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egetation Bed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개수로 내 식생구간의 흐름저항 및 흐름특성에 관한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Study of Flow Resistance and Flow Characteristics over Flexible Vegetated Open Channel)

  • 여홍구;박문형;강준구;김태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61-74
    • /
    • 2004
  • Hydraulic engineers and scientists working on river restoration recognize the need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natural streams as a complex and dynamic system, which involves not only abiotic elements(flow, sediments) but also biotic component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ole played by riverine vegetation dynamics and flow conditions becomes essential. Hydro-mechanic interaction between flow and flexible plants covering a river bed is studied in this paper and some previous works are discussed. Measurements of turbulence and flow resistance in vegetated open channel were performed using rigid and flexible tube. Measuring detailed turbulent velocity profiles within and above submerged and flexible stems allowed to distinguish different turbulent regimes. Some interesting relationships were obtained between the velocity field and the deflected height of the plants, such as a reduced drag coefficient in the flexible stems. Turbulent intensities and Reynolds stresses were measured showing two different regions : above and inside the vegetation domain. In flexible vegetated open channel, the maximum values of turbulent intensities and Reynolds stresses appear above the top of canopy. Method to predict a flow resistance in flexible vegetated open channel is developed by modifying an analytical model proposed by Klopstra et al. (1997). Calculated velocity profiles and roughness values correspond well with flume experiments. These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ed model for open channel with flexible vegetation. The new method will be verified in the real vegetated conditions in the near future. After these verifications, the new method should be applied for nature rehabilitation projects such as river restorations.

댐 건설에 의한 유황 변화에 따른 하류 하도에서 하천지형학적 변화 및 식생피복의 변화: 황강 합천댐 사례 (Effect of Flow-Regime Change due to Damming on the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Cover in the Downstream River Reach: A case of Hapchon Dam on the Hwang River)

  • 최성욱;윤병만;우효섭;조강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55-66
    • /
    • 2004
  • 황강 상류에 위치한 합천댐은 1988년 12월에 완공되었다. 완공 이후 댐의 저수량 부족으로 10여년간 수문을 통한 방류가 없었기 때문에, 댐 하류부에 새로운 생태계가 조성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다른 지역에서 찾아보기 힘든 매우 특이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로 인한 유황변화에 따른 하천의 지형학적 변화와 식생 피복상태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하상고 및 하천수로단면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나이테 분석을 포함한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댐 건설 전ㆍ후 대상유역의 항공사진을 비교하여 댐 건설 후 식생피복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로비탈면 녹화공사 평가방법의 개선 방안 연구 - 절토부 토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s for Roadside Slope Revegetation - Focus on the Cut-soil Slope -)

  • 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87-200
    • /
    • 2020
  • Despite the eco-friendly route plan, road slopes were collapsed due to road construction, resulting in human and property damage. To solv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established guidelines in 2009 to conduct a test-bed for slope recording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the site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divided them into recording quality and economic evalu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183 construction methods of cut-soil sections at 60 sites from 2012 to 2018 for road slope afforestation research. Straw net+seedspray, vegetation media spray method 1T, 3T were used the most, and vegetation media spray method 3T(patent) was excellent in quality, and straw net+seedspray was excellent in economic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rket unit price and the construction unit price, vegetation media spray method submitted the construction unit price at up to 60% lower than the market unit pr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key factors of the greening method evaluation, the economic assessmen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all evaluation items. Problems in the evaluation method of revegetation were first identified as problems in the allocation of points and secondly as problems in the evaluation criteria. A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assessment criteria, the method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same method based on market unit price when the same method was constructed, and not to conduct an economic assessment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market unit price between methods, or to add weight to the scores.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of 60 road slopes, this study drew up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However, with regard to scoring, research on appropriate scoring is needed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폐도로 생태복원을 위한 시험시공지 평가 연구 - 경부선 영동군 황간지역 시험시공지에 대한 시공 후 7년 시점의 추적조사 - (A Study on the Test Bed Evaluation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Unused Road - Focused on the Experimental Construction Site in Young Dong Province of GyungBu Expressway(Seven years after construction.) -)

