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apamil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3초

생쥐 난자성숙에 미치는 $Ca^{++}$ Ionophore와 $Ca^{++}$ Channel Blocker의 영향 (Effect of $Ca^{++}$ Ionophore and $Ca^{++}$-Channel Blocker on the Mouse Oocyte Maturation)

  • 배인하;김현숙;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9권2호
    • /
    • pp.105-116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examined to clarify the role of calcium ion as a factor for the maturation of mouse oocytes. Follicles and cumulus-enclosed oocytes were isolated with two sharp needles under a stereomicroscope from female mouse (ICR) ovaries which were treated PMSG 5 IU 45-46 hours previously. Isolated follicles and cumulus-enclosed oocytes were cultured for 14-16 hours in an organ culture system at $37^{\circ}C$, 5% $CO_2$ in air and 100% humudified in incubator. MHBS was the basic medium used from which A23187, verapamil, $NiCl_{2.}$ $6H_2O$ and $LaCl_{3.}$ $7H_2O$ were added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groups. In follicle- or cumulus-enclosed oocytes wre cultured in these differently treated media.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1. The calcium ionophore A23187 directly or indirectly seems to stimulate GVBD of follicle-enclosed mouse oocyte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ionophore A23187 1ed to an increase in oocytes degeneration from the cumulus-enclosed mouse oocytes. 2. The organic $Ca^{++}$ channel blocker, verapamil does not induce GVBD of follicle-enclosed mouse oocytes. Specially, higher dose of 1 mM verapamil induced GVBD of follicle-enclosed mouse oocytes. However, cytoplasm of GVBD oocytes in 1 mM verapamil treated groups appeared shrunk. In the cumulus-enclosed oocytes, polar body formation was reduced in verapamil treated groups and degeneration increased. Verapamil inhibit oocyte maturation (polar body formation). 3. The $Ca^{++}$ inhibitor, Nickel ($NiCl_{2.}$ $6H_2O$) inhibits maturation of the follicle-enclosed oocytes. In the cumulus-enclosed oocytes the progression to MII (PB formation) was reduced and degeneration of mouse oocyte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Ni^{++}$ increase. The results indicates that nickel act as an inhibitor of calcium. 4. The $Ca^{++}$ inhibitors, Lanthanum ($LaCl_{3.}$ $7H_2O$) has shown different effect from that of nickel. In follicle-enclosed oocytes, 0.01mM lanthanum induced maturation of mouse oocytes. Polar body formation was reduced in the cumulus-enclosed oocytes all lanthanum treated group.

  • PDF

흰쥐 뇌하수체 전엽세포에서 PKC나 cAMP에 의한 LH 분비 및 $LH{\beta}$ Subunit mRNA 증가에 미치는 $Ca^{++}$의 영향 (Effects of Extracellular $Ca^{++}$ on PKC or cAMP-stimulated Increases in LH Release and $LH{\beta}$ Subunit mRNA Levels in Rat Anterior Pituitary Cells)

  • 박덕배;김창미;천민석;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7-355
    • /
    • 1996
  • 흰쥐 뇌하수체 전엽배양세포에서 PKC나 cAMP에 의한 LH 분비와 $LH{\beta}$subunit mRNA 증가과정에서 세포외 $Ca^{++}$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하여 phorbol ester와 forskolin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와 $LH{\beta}$ subunit mRNA 수준에 미치는 EGTA와 verapami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Forskolin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와 $LH{\beta}$ subunit mRNA 수준은 $Ca^{++}$ chelator인 EGTA나 $Ca^{++}$ 채널차단제인 verapamil의 처리로 세포외부로부터 $Ca^{++}$의 이동을 억제시켰을때 모두 감소하였다. PMA에 의해 유도된 LH 분비는 EGTA와 verapamil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PMA에 의해 촉진된 $LH{\beta}$ subunit mRNA는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의하면 PKC 활성화나 세포내 cAMP 농도 증가는 $LH{\beta}$ subunit mRNA 수준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과정은 세포외 $Ca^{++}$ 의존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PKC 활성화나 cAMP 증가에 의한 세포외 $Ca^{++}$의 역할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PKC 활성화에 의한 LH 분비는 세포외 $Ca^{++}$에 비의존적이나 cAMP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는 세포외 $Ca^{++}$ 유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람 중성호성 백혈구의 기능에 있어서 Arachidonic Acid의 활성화 기전 (Activation Mechanism of Arachidonic Acid in Human Neutrophil Function)

