that considered productional condition of the region and regional environment This tendancy attempted by few young architects. they built building in vernacular phenomena based on the 3rd world experiences and Le Corbusier's architecture. After Le Corbusier's unite d'hbitation in Marseille Ando finishing with diversified material. but Le Corbusier's intention concerned not only to finishing of material but also to practical and human building as he had experienced in vernacular architecture.

  • PDF

후기산업사회의 버내큐러 디자인문화와 산물의 특징적 경향1 - 산물의 실례: 유소년 버내큐러 놀이문화 - (Characteristic Trends of Vernacular Design Culture and Products in Post-industrial Society - a case of products: vernacular playing-culture of children and Infants -)

  • 진선태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9-188
    • /
    • 2003
  • 후기 산업사회에서도 자발적 문화인 버내큐러 디자인은 그 유용성을 가지고 기성품과 공존해 온다. 이러한 후기산업사회에서의 버내큐러 디자인산물에 대한 연구와 그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디자인생산자의 역할로서 의 사용자와 산물의 관계를 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2장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서 창조적 사용자 문화와 버내큐러 디자인 문화의 관계성을 연결하는 정의와 이해, 속성 ,주류디자인과의 차이성을 파악하였으며, 3장에서는 일상거리와 공사현장에서의 산물사례 실증을 통해 디자인산물의 일반적 특징과 과거와의 차이성을 살펴보았고, 4장에서 중심사례로서 60, 70년부터 현재까지의 유소년의 놀이문화가 사회경제적 배경, 문화를 통해 발생시키는 산물의 디자인 방식, 문화적 특징을 시대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인간이 필요로 하는 모든 인공물은 레디메이드(read-made)된 형태로 존재하나, 사용자의 모든 행위와 대응하기에 적절치 않고, 보완적 형식인 버내큐러 디자인산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상위문화와 하위문화가 공존하며 발전하는 것과 같이 디자인에서의 주류적 디자인과 버내큐러 디자인은 그 공존적 연결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교차하며 나아간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버내큐러 디자인에 나타나는 디자인적 특징으로서 환경생태학적인 롱라이프디자인 (long life design), 환경친화적 디자인(ecology design), 재활용 (recycling) 개념 등은 미래적 디자인방향에 유용한 특징이며, 즉 시대응적이며 신속하고 유연한 프로세스는 기존의 시스템적 어프로치, 계획성 마케팅의 통제적인 과정을 극복하는 대안적 프로세스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유소년놀이문화의 버내큐러 디자인산물은 과거 순수형태에서 테크노 변형 놀이산물 문화로 변형되어왔는데, 이는 기성적 디자인이 갖지 못한 다양함을 보완하는 대안적 산물이며, 독립적 문화로서 지속성을 가져야 하는 디자인문화이다.

  • PDF

현대 건축공간에서 버네큘러 주거 냉방기법의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Passive Cooling Technolog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윤재영;허용석;허범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2-29
    • /
    • 2010
  • Recent days, transition to ecological thought is being accelerating by environmental impact with a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ymptom is no exception in architecture area. So is vernacular design affecting on modern architecture in many ways in terms of economical aspect and eco-friendly environment as well. Natural energy like solar power, environment, and terrestrial heat that applied in vernacular architecture is also widely accepted in name of 'sustainable energy' of which a design applied with ventilation and airing of natural wind is very useful & pragmatic in terms of economical reas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a relation between vernacular architecture and natural wind and compared it with traditional type and its feature of ventilation & airing. Ventilation & airing applied in the pas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methods by convection, natural element, and architectural type. All these methods gave some pleasant felling indoors when there were no artificial energies. Even in modern age, such a ventilation & airing is being used with traditional type in different variety of materials, and it will be developed with modern technology without any extra cost in terms of sustainable expansion, and opened for further researches.

현대 패션에 나타난 버내큘러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ernacular Designs in Modern Fashion -Focused on Korean Designers-)

  • 주신영;전재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96-809
    • /
    • 2014
  • This study identifies formativeness and the Korean consciousness of the vernacular design in a Korean designers' collection in order to discover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expression elements. The study is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and an analysis of cases collected from Korean fashion designers' clothes. Research is limited to international collections of clothes presented by Korean fashion designers since 2,000. The process of Korean vernacular designs in fashion were analyzed for formativeness in form, color, pattern and detail. The research findings identified formativeness and Korean's consciousness of modern fashion designs that reflect vernacular designs as follows. First, they are round, flexible line and shape based on assimilated with nature, rhythmic curve to express life force and asymmetry based on an ecstatic world based on nature. Second, a white color explained the pure mind and racial peculiarities in regards to the five colors that expressed the thinking of traditional rituals such as prayers for comfort of life and ancestor worship. Third, there were patterns around shape of nature, praying, and Korea culture. Finally, there were skills of Korean traditional handcrafts such as embroideries, knit-works, gold foils, and quilts where clothes expressed the hardship of life and strong willpower to overcome. In conclusion, the clothing of Korean vernacular designs contains characteristics such as natural beauty, decorativeness, shamanism, and eclecticism.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의 제품디자인 수용을 위한 이해 (The Understanding for Acceptance of Kitsch and Vernacular concepts in Product Design)

