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value

검색결과 707건 처리시간 0.024초

백두대간(닭목령-댓재 구간) 마루금 주변의 산림식생구조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Maruguem(the Ridge Line) Area of Dakmokryeong to Daetjae, the Baekdudaegan)

  • 송주현;권진오;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8-51
    • /
    • 2019
  • 본 연구는 백두대간(닭목령-댓재 구간) 마루금 주변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분류, 층위별 중요치와 평균상대우점치, 종다양도, CCA 분석을 통해 산림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245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 결과, 8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 신갈나무군락군은 층층나무군락, 회양목군락, 조릿대군락, 분비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으로 세분되었고, 층층나무군락은 다시 떡갈나무군, 터리풀군, 일본잎갈나무군, 층층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다. 중요치 분석결과, 식생단위 1에서 떡갈나무가 19.1, 식생단위 2는 신갈나무가 22.7, 식생단위 3은 일본잎갈나무가 27.6, 식생단위 4~8은 신갈나무가 각각 38.3, 25.6, 41.3, 27.9, 4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백두대간(닭목령-댓재 구간) 마루금 주변이 신갈나무군락으로 대표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종다양도는 식생단위 1과 2가 3.305, 3.236으로 다른 식생단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높은 출현종수에 의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CCA분석 결과, 생물적 환경요인과 식생유형과의 상관관계는 식생단위 1과 교목성 식물 비율, 덩굴성 식물 비율이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생물적 환경요인과 식생유형과의 상관관계는 식생단위 7이 해발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생단위 5의 회양목군락은 석회암 지대의 종조성과 입지환경으로 유형화되어 지질학적 특성상 다양한 식물이 자생하고 있는 지역이며, 식생단위 7의 분비나무군락은 아고산식생으로 유형화되어 지질시대에 살았던 유존종과 고유종 또는 특산종이 많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나타나 이들 단위에 대한 차별화된 생태적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SPOT/VEGETATION NDVI 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식생 변화 탐지 (A Detection of Vegetation Variation Over North Korea using SPOT/VEGETATION NDVI)

  • 염종민;한경수;이창석;박윤영;김영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하여 현장관측이 불가능한 북한 지역에 대한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산출을 통하여 1999년부터 2005년까지 7년간의 지표 상태 모니터링 하였다. 북한의 산림 지역은 소위 한반도의 폐라고 불리며, 한반도 내에서 가장 풍부한 산림지역이 위치하고 있다. NDVI는 식생의 활력 지수를 나타내며, 유사한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지역 식생의 변화를 탐지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NDVI의 변동은 북한 지역에서 가뭄이나 태풍의 영향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북한 지역이 태풍이나 가뭄을 겪고 있을 때 평년보다 낮은 NDVI 수치가 나타났다. 특히, 최근 정치적, 경제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북한 지역 식량 생산 정보이 간접적인 파악을 위해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식량 생산 동향을 유추하였다.

  • PDF

LiDAR를 활용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산림부문 신규 평가항목의 도입 가능성 평가 (Introduction of the New Evaluation Criteria in the Forest Sector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Map Using LiDAR)

  • 전성우;홍현정;이종수;이우균;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0-30
    • /
    • 2007
  •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is the class map to divide the national land into conservation areas and development areas based on legal and ecological assessment criteria. It contributes to enhancements of the efficiency and the scientificity when framing a policy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environment. However,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multiphase vegetation structure as data on judging the national forest class in ECVAM are restricted to areal information of Ecological Nature Status, Degree of Green Naturality and Forest Map. This point drops the reliability of ECVAM. Therefore we constructed vegetation information using LiDAR (Light Detection And Raging) technology. We generated Biomass Class Maps as final results of this study, to introduce the new forest assessment criterion in ECVAM that alternates or makes up for existing forest assessment criteria. And then, we compared these with Forest Map and Landsat TM NDVI image. As a result, biomass classes are generally higher than stand age classes and DBH classes of Vegetation Map, and lower than NDVI of Landsat TM image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ime on data construction. However distributions between these classes are mostly similar. Therefore we estimates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biomass item to the new forest assessment criterion of ECVAM. The introduction of the biomass in ECVAM makes it useful to detect the vegetation succession, to adjust the class of the changed zone since the production of Vegetation Map and to rectify the class error of Vegetation Map because variations on tree heights, forest area, gaps between trees, vegetation vitality and so on are acquired as interim findings in process of computing biomass.