  • 심재건;이정수;신용규;이광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102
    • /
    • 1992
  • 칼슘을 함유하는 반응액에서 arachidonic acid는 뚜렷하게 superoxide와 $H_2O_2$의 생성을 자극하였고 NADPH oxidase를 활성화하였다. 칼슘이 없는 반응액에서 NADPH oxidase에 대한 arachidonic acid의 자극 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Arachidonic acid에 의하여 자극된 respiratory burst는 EGTA, TMB-8, verapamil, diltiazem, nifedipine, dibucaine, lidocaine, CCCP, 2,4-dinitrophenol, sodium arsenate, chlorpromazine, theophylline, $HgCl_2$, PCMB와 PCMBSA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tetrodotoxin, tetraethyl ammonium chloride와 procaine의 영향은 받지 않았다. EGTA는 거의 완전히 arachidonic acid에 의한 ${\beta}-glucuronidase$의 유리를 억제하였으며, verapamil, CCCP와 theophylline은 약간 억제하였으나, 이에 반하여 dibucaine은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Arachidonic acid는 중성호성 백혈구로 부터 칼슘을 유리시켰으며, 이는 TMB-8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Arachidonic acid에 의한 세포내 유리 칼슘 농도의 상승은 EGTA와 CCCP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TMB-8에 의하여 약간 억제되었다. Arachidonic acid와 verapamil 또는 arachidonic acid와 dibucaine의 동시 첨가에 의하여 상승된 세포내 유리 칼슘 농도의 양은 arachidonic acid 단독에 의한 것보다 현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가 arachidonic acid에 의하여 활성화된 중성호성 백혈구의 기능 표현에 관여할 것으로 시사된다. Arachidonic acid는 세포내 칼슘 저장고로부터 칼슘유리를 자극하여 세포내 유리 칼슘 농도를 상승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중성호성 백혈구의 활성화증에 칼슘 유입과 유출은 동시에 이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 PDF

Cispatin 내성인 사람 위암 세포주 SNU-1의 복합약제내성 및 Verapamil의 효과 (Multidrug Resistance and Cytotoxicity of Anticancer Drug by Verapamil in Cisplatin Resistant Human Stomach Cancer Cell)

  • 손성권;김정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75-89
    • /
    • 1992
  • 복합약제내성암세포주의 출현은 암의 화학 요법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중의 하나이며 이 복합내성 암세포의 출현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실험에서는 약제내성 암세포의 다른 항암제에 대한 복합내성 형성정도와 calcium 길항제인 verapamil에 의한 내성극복 정도를 비교하고 내성 암세포의 세포막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사람의 위암 세포주 SNU-1을 cisplatin 농도 $0.001{\mu}M$에서 시작하여 $10{\mu}M$까지 증가시켜 내성세포 SNU-1/$Cis_5$를 얻었으며, MTT assay로 세포성장을 관찰한 결과 doubling time은 SNU-1이 약 29 시간, SNU-1/$Cis_5$는 약 38시간으로 내성세포가 감수성세포보다 성장속도가 느린 것을 관찰하였다. 약제 감수성 검사를 위해서 4일간의 MTT assay로 대조군에 대한 50% 세포 생존시의 약제농도 $IC_{50}$를 비교하여 상대적 내성도 (Relative Resistance, RR)를 측정하였는데 cisplatin, 81.4; vinblastine, > 43.0; epirubicin, 22.9 ; dactinomycin, 16.0 ; etoposide, 15.0 ; vincristine, 9.2 ; adriamycin, 5.7 ; aclarubicin, 5.3으로 관찰되었고 그외의 약제인 cyclophosphamide, 5-fluorouracil, methotrexate, daunorubicin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10{\mu}M$의 verapamil에 의한 내성 억제 효과는 vincristine, 13.1 ; epirubicin, 10.0 ; etoposide, 6.3 ; vinblastine, 4.4 ; dactinomycin, 3.6 ; daunorubicin, 2.4로 나타났다. Radioiodination을 이용한 SDS-PAGE로 SNU-1/$Cis_5$에서 항암제 내성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는 51,400와 81,300 dalton의 막단백질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 PDF

