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ble oils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s of Replacing Pork Back Fat with Canola and Flaxseed Oil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mulsion Sausages from Spent Layer Meat

  • Baek, Ki Ho;Utama, Dicky Tri;Lee, Seung Gyu;An, Byoung Ki;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6호
    • /
    • pp.865-87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nola and flaxseed oil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y of emulsion-type sausage made from spent layer meat. Three types of sausage were manufactured with different fat sources: 20% pork back fat (CON), 20% canola oil (CA) and 20% flaxseed oil (FL). The pH value of the C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p<0.05). The highest water holding capacity was also presented for CA; in other words, CA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lower water loss value among the treatments (p<0.05). CA had the highest lightness value (p<0.05). However, FL showed the highest yellowness value (p<0.05) because of its own high-density yellow color. The texture profile of the treatments manufactured with vegetable oils showed higher values than for the CON (p<0.05); furthermore, CA had the highest texture profile values (p<0.05) among the treatments. The replacement of pork back fat with canola and flaxseed oils in sausag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mega-3 fatty acid content (p<0.05) over 15 to 86 times, respectively. All emulsion sausages containing vegetable oil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for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the omega-6 to omega-3 ratios compared to CON (p<0.05). The results show that using canola or flaxseed oils as a pork fat replacer has a high potential to produce healthier products, and notably, the use of canola oil produced characteristics of great emulsion stability and sensory quality.

마요네즈 제조시 들기름 혼합유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Blended Oils in Mayonnaise Preparation)

  • 김재욱;니시자와 유끼오;차가성;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68-571
    • /
    • 1991
  • 마요네즈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용유 중에서 들기름과 혼용시 산화안정성에서 가장 효과적인 식물유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들기름과 대두유, 채종유, 옥배유 해바라기유 및 들기름과 이들 식물유를 동일 중량비로 섞은 들기름 혼합유에 대한 산화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비교한 들기름 혼합유 중 대두유 혼합 들기름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이것은 대두유의 천연 토코페롤 함량이 가장 많은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들기름에 대두유를 같은 비율로 섞은 혼합유와 들기름만을 사용한 마요네즈를 제조해 이들의 $37^{\circ}C$ 보존 중 과산화물가와 토코페롤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들기름과 대두유의 혼합유를 사용한 마요네즈가 들기름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마요네즈 보다 과산화물가 및 토코페롤 함량의 변화도 적은 것으로 나타나 마요네즈 제조시에 들기름 혼합유 사용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 PDF

마요네즈 제조시 품질특성에 미치는 저에루신산 유채유 혼합의 영향 (The Effect of Low Erucic Acid Rapeseed Oil for the Preparation of Mayonnaise on Quality Characteristics)

  • 김재욱;손양도;홍기주;유무영;정계환;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8-302
    • /
    • 1995
  • 본 연구는 상업적인 마요네즈 제조시의 원료유로서 저에루신산 유채유의 사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유인 대두유에 저에루신산 유채유를 일정한 비율로 섞은 혼합유 및 이들 혼합유를 사용한 마요네즈를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식물유 자체의 산화안정성을 랜시매트법에 의한 유도기간으로 비교한 결과 유채유가 대두유보다 길었으며, 대두유와 유채유를 혼합하였을 때는 유채유의 비율이 높을수록 유도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식물유를 사용한 마요네즈의 냉동분리 안정성, 풍미, 산화안정성 등의 품질 특성에 대한 시험 결과, 저에루신산 유채유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대두유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두유에 저에루신산 유채유를 $40{\sim}80%$ 혼합한 식물유를 사용한 마요네즈는 대두유만을 사용한 마요네즈에 비해 저온분리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하여 더 바람직한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식물성 오일로부터 Ralstonia eutropha의 polyhydroxyalkanoates 합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Polyhydroxyalkanoates Synthesis by Ralstonia eutropha from Vegetable Oils)

  • 박대후;김범수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39-243
    • /
    • 2010
  • 식물성 오일 또는 glycerol로부터 Ralstonia eutropha 여섯 균주의 polyhydroxyalkanoates (PHA) 합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 soybean oil, olive oil, 또는 glycerol 만을 공급시 poly(3-hydroxybutyrate) homopolymer가 생성되었으며, $\gamma$-butyrolactone 또는 pentanoic acid를 함께 공급시 poly(3-hydroxybutyrate-co-4-hydroxybutyrate) 또는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copolymer가 각각 합성되었다. 최종 균체농도 및 PHA 함량면에서 최적인 균주는 R. eutropha KCTC 2662로 결정되었으며, 최적 기질인 soybean oil 20 g/L로부터 72 h에 균체농도 1.7~9.2 g/L, PHA 함량 70~92 wt%를 얻을 수 있었다.