백제의 고도(古都) 부여 성흥산성(聖興山城)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Vegetation Structures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Proposal for the Sungheung Fortress in Buyeo-the Old city of Baekje)

  • 이선;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5-100
    • /
    • 2011
  • Vegetation structure of Sungheung fortress in Buyeo was investigated to suggest a desirable management proposal. Forset communities by phytosociological method were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Quercus alien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Castanea crenata, Styrax japonica, Quercus acutissima and Prunus sargentii were 34.81, 13.57, 12.63, 6.73, 6.40, 4.70, 4.54 and 3.65. According to breast diameter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ec. will be continuosly increased. It should be prepared that vegetation management plan over the castle wall should be considered before the repair or restoration of castle wall. Vegetation management around castle wall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id or long-term plan and it would be needed to consider the gradual changes from planted Pinus rigida to the historical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영산강 수계의 배후습지인 우습제에 서식하는 식생분포와 특성 (Vegetation Distribution 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 of Useupje (Backswamp) in the Youngsan River Basin)

  • 정현기;임정철;최병기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157-168
    • /
    • 2017
  • 배후습지는 범람에 의해 고운 입자가 퇴적된 범람원으로 일반적으로 추이대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한 생태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영산강 배후습지인 우습제의 식생다양성과 자연성평가를 통한 습지의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우습제의 식생은 서식처의 종조성에 따라 4개 상관형의 14개 단위식생으로 분류되었다. 부유식생에는 개구리밥군락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이 출현하였고 부엽식생에는 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 community), 연꽃-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Nelumbo nucifer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정수식생의 진연안대에는 물참새피군락 (Paspalum distichum community), 고마리군락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갈풀군집 (Phalaridetum arundinaceae)이 확인되었고 추수대에는 줄-매자기군집 (Scirpo fluviarilis-Zizanietum latifoliae), 애기부들군락 (Typha angustat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조간대에는 큰고랭이군집 (Scirpetum tabernaemontani), 갈대군집 (Phragmitetum australis)이 확인되었고 중수위권의 습지추이대지역에서는 버드나무-이삭사초군락 (Carex dimorpholepis-Salix subfragilis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우습제 식생분포결과에 따르면, 식생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서 습지 내 수위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 우습제의 단위식생 평가결과는 식생자연도에 따라 대부분 III 등급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넓은 면적에서 다양한 고유식생 분포가 확인되었고 인접한 습지가 존재하지 않는 지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생태계에 기여하는 생태학적 가치는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신경망 기반 드론 광학영상 및 LiDAR 자료를 활용한 임분단위 식생층위구조 추정 (Estimating the Stand Level Vegetation Structure Map Using Drone Optical Imageries and LiDAR Data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 차성은;조현우;임철희;송철호;이슬기;김지원;박치영;전성우;이우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1호
    • /
    • pp.653-666
    • /
    • 2020
  • 지속가능한 산림 발전을 위해 식생층위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산림 자원 관리에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드론, 딥러닝 등 신기술을 산림 부문에 접목한 활용이 늘어났으며, 이를 이용한 식생층위구조 추정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광학 및 LiDAR 영상을 융합하여 공주, 삼척, 서귀포 지역에 대해 식생층위구조를 파악하였으며, 각 92.62%(Kappa value: 0.59), 91.57%(Kappa value: 0.53), 86.00%(Kappa value: 0.63)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딥러닝을 활용한 식생층위구조 분석 기술은 광학 및 LiDAR의 정보량이 많아질수록 모델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식생의 다양한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복잡도 높은 모델과 충분한 샘플링을 통한 학습자료 구축이 동반되어 모델의 완성도가 높아진다면, 전국단위의 식생층위구조 지도를 구축하여 우리나라 정책·제도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珍島의 植生 (Study on the Vegetation of Jindo County)

  • Kim, Jong-H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1호
    • /
    • pp.33-50
    • /
    • 1990
  • The flora and vegetation of Jindo Archipelago were investigated from 1985 to 1989. In the area, 1089 species, 3 subspecies, 133 varieties, and 22 forma of vascular plants were recovered. From the data,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 value 1.39 in Pte-Q and Ch-$D_1-R_3$-e in biological type were recognized. Vegetation of the area is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Pinus thunbergii-, Quercus serrata-, Q. variabilis-, Carpinus coreana-, Prunus sargentii-,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Q. acuta-community.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onducted with the materials obtained by the investigation of the vegetation in 103 area.

  • PDF

함평만 무안 지역 갯벌의 식생 및 비식생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CO2 concentration and flux in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environments on the Muan tidal flat of Hampyong Bay)

