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Los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7초

접착성 식생기반재의 침식저항능력 평가 (Evaluation of Erosion Resistance Capability with Adhesive Soil Seeding Media)

  • 성시융;신은철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71-79
    • /
    • 2015
  • 기존의 비탈면녹화공법인 식생기반재취부공법은 결합력의 부족이나 건조화, 유기물의 부족 등의 문제점들을 보이고 있다. 특히 비산이 심한 지역의 비탈면은 식생피복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시간이 경과함에 고사율이 증가되어 피복율이 더 저하되고 또다시 침식 및 비산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식이나 비산에 저항하기 위해 친환경 토양안정재를 적용하고, 적정 배합비 결정을 위해 장기침수시험과 유수저항시험을 실시하였다. 친환경토양안정재와 기존의 녹화토기반재를 활용한 장기침수시험결과, 토양안정재의 혼합율 0%는 30시간, 2%는 40일 후 100% 붕괴가 발생되었으며, 4% 이상의 혼합비에서는 실험종료시까지 시료의 원형이 그대로 남아 있어 2% 이상의 토양안정재가 극한 조건에서도 형상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혼합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생기반재의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강우시험을 40, 45, $55^{\circ}$ 경사비탈면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토양안정재의 혼합비 0, 4, 8%에 대해 유수저항시험을 실시하고 침식저항능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토양안정재의 혼합에 따라 유실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등 비산을 방지하거나 우수에 의한 침식에 저항하기 위해 적용한 친환경 토양안정재가 큰 유실감소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지화학 연구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irpus planiculmis Habitats in Nakdong Estuary, Korea)

  • 김윤지;강정원;최재웅;박찬미;우한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5-131
    • /
    • 2019
  • 낙동강 하구는 다양한 하구개발로 인해 수리 및 지형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이러한 물리화학적 변화는 낙동강 하구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낙동강 하구에 도래하는 겨울철새들의 주요 먹이원인 새섬매자기 군락지 및 개체수는 지난 10여년간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다. 낙동강 하구의 새섬매자기 개체수 감소 원인 파악을 위해 6개 정점에서 2018년 6월과 8월에 약 30cm의 주상퇴적물을 채취하였다. 퇴적물은 사질이 80% 이상으로 매우 조립하였으며, 평균 염분은 6월 $17.8{\pm}1.12psu$, 8월 $18.4{\pm}1.83psu$였다. 을숙도 퇴적물의 탄소안정동위원소비(${\delta}^{13}C$)는 평균 $-24.7{\pm}0.59$‰로 하구기원 입자성 유기물 특성을 보였다. 표층(0~1cm)에서 ${\delta}^{13}C$는 -24.0 ~ -22.6‰로 새섬매자기 뿌리와 줄기의 ${\delta}^{13}C$($-25.2{\pm}0.05$‰) 보다 다소 높았다. 이는 해양 유기물의 유입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식생지역과 비식생지역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를 통하여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환경이 비식생 지역과 거의 동일함을 유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낙동강 하구 퇴적물은 조립하고 염분이 15 psu 이상으로, 새섬매자기 생육에 불리한 환경이 유지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낙동강 염분 상승은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의 감소가 원인으로 판단되며, 낙동강 하구 염분 상승이 새섬매 자기 생산량의 점진적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산림유역의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 예측을 위한 지리정보(地理情報)시스템의 범용토양유실식(汎用土壤流失式)(USLE)에의 적용 (Application of GIS to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for Quantifying Rainfall Erosion in Forest Watersheds)

  • 이규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22-330
    • /
    • 1994
  • 토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강우, 토양, 지형, 식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단위면적당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을 예측하는 범용토양유실식(汎用土壤流失式)(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을 지리정보(地理情報)시스템(GIS)에 접목시켰다. 경기도 광릉 임업연구원 시험림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이곳에서 지난 12년 동안 측정된 시간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인자(强雨因子)(R) 값을 산출하였고, 토양도, 지형도, 위성자료 등을 이용하여 USLE 계산에 필요한 다른 인자들의 값을 $25{\times}25m^2$의 격자마다 입력하여 디지털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각 격자단위로 USLE에 의하여 토양유실량이 계산된 후 그 결과를 종합하여 토양유실의 정도를 공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디지털지도가 산출되었다. GIS에 의한 USLE의 적용은 일정한 테두리 안의 산림유역(山林流域)에서 발생되는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량을 추정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주변지역과 비교하여 토양유실의 위험이 높은 특정지점을 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임지전용(林地轉用), 임도(林道)개설, 벌채, 산불 및 병충해에 의한 임지의 변화가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re Habitat Zonation for Selected Endangered Species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 Khant, Aung Pyeh;Tripathi, Nitin 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5-17
    • /
    • 2003
  •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that the world is facing is the loss of biodiversity and habitats as a result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There are several strategies to protect the habitats and biodiversity within a certain region such as establishing protected areas; monitoring the remaining forests and managing the landscape within limits have been employed. In this study, Predicted Habitat Distribution Model (simple spatial modeling) was developed using vegetation types, land use and land cover, DEM, slope, drainage, roads, human settlement areas and minimum habitat requirements of each species. Then, based on the checklist of presence and absence of each species, the final habitat maps for selected endangered species are generated.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 (RS)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has proven a very effective tool to generate wildlife habitat maps at various levels. An effecting mapping could be performed based on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modeling biodiversity indicators in GIS.