  • 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7-57
    • /
    • 2016
  • In the recent years, the incidence of abandoned concrete road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due to road improvements and facilities route construction, these abandoned expressway and unused roads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the management system is not clear, they does not be an effectively managed because there is no maintenance cost. In response to these social concern and expectation,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that is management authority of the expressway is developing policy initiatives and various projects to restore the closed road to ecological for eco-friendly projects of the existing expressway. And as part of these projects, Hwanggan IC unmanaged abandoned concrete roads restoration project was done and it was conducting monitoring for ecological restoration that is not one-off but sustainable. After test construction over seven years at the time, test construction of four ways enforced but the boundaries have become blurred over time. And Pinus koraiensis, Callicarpa dichotoma and Sorbaria stellipilla var. typica planted in the site are dominating, else Amorpha fruticos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sowed are dominating. Invasive species is that Robinia pseudoacacia was growing in the colony. Over monitoring result time, the vegetation was taking root and the ecosystem was being restore. But the disturbance of vegetation happens due to planting of tree species that doesn't fit in the restoration area and advent of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The study will be providing a basic data that identify change of plant environment by monitoring of the site and soil environment during June to November 2016 and secure an objective evaluation data by analyzing the effects of ecological restoration for revegetation test bed evalu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expressway in ecological restoration construction in later.

진해만에서의 청어(Clupea pallasii) 산란장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Spawning Beds in Jinhae Bay, Korea)

  • 문성용;최정화;이해원;김정년;허진석;곽우석;이용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34-538
    • /
    • 2019
  •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pawning beds of th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were observed by scuba diving in Jinhae Bay, Korea, with a focus on marine vegetation as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2017, the fertilized eggs of C. pallasii were mainly found attached to the leaves of algae species Carpopeltis cornea, Gracilaria textorii, and Acrosrium polyneurum at the rocky shore in Wonpo-dong and Jeodo. The mean density of fertilized eggs in C. pallasii spawning beds was $153,776eggs/m^2$ off Wonpo-dong and $856,430eggs/m^2$ off Jeodo, giving an estimated total of $5.345{\times}10^9$ eggs in Wonpo-dong and $3.3074{\times}10^{10}$ eggs in Jeodo. We examined spawning beds with an area of $38,619m^2$ off Wonpo-dong and $34,760m^2$ off Jeodo. The choice of spawning bed may b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marine vegetation, such as the algal diversity of rocky shore environments, which could affect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C. pallasii in Jinhae Bay is in January to mid-February.

수위변화에 따른 하상재료의 분광특성정보 분석 (An Analysis of Spectr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Water Level Changes and Bed Materials)

  • 강준구;이창훈;김지현;고동우;김종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43-249
    • /
    • 2019
  • 본 연구는 드론 기반의 초분광 센서를 활용하여 수위변화에 대한 하상재료의 분광정보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상재료는 흙, 자갈, 호박돌, 갈대, 식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5개 하상재료에 대한 초분광 영상촬영을 실시하고 각 재료의 분광정보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위 변화를 위해 유량조절이 가능한 실험수로를 제작하고 수로 내 하상재료를 설치하였다. 수위 조건은 0.0 m, 0.3 m, 0.6 m이며 수위에 따라 CASE를 구분하였다. 영상촬영 후 각 하상재료별 10개 포인트를 평균한 값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흙, 자갈, 호박돌, 갈대의 파장별 반사율은 비슷한 유형을 보이지만 각 재료별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분광정보의 고유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수위가 깊어질수록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에서 반사율은 감소하고 있으며 감소 비율은 하상재료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상재료에 대한 고유정보는 향후 하천환경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천환경 자연도의 평가지표 및 기준 연구 - 생물적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dicator & criteria for assessment of river environmental naturalness -focused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 전승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spc2호
    • /
    • pp.765-776
    • /
    • 2019
  • 본 연구는 하천복원사업의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법 제도적 지침과 기준을 제공하고 하천사업의 성과를 진단 평가할 수 있는 한국형 표준화된 하천환경 평가체계 구축과정의 일환으로서 하천생태계의 수변 및 수서환경을 대변할 수 있는 4개의 생물 분류군, 즉 식생과 조류, 그리고 저서 무척추동물과 어류의 평가지표 및 기준 등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물적 특성의 평가지표 및 기준을 정리하면, 식생의 경우 식생 다양도와 식생 복잡도, 그리고 식생 자연도 등 3가지 지수의 조합을 통한 하천 식생군집의 구조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서 무척추동물과 어류, 그리고 조류의 경우도 선진 기법의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하천특성에 적합하도록 생물적 자료의 평가등급 획정에 따른 정량적인 생물지수 평가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하천환경 자연도의 한 부문인 생물적 특성의 평가를 위하여 이들 4개 생물분류군의 가중치를 적용한 종합 생물지수 및 평가등급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험하천의 적용결과에서도 생물분류군 간 비교적 일관성 있게 하천환경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2~2016년 기간 내성천의 하도 변화 (Channel change of the Naesung Stream during 2012~201)