흰쥐 적출심장의 Norepinephrine 유발 양성 변력성작용에 미치는 Strontium의 영향 (Effect of Strontium on Norepinephrine Induced Positive Intoropic Effect of Isolated Perfused Rat Hearts)

  • 권오철;이광윤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59-69
    • /
    • 1988
  • Strontium은 calcium파 같은 2가 양이온으로서 평활근에서 calcium과 치환되어 평활근을 수축시킬 수 있으며, 골격근에서도 calcium과 치환되어 이를 수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심근에서는 strontium이 calcium과 치환되어 심근을 수축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그 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는 심근에서 strontium이 calcium과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지를 관찰하고, 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체중 200 g m 내지 230 g m의 흰쥐(Sprague-Dawley)의 심장을 적출하여 Langendorff씨 심관류 장치에 현수한 후 자율 수축운동을 하는 적출심장의 좌심실 내에 balloon을 넣어 수축성, 좌심실압 및 심박동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먼저 strontium 치환용액의 관류시 나타나는 좌심실압, 수축성 및 심박동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심근을 흥분시키는 norepinephrine과 억제하는 verapamil이 포함된 strontium 치환용액을 관류할 때 나타나는 수축성, 좌심실압 및 심박동수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 calcium 관류용액을 관류 하였을 때 심근수축력은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strontium을 첨가하여 calcium파 strontium의 농도의 합이 정상 관류용액의 calcium농도 (2.43mM)가 되게 하여 관류 하였을 때 심근 수축력은 정상 calcium농도의 관류용액을 관류했을 때의 심근 수축력에 비해 억제되지 않았다. 2. 관류용액 내의 calcium을 strontium으로 완전치환시 심정지가 유발되었으며, 이때 관류용액내에 calcium이나 strontium을 첨가 했을 때도 심근수축력은 회복되지 않았다. 3. Norepinephrine 유발 양성변력성 작용은 정상관류용액, 저calcium 관류용액 및 strontium 치환용액 모두에서 농도에 비례한 증가 양상을 보였다. Strontium 치환용액에서는 정상 관류용액에서와 차이가 없었으나, 저calcium용액에서는 고농도의 norepinephrine의 수축력 증가작용은 정상 용액에서와 차이가 없었고 저농도의 norepinephrine의 수축력 증가작용은 정상용액에서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4. verapamil은 calcium 용액 뿐만 아니라 strontium 치환용액에서도 심근 수축력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strontium은 calcium과 대치되어 심근을 수축시킬 수 있으며 calcium과 같은 자격으로 norepinephrine 유발 양성 변력성작용에 참여하고 verapamil에 의해서는 calcium과 같은 양상으로 그 이동이 억제된다고 사료된다.