식물성 유지를 첨가한 가공치즈의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exture Properties of the Processed Cheese Substituted with Vegetable Oils)

  • 이건봉;차광종;백승천;정운현;유제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8-46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processed cheese with the increase of unsaturated fatty acid by substituting different vegetable oils for the improvement of nutritional aspects without reducing its sensory advantage and texture properties. The texture properties(hardness, elasticity, adhesiveness, cohesiveness, brittleness and gumminess), meltability, fat leakage degree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processed cheese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meltability of the processed cheese was measured in the range from 59.7 to 138.3mm, the sample substituted with corn oil showed the lowest meltability but the sample substituted with butter resulted in the highest meltability. The degree of fat leakage had the range from 8.28 to 14.71$\textrm{cm}^2$. The sample substituted with safflower oil showed the lowest fat leakage degree but the sample substituted with butter had the highest fat leakage degree. The sample substituted with butter had the lowest hard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lasticity between the samples tested. The sample substituted with butter showed the lowest value in adhesiveness, cohesiveness, brittleness and gumminess, respectively. The preference score of the processed cheese samples ranged from 3.22 to 6.59. The texture score ranged from 3.12 to 3.26.

  • PDF

가열산화에 의한 대두유와 면실유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와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Vegetable Oils)

  • 이근태;박성민;황영길;강옥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54-659
    • /
    • 1994
  • 대두유와 면실유를 $160^{\circ}C,\;180^{\circ}C,\;200^{\circ}C\;및\;220^{\circ}C$에서 60시간 연속 가열하면서 이 때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가, 카르보닐가, 요오드가, 점도, 중합체 함량은 증가하였고, 요오드가는 감소하였으며, 가열온도 $180^{\circ}C$ 이하에서는 이들의 변화가 낮았고, $200^{\circ}C$ 이상에서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점도와 산가 변화의 상관도는 대두유 0.9843, 면실유 0.9819이었고, 점도와 카르보닐가의 변화에서는 대두유 0.9779, 면실유 0.9797이었다. 점도와 요오드가의 변화에서는 대두유 0.9852, 면실유 0.9948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튀김유의 가열산화에 있어서 점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산가, 카르보닐가 및 요오드가의 변화를 비교적 정확하고 빠르게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자외선 흡수특성을 이용한 참기름의 이종기름 혼입판별에 관하여 (Determination of Sesame oil Adulterated with other Vegetable oils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 이영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1-155
    • /
    • 1993
  • 참기름에 이종의 식용유를 혼합하였을 때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순수한 참기름을 비롯한 일반적인 식용유 5종의 UV흡수양상을 조사하여 각 식용유의 UV흡수특성을 이용하여 순수한 참기름과 혼합 기름을 구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순수한 참기름의 spectrum은 215, 230 및 290 nm에서 흡수피크를 형성한 반면, 옥수수유, 들기름 및 대두유는 모두 215, 230 및 280 nm에서, 그리고 미강유는 215, 290 및 320 nm에서 흡수피크를 형성하였다. 참기름의 290 nm에서의 흡수피크는 참기름 제조과정인 참깨의 볶는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그 흡광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반적인 조건으로 추정되는 $200^{\circ}C$, 60분간 볶은 후 제조한 참기름은 대략 0.7 정도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참기름에 미강유를 혼합한 기름에서는 320 nm에서 미강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흡수피크가 나타나고, 참기름에 옥수수유, 들기름 또는 대두유를 각각 혼합한 기름들은 290 nm에서의 흡광도가 순수한 참기름의 흡광도에 비하여 적었으며, 이종기름의 혼합율이 높을수록 비례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 of Different Vegetable Oils on Growth and Fatty Acid Profile of Rohu (Labeo rohita, Hamilton); Evaluation of a Return Fish Oil Diet to Restore Human Cardio-protective Fatty Acids