  • 이찬주;김동구;김지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3-333
    • /
    • 2017
  • 최근 내성천에서는 오래도록 유지되어 온 하천 경관이 식생의 활착에 의해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내성천 56.8 km 구간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얻은 연속적인 항공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주와 같은 하도 형상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었다. 지난 4년간의 모니터링 경과 직선 구간에서 하중 사주의 형성이 있었으며, 기존의 사주들은 식생 활착된 표면에서의 퇴적에 의해 수직적인 퇴적이 발생하는 변화가 야기되었다.

  • PDF

내성천 하도내 식생활착에 의한 하상변화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ed elevation change according to vegetation establishment of river bed in the Naeseong stream)

  • 이태희;김수홍;노영신;정성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0-265
    • /
    • 2018
  • 충적하천은 환경 변화에 따라 하천의 형태가 변화하고, 흐름 또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내성천은 대표적인 충적하천으로 최근 하도내 사주에 식생이 활착되고 육상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생사주 영역은 증가하고 흐름부의 하폭은 전체 하폭대비 매우 좁아진 상태이다. 따라서 하도내 흐름특성이 변화하여 저평수시 유속이 증가하고 지속적으로 하상침식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에 위치하는 조제, 월포, 향석 관측소의 최근 10년간 강수량 및 수위자료 검토와 각 관측소 위치의 항공사진에 의한 하도내 식생활착 진행과정과 단면측량 자료를 바탕으로 횡단면 침퇴적 변화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식생활착 및 하상침식의 영향이 수위-평균유속과 수위-유량관계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현재까지 내성천의 식생활착 및 하상침식의 원인은 지난 5년간 적은 강수량 영향으로 홍수시 하상소류력이 감소하여 흐름특성이 변화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판단된다.

  • PDF

유사계의 역동성 감소가 지석천 충적하도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uced Sediment Dynamics on Fluvial Channel Geomorphology in the Jiseok River)

  • 옥기영;이삼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5호
    • /
    • pp.445-454
    • /
    • 2012
  • 본 연구는 상류역에 댐이 존재하지 않는 충적하천에서 과거 이치수 위주의 하천정비사업이 하도지형의 장기적인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원인을 유사계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산강 유역의 지석천 중하류역을 대상으로 하도선형, 사주형태와 식생활착율 등의 하도의 평면형상 변화를 분석하고, 하상재료 및 하상변동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연적인 충적하천 당시(1966년)와 제방과 저수로, 취수보 건설 등의 하천정비사업으로 변모된 최근(2002년)의 항공사진의 비교분석결과, 유로형태의 변화(단일사행에서 다지형화), 하도선형의 만곡도 감소(9.2%), 지천사주의 확장, 그리고 사주의 식생활착(97%)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하도의 주수로 고정화와 사주내 식생이입은 댐하류 조절하천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평면 하도특성으로, 대상구간에서도 댐하류역과 유사한 유황의 변화 또는 유사량 감소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유황변동 조사결과, 비록 댐하류 하천에서 나타나는 연간 수위변동의 균일성은 보이지 않았지만, 과거에 비해 홍수빈도와 규모가 감소하였다. 하상재료의 입경은 4~5배정도 조립화 되었고, 하상변동 조사결과 전체적으로 하상저하가 발생하였으나 지천합류부에서 국부적인 하상상승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록 댐으로 조절되지 않는 충적하천에서도, 하도내의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하여 유사 공급량의 감소, 지천과 본류간의 유사이동능력의 불균형, 그리고 하도내 지형형성 과정의 저하 등과 같은 유사계의 인위적인 교란이, 장기적으로 댐하류 조절하천과 유사한 하도의 평면하도 형상의 변화를 유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