  • PDF

기술사마당: 기술자료 -기후보호와 토양보호-유럽연합의 정책동향 (Climate protection and soil protection-policy trends in the European Union)

  • 이영희
    • 기술사
    • /
    • 제43권6호
    • /
    • pp.39-45
    • /
    • 2010
  • Soil plays a huge role in climate change, because even a tiny loss of 0.1% of carbon emitted into the atmosphere from European soils is the equivalent to the carbon emission of 100million extra cars on Europe's roads - an increase of about half of the existing car fleet. Soils contain around twice the amount of carbon in the atmosphere and three times the amount to be found in vegetation. Europe's soils are an enormous carbon reservoir, containing around 75billion tonnes, and poor management can have serious consequences. Soil degradation is accelerating across the EU, with negative effects on human health, ecosystems and climate change - and on economic prosperity and quality of life. Climate change is identified as a common element in many soil threats. Europe's soils urgently need better protection. The current trend of soil degradation needs to be reversed, and soil management practices must be improved if a high rate of soil carbon sequestration is to be achieved.

  • PDF

산성강수와 물의 순환 (Acid Precipitation and Water Cycling)

  • 김석진;;정재춘;정형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9-169
    • /
    • 1994
  •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acidic precipitation from the atmosphere to the ground water, The net deposition of wet precipitation to the ground surface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interception loss due to plant leaves and evaporation from the amount of total precipitation. As the water immerses through the vegetation and the different soil layers the various chemical reactions take pla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idic precipitation by increasing industrial emissions and the soil acidification mechanism is discussed. The report focuses on the buffering action that involves the proton budget in soil and rocks. Based on the soil constituents, the six buffer ranges of the soil are classified and each buffering process is illustrated.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the contamination of drinking-water reservoirs by continuous acid burden is emphasized.

  • PDF

지형 데이타 해석에 따른 산사태 위험지역 선정 기법 (Techniques of Sele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 on Analysis of Topographical Data)

  • 강인준;최철웅;장용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7-154
    • /
    • 1994
  • 주거지와 인접한 사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는 많은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유발시킨다. 산사태 해석 방법에는 토질역학적인 방법과 지질, 지형, 식생, 그리고 기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다중통계에 의한 해석방법 등 여러가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산사태 발생지역을 모델지역으로 선정하여 다중통계방법을 채택하기 위한 지형 데이타의 특성을 추출하였다. 통계값에 대한 경중률 분석을 하고 이를 GSIS의 중첩기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지역에 적용시켜 보았다.

  • PDF

식피에 따른 토양과 무기양분의 유실 (The Soil and Mineral Nutrient Erosion on the Floors of Vegetations)

  • 장남기;윤성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9-165
    • /
    • 1994
  • This report was investigated on the soil and mineral nutrient erosions in comparison among the vegetation floors of M isranthus sisensis, Arternisia stelleriana, Rhododendron mucronula turn, Zoysia ja-ponira and Pinus deusitlora communities and the naked soil on Mt. Keum-hak in Cheolwon-Koon, The erosion of clay, silt, fine sand and coarse sand of the surface soils under the Z. japonira grass-land was far less then those of M. sinensis, A. stelleriana, R. murronulatum and P. densiflora com-munities and the naked soil, The loss of mineral nutrients due to the soil erosion was the lowest level in the Z. japonira grassland and the highest level in the P. densiflora forest and the naked soil, respectively.

  • PDF

대관령 가축시험장 지양에 있어서의 몇 개의 방목지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 박봉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5권3호
    • /
    • pp.1-4
    • /
    • 1962
  • A district (Sae-Bong) and 13 district (Sae-Jang Dong) grassland could be divided into four type of Community: Miscanthus-Community, Glyceria-Community, Festuca-Community, and Plantago-Community. Chose 17 or 20 stands from each district A and B and calculated F.I. with the Curtis method, finally vegetational continuum could be recognized while discontinuous boundary line of species distribution could not be recognized. As a rule the distributional curve of species was binominal or bell shaped. It had a distribution pattern peculiar to itself. As to the relationship of cattles' density and vegetation. I found that the tendency of F.I. moving from small to large paralleled that of disturbance-pressure from weak to strong. Found that the more the steepness of environmental factors be controlled by a rule " from large to small", the more F.I. might be controlled by a rule "from small to large" and that pH, soil-moisture-content, loss on ignition was in relation with the steepness. with the steepness.

  • PDF

Classification ofWarm Temperate Vegetations and GIS-based Forest Management System

  • Cho, Su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216-224
    • /
    • 2021
  • Aim of this research was to classify forest types at Wando in Jeonnam Province and develop warm temperate forest management system with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IS. Another emphasis was given to the analysis of satellite images to compare forest type changes over 10 year periods from 2009 to 2019. We have accomplished this study by using ArcGIS Pro and ENVI. For this research, Landsat satellite images were obtained by means of terrestrial, airborne and satellite imagery. Based on the field survey data, all land uses and forest types were divided into 5 forest classe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Evergreen Coniferous forest,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Mixed fores, and others. Supervised classification was carried out with a random forest classifier based on manually collected training polygons in ROI. Accuracy assessment of the different forest types and land-cover classification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reference polygons. Comparison of forest changes over 10 year periods resulted in different vegetation biomass volumes, producing the loss of deciduous forests in 2019 probably due to the expansion of residential areas and rapid defore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