  • PDF

옥수수 뿌리에서 칼슘 이온 조절제가 malformin A1에 의해 유도된 굴중성과 에틸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Ca2+ Regulators affect the Gravitropism and Ethylene Production Induced by Malformin A1 in Maize Root)

  • 홍성현;오승은;김건우;정형진;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174-178
    • /
    • 2007
  • malformin A1은 옥수수 뿌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에틸렌 생성을 4시간에는 130%, 8시간에는 56%를 각각 촉진하였다. 에틸렌 생성량이 4시간을 최대로 하여 8시간까지 서서히 증가율이 감소하였다. 칼슘 이온 조절제인 A23187 (calcium ionophore)과 verapamil (calcium channel blocker)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모두 대조구와 비교하여 4시간에는 30%, 8시간에는 20% 정도로 에틸렌 생성을 촉진하였다. 칼슘 이온 조절제가 malformin A1에 의해 유도된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4시간에는 malformin A1만 처리하였을 경우에 관찰되는 수준만큼 촉진되지 않았지만 칼슘 이온 조절제의 촉진 효과는 8시간까지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malformin A1이 에틸렌 생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절한 칼슘 농도가 필요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Malformin A1은 굴중성 굴곡 반응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4시간과 8시간에 각각 58%와 42% 정도 억제하였다. A23187과 달리, verapamil은 굴중성 굴곡반응을 4시간과 8시간에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54%와 23%를 억제하였다. 더 나아가 verapamil은 malformin A1에 의해 유도된 굴중성 굴곡 반응을 A23187보다 더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칼슘이온 조절제가 malformin A1에 의해 유도된 옥수수 뿌리의 굴중성 반응에 영향을 주며, 칼슘 이온이 굴중성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랫트 뇌절편에서의 허혈성 신경손상에 대한 칼슘길항제와 비타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alcium Antagonists and Vitamine E on the Ischemia-induced Neuronal Damage in Rat Brain Slices)

  • 김용식;윤영란;박찬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22
    • /
    • 1993
  • 허혈성 뇌손상시 칼슘길항제, 항산화제와 산소라디칼 제거제 그리고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 길항제의 보호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랫트 뇌 해마조직 절편을 산소와 포도당을 제거한 반응액에 노출시켜 실험적 허혈상태를 유도하였다. 그리고 여러 약물을 처리한 상태에서 허혈시의 뇌세포 손상정도를 생화학적 지표들(절편내 ATP와 반응액내 lactate 및 malondialdehyde (MDA)유리량)을 측정하여 검토하였다. 60분까지 허혈상태를 유발시킨 경우 시간에 따라 절편내 ATP 함량이 감소하였고 lactate 유리량이 증가하였다. 그 후 산소와 포도당이 든 반응액으로 바꿔주니 이들 생화학적 변화들이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본 실험조건에서 허혈상태로부터 완전히 회복되지는 않았다. 동일한 허혈조건에서 verapamil과 비타민 E는 ATP 함량 감소와 절편으로부터의 lactate 유리량의 증가에 대해 보고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verapamil과 diltiazem은 반응액내로의 MDA유리를 감소시켰다.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과 MK-801 (NMDA 수용체 길항제)은 20분 허혈조건에서 ATP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그외 다른 조건에서 보호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허혈 후 20분간 산소와 포도당을 재공급한 경우 verapamil은 ATP 함량과 lactate 유리에 보호효과를 보였다. 한편 비타민 E는 20분 허혈 조건에서의 lactate 유리와 60분 허혈시의 MDA 유리 증가에 대해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칼슘길항제와 비타민 E가 랫트 뇌절편에서의 허혈성 생화학적 손상을 방지함으로 나타난 결과로 해석되며, 칼슘갈항제의 효과가 비타민 E보다 우수함으로 미루어 칼슘길항제는 허혈성 뇌손상에 예방 및 보고효과를 보일 것으로 믿어졌다.

  • PDF

생체시료내 약물의 HPLC 분석법에 대한 유효성 검토방법 (Validation Process of HPLC Assay Methods of Drugs in Biological Samples)

  • 지상철;전흥원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1권3호
    • /
    • pp.179-188
    • /
    • 1991
  • An HPLC assay method of a drug to be applied to the pharmacokinetic studies of the drug should be completely validated. The validation process for an HPLC assay method in a biological sample was discussed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development of 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quantitation of verapamil and norverapamil in human serum. The validation criteria included wer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sensitivity, recovery, drug stability, and ruggedness of an assay method.