  • Karanth, Santhosh;Sharma, Prakash;Pal, Asim K.;Venkateshwarlu,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4호
    • /
    • pp.565-575
    • /
    • 2009
  • Two experiments in the sequential order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lipid sources on the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ohu (Labeo rohita) and to examine the viability of a return fish oil finisher diet in restoring the human cardio-protective fatty acid profile. In the first experiment, fish were fed either with coconut oil (D1), olive oil (D2), sunflower oil (D3), linseed oil (D4) and fish oil (D5) as the main lipid source in the isonitrogenous diet for 90 day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were observed.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moisture content of fish varied significantly (p<0.05) between the groups. Dietary lipid source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fatty acid profile of the muscle and liver as tissue fatty acid profile reflected the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Increased amounts of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were observed in tissue of fish fed D4 and arachidonic acid was observed in the tissue of fish fed D3. We have also detected the metabolites of n-3 and n-6 pathway in D4 and D3 groups respectively, which prompted us to conclude that rohu, can desaturate and elongate $C_{18}$ essential fatty acids to $C_{20}$ and $C_{22}$ HUFA. A second feeding trial was conducted using the animals from the five different treatment groups for the duration of 30 days with fish oil rich diet (D5). Feeding with fish-oil rich washout diet resulted in the near equalization of all the other treatment groups tissue fatty acid profiles to that of fish oil (D5) f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finishing fish oil diet can be effectively used to restore the human cardioprotective fatty acid profile in rohu fed with vegetable oils as lipid source.

식물성유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의 산화 안정성과 향기 성분 (Oxidative Stability and Flavor Compounds of Sesame Oils Blended with Vegetable Oils)

  • 주광지;김진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84-991
    • /
    • 2002
  • 순수 참기름과 채종유, 옥수수유, 대두유를 10%, 30%, 50%씩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를 제조하여 $60^{\circ}C$의 incubator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혼합유의 산화 안정성과 향기 성분의 변화 그리고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시료의 POV는 저장 6주에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채종유와 옥수수유 10%, 30%, 50%씩 그리고 대두유 10%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는 순수 참기름 보다 저장 기간 동안 과산화물 생성이 억제되어지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났다. 산패 유도기간도 채종유와 옥수수유 10%, 30%, 50%씩 그리도 대두유 10%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에서는 대조구인 참기름 보다 그 기간이 더 연장되었다. 상대적 항산화 효과(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RAE)는 10% 채종유를 첨가한 혼합유가 순수한 참기름 보다 6배의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산가는 모든 혼합유 시료가 참기름 보다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단일 식물성유 보다는 그 수치가 높았다. 혼합유의 향기 성분은 참기름에서 확인된 참기름의 독특한 방향을 나타내는 pyrazine류가 참기름 혼합유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저장 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산패의 지표가 되는 aldehyde, ketone, acid등의 carbonyl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관능평가에서는 10%의 채종유, 옥수수유, 대두유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 시료는 대조구인 순수 참기름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참기름과 식물성유의 혼합은 매우 바람직하며 단일 식물성유보다 산화 안정성이 크게 증대되었을 뿐 아니라 관능적인 품질에도 차이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면에서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두유 에스테르계 절연유의 합성과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oybean-based Ester Insulation Oils)

  • 한동희;조한구;한세원;오대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0-45
    • /
    • 2006
  • Electrical insul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a high voltage apparatus. Traditionally mineral oils and synthetic esters have been widely used as dielectric coolants for power transformers. Recently,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vegetable oil from the environmental viewpoint. This paper reports on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oybean based ester oils. Two different types of soybean based transformer oils, named as methyl ester and isopropyl ester were synthesized. The synthesis of these esters was achieved by transesterification reactions between soybean oil and alcohol in the presence of catalyst. The GC and NMR spectroscopic analysis of the esters have been performed. It was observed that isopropyl ester has better thermal resistance than methyl ester by TGA. Also, two esters have a good breakdown voltage and electrical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