  • 류승호;문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99-208
    • /
    • 2005
  • 본 연구는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이 앞으로의 산업사회 속에서 제품디자인을 위한 문화 요소로서 존재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왜냐하면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의 기능과 미적가치는 공예 적 성격의 제품뿐만 아니자 일반 제품디자인 분야들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모더니즘, 키치, 버내큘러를 주된 범위로 한정하고 그 상호관계를 분석한다. 기능주의에 반대하여 대중적인 취향에 접근한 포스트모더니즘은 문화적 다원주의를 표방했으며, 그 노력의 일부는 유희적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들이 장식을 배제하지 않거나 또는 특정 사물의 상징적 형태를 구현하여 인간의 감성을 자극한 것은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이 갖는 상징성과 지역성, 또는 다원화와 유사하다. 키치는 특정한 사조에 속하지 않는 자유로운 양식으로서, 디자인 및 기타의 장르들에 영향을 끼쳐 온 메타문화이므로 키치는 제품이나 디자인과 동등한 위치를 갖지 않는다. 제품디자인에서의 키치는 기존 사물의 이미지를 모방하는 행위로서, 모방한 결과와 그에 따른 분위기에 따라 디자인의 유희성이 나타날 수 있다. 비록 모방의 결과가 저급한 것이 되더라도 키치를 통해 인간이 즐거움을 느낀다면 그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방향과 공통되는 것이다 제품의 키치 적으로 느껴질지의 여부는 디자인의 분위기에 의해 좌우되는데, 그 것은 객관적으로 정량화 할 수 없으며 사람에 따라 다르게 느껴진다. 상징성과 지역성을 갖는 키치라 버내큘러는 일반의 필요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된 것으로서 키치가 소비자 취향 중심이라면 버내큘러는 문화적 전통 중심이다. 키치는 제품의 기능이나 디자인 컨셉을 구체화차는 상징성을 갖는데 이것은 인간과 제품 사이의 의사소통 도구이다. 버내큘러는 향토적인 성격을 가지며, 지리적 생활환경과 문화적 차이에 따라 여러가지의 양식을 갖는다. 따라서 버내큘러 적 디자인은 계승된 전통적 생활양식들을 반영한다. 복고적 향수, 지역성, 문화적 다원주의, 유희성, 상징성에 의해 이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하기 또는 병렬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은 서구 디자인에 민족적 성격을 가미한 것으로 오해되기 쉽지만, 포스트모던디자인의 다원주의를 차용하여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 속에서 과거를 현대화하려는 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제품디자인 뿐만이 아닌 다른 다양한 분야들에게로 그 범위가 확대되어 디자인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Rethinking the Skyscraper in the Ecological Age: Design Principles for a New High-Rise Vernacular

  • Wood, Antony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91-101
    • /
    • 2015
  • This paper investigates tall buildings from an aesthetic and social, as well as commercial and environmental, viewpoint; as contributing elements in the fabric of a city. Against a backdrop of the large-scale homogenization of cities architecturally around the world, the paper suggests ten design principles which, if adopted in skyscraper design, could result in tall buildings which are more appropriate to the place in which they are located - physically, environmentally, culturally, socially and economically. In doing this, it promotes the need for a new vernacular for the skyscraper in each region of the world, and suggests this would have significant ecological, as well as social, benefits.

한국형 경량전철의 실내 공간 배치를 위한 디자인 요소 추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design elements for developing interior layout in Korean lightrail system)

  • 최출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8호
    • /
    • pp.182-191
    • /
    • 2003
  • Until now, the carriage's design has been performed by built-carriage engineers in urban railway company without the notion of railway design. Furthermore, there is no prominent change the shape of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between the 1970's trains and the latest one. In terms of the notion of interior space,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also region of each countries. Especially, Among Orientals, Korean is not good at utilizing the small space and react effectively as compared to Japanese. Therefore, the interior space of public transportation needs to be relatively developed to highly reasonable level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pply vernacular design elements for developing interior design in Korean lightrail, which is the next generation public transportation. In order to develope ideal interior design, the interior layout in carriage considers the emotional aspect as well as functional one. Also, the research of vernacular design in urban train can provide national character and traditional design and can make a success in a practical use and a visual effect. This study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vernacular design elements for developing the design-processed model will be proposed the outline of interior layout and the shape of interior trims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