  • PDF

결장뉴 전기활동도에 대한 칼슘 길항제의 영향 (Effects of $Ca^{2+}-antagonists$ on the electrical activity of guinea-pig taenia coli)

  • 김기환;김우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9권1호
    • /
    • pp.1-13
    • /
    • 1985
  • The influences of $Ca^{2+}-antagonists$, verapamil and $Mn^{2+}$, upon the spontaneous electrical activity and contractions were studied in guinea-pig taenia coli. Spontaneous contractions were recorded with force transducer, and spike action potentials were measured extracellularly by use of suction electrode.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ris-buffered Tyrode solution Which was aerated With 100% $O_2$ and kept at $35^{\circ}C$.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Verapamil suppressed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spontaneous contractions dose dependently, and blocked completely mechanical responses at the concentration of 1 mg/1. 2) The frequency of bursts of spike discharge(bursts frequency) and the number of spikes in a burst(spikes frequency) were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0^{-5}$ to $10^{-3}g/l$, and bursts frequency was affected more readily at a low concentration of $10^{-5}g/l$ verapamil. 3) The verapamil_induced suppression of spontaneous contractions in the Tyrode solution containing 1 mM $Ca^{2+}$ was completely antagonized by the addition of extra $Ca^{2+}$ to the Tyrode solution $(2\;m\;MCa^{2+})$. 4) $Mn^{2+}$ suppressed the amplitude of spontaneous contractions, whereas $Mn^{2+}$ accelerated the frequency dose-dependently within the range of low concentrations$(10^{-7}\;to\;10^{-4}\;M\;Mn^{2+})$. 5) The bursts frequency determining frequency of spontaneous contractions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reas the spikes frequency known to determine the contractions amplitude was reduced within the range of low concentrations. At a high concentration of 1 mM $Mn^{2+}$, however, all spontaneous contractile responses were blocked simultaneously with the disapperance of electrical activity. 6)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spontaneous contractions altered by $Mn^{2+}$ in 1mM $Ca^{2+}$ Tyrode were increased by extra $Ca^{2+}(2mM)$.

  • PDF

심근 수축에 있어서 Calcium작용의 조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gulation of Calcium Activity in Myocardial Contraction)

  • 고창만;홍사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3-120
    • /
    • 1990
  • 전기장 자극으로 수축을 유발한 흰쥐 좌심방에서, 자극 빈도 변경에 따른 수축 운동의 변동에 미치는, 여러 경로를 통한 수축 유발 calcium의 영향을 검색하므로, 각 경로가 심근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추구하였다. 흰쥐 좌심방은 자극 빈도를 급격하게 낮추므로, 특징적인 삼단계 변동을 나타내었다. 즉, 처음의 급격한 수축 장력증가와, 두번째 일시적인 빠른 장력감소, 이어서 세번째로 수축장력의 유지단계로 나타났으며, 이때 수축장력은 고빈도 자극시의 2배 정도가 되었다. Caffeine처치는 이와같은 자극빈도 하강에 따른 수축 장력의 증가를 현저하게 억압하였다. Verapamil은 고빈도 자극시 수축 운동을 완전히 소실시켰으나, 저빈도 자극으로 변경시에는 verapamil 존재하에서도 수축 운동이 소생되었다. 한편 ouabain처치나 영양액내 sodium 배제시에는 저빈도 자극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두번째 단계의 변동이 소실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심근막의 calcium통로는 세포내 유지에 필수불가결한 경로이며, 심근 수축 유발 calcium의 주된 기원은 근 소포체로 부터 유리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sodium-calcium교환은 세포내 sodium농도의 변동에 따라 수축 유발 calcium양 형성에 조절 인자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