  • 소윤환;강동환;권병혁;김박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7-26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함평만에 속하는 무안 지역의 갯벌에서 갈대가 서식하는 식생 지역과 갈대가 없는 비식생 지역을 6개 지점씩 선정하여 저조시에 계절별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 및 지온의 변화를 관측하였다. 관측은 2012년 5월 30일(봄)과 8월 8일(여름), 2013년 1월 31일(겨울)에 각각 수행되었다. 관측 결과, 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평균농도는 전체적으로 겨울에 가장 높았고 봄, 여름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식생 지역도 식생 지역과 같은 농도변화를 보였다. 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봄과 여름에 모두 양(+)의 값으로 방출(emission)의 형태를 보이나, 겨울에는 반대로 흡수(uptake)하는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평균값은 봄이 가장 높았으나 여름과 거의 유사하였고, 겨울은 낮은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비식생 지역은 봄에 양의 값으로 방출의 형태를 보였고, 여름과 겨울에는 흡수하는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평균값은 봄이 가장 높았고, 여름과 겨울의 차는 작게 나타났다. 연구지역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계절적인 변화특성은 봄의 경우 식생과 비식생 지역 모두 호흡에 의한 방출이 우세하였으며, 여름은 식생 지역에서 방출이 우세하였고 비식생 지역은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에 의한 흡수가 확인되었으나 매우 미미하였다. 겨울은 식생 지역에서 이산화탄소 플럭스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식생 지역은 흡수가 일부 확인되었으나 매우 미미하였다.

새별오름에서 초지 화입에 의한 식생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 by Burned Grasses in Saebyeol-Oreum of Jeju-do)

  • 송국만;강성현;최선아;김문홍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43-548
    • /
    • 2010
  • This research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rned, which is made in the early spring every year at Saebyeol-Oreum from 2003 to 2009, on changes in vegetation on the grassl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y of the land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surface land that had the angle of azimuth and the angle of slope in the range of southeast $135^{\circ}{\sim}180^{\circ}$ accounting for 73.89% and $21^{\circ}{\sim}30^{\circ}$ accounting 58.33% of the entire surface land, respectively, was found to be high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was found to be lowered from 27.07 in 2003 to 19.47 in 2009, and this can be attributable to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Artemisia japonica having been heightened from 7.07 in 2003 to 16.23 in 2009. The reason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Artemisia japonica was found to be high is thought to be that vegetation on the surface land was removed by burned in the early spring and, due to this, the dry surface of soil and the high slope accelerated the soil erosion and could not provide proper environment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for Imperata cylindrical and Miscanthus sinensis, so Imperata cylindrical and Miscanthus sinensis were excluded and Artemisia japonica whose importance value had been highest have flourished. Researches to maintain the current vegetation on the burned location of Saebyeol-Oreum and to adjust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il to restore vegetation and the proper time and cycle of burned should be conducted.

광릉삼림의 생태학적 연구 낙엽송의 Site Index와 임상식생에 관하여 (Ecological Studies on Several Forest Communities in Kwangnung. A Study of the Site Index and the ground vegetation of Larch)

  • 차종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9권1_2호
    • /
    • pp.7-16
    • /
    • 1966
  • In order to determine the factors related to site quality, 13 areas of Larch growing in the Kwangung and its vicinity forest as sample plots, were examined. Sample plots included various site classes as well as age classes. Thre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major and minor trees). Average height of dominant trees was determined through messurement of 5 to 6 dominant tree in each sample plots. Average height of dominant 30 year-old trees was the basis for site index. A Standard Yield Table for the larch produced in Kwangnung forest was made by various data, which included age class 5, ranging from 10 to 45 years. The relationship of the height of the trees, the site conditions, and ground vegetation a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e site indexes of 40 forest class age in 28-B and 28-G forest classes of the larch associations for ground vegetation had comparatively rarge differences due to the sampled areas. The relation of the direction of forest communities to the height and the diameter of the tree shwoed that its communiteis of northest and northwest parts appeared higher valueof the height and the diameter. The diameter and the height of trees were closely realted to each other. The samller the occupied area per tree and the smaller the average distance among trees, the more density was increased. The larger the density was the lower height of the trees. In the ground vegetation of the larch communities, there seems to be a definite correlation between the height of trees and the occupied area per tree or the average distance among the trees. The height of trees and site index of two larch communities were as follow: 28-B forest class site index 20.8, height 24.0m, 28-G forest class site index 18.4, height 20.9m. The ground layer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Quadrat(20/20sq. cm) with an interval of 1M. It set up 40 Quadrats of the larch communiteis.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e ground vegetation of two larch was analyzed, and important value was calculated and then evaluated. The ground vegetation under the larch had developed Burmannii Beauv stratal society below the 28-B and 28-G the forest class. Accordingly, the first important value of Burmannii Beauv was found in two ground vegetation below the larch. Therefore, this species could be quantitatively considered as the forest indicator species. Common species of each community appeared 18 species out of 34 species in the ground vegetation under two larch communities. The ground vegetation of the 28-B forest class showed more than that of the 28-G forest class. the similarity of the ground vegetation was measrued by the Frequency Index Community Coeffici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ssociations were lcearly manifested by the ground vegetation tested by Gleason's Frequency Index of Community Coefficient for the analysis of each stratal society of all associations. According to F.I.C.C. the ground vegetation under two larch(28-B and 28-G) forest classes showed higher value.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site was considered the next step to be taken in the study of the larch site class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