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ble growth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4초

재배식물의 생육 및 성장에 미치는 지베레린의 영향 (EFFECT OF GIBBERELLIN ON THE GROWTH AND INTERNAL COMPONENTS OF SELECTED VEGETABLE PLANTS)

  • CHA, Jong Wha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5권3호
    • /
    • pp.11-20
    • /
    • 1962
  • 본실험에서는 Gibberellin 이 여섯작물의 생육 및 그들의 성장에 미치는 토양재배를 과하여 조사하였다. 식물 잎에 살포한 Gibberellins의 비교적 적은 농도차는 식물의 생육 및 내부 성분에 현저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물의 생육은 촉진되고 그 생육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여섯 작물의 Chlorophyll 및 Corotene 함량은 Gibberellin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 되었으며 이는 생장율과 크게 상반되었다. 여섯 작물의 Vitamin C의 함량은 Gibberellin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되었다. 이 차는 무, 쑥갓 및 시금치에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Chlorophyll과 Vitamin C의 함량은 발육이 진전 됨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차이는 유의한 것이다. Corotene 함량은 Chlorophyll 량과 함께 변하였는데 Carotene과 Chlorophyll의 비는 Beck 및 Redman이 얻은 결과처럼 높은 것은 아니다.

  • PDF

인체암세포증식에 있어 십자화과 채소의 억제효과 (lnhibitory Effect o fVarious Cruciferous Vegetable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alls)

  • 이선미;이숙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34-240
    • /
    • 1997
  • 부유세포인 K-562 임체 혈액암세포 및 부착세포인 인체 AGS 위암세포, HT-29 결장암세포 및 MG-63 골육암세포를 이용하여, 10종의 십자회과채소들로부터 추출한 메탄을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저해효과를 연구하였다. 모든 십자화과 채소시료는 K-562 인체혈액암세포에 대히 70% 이상의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보였는 데, 특히 브로콜리가 92.9%의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 가장 효고가 좋았다. 위암세포인 AGS세포에서는 모든 시료들이 50%이상의 암세포성장 억제효과를 가졌는데, 이 경우 케일, 브로콜리, 냉이가 각각 93.5%, 93.5%, 96.3%의 매우 높은 위암세포의 중식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의 경우 양배추, 배추, 케일, 냉이가 각각 82.4%, 72.1%, 79.4%, 95.6$\mid$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MG-63 골육암세포에 대해서는 케일, 냉이가 각각 79.2%, 88.7%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보여 일반적으로 십자화과 채소들은 인체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중 케일과 냉이가 가장 효과가 좋았다.

  • PDF

참외 접목방법이 플러그 묘 소질과 정식 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fting Methods on Plug Seedling Quality, Growth after Transplanting and Yield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 배수곤;김주환;도한우;신용습;서영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6-62
    • /
    • 2005
  • 시설참외 32공 플러그트레이 육묘시 접목방법이 따른 묘 소질과 정식 후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하였다. 접목방법은 관행의 호접과 편엽합접 및 단근편엽합접을 실시하였다. 접목 후 15일 후 묘소질은 호접이 엽수와 엽면적에서 높았으나 이후 점차 감소되어 접목 후 20일에는 초장, 경경, 엽록소함량이 비슷하였고, 접목 후 25일에는 단근편엽합접에서 초장, 엽수, 엽면적 등 지상부 생육이 가장 높았으며 지하부도 근건중이 높아 T/R율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여 정식 전 묘 소질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본포 생육은 초장, 엽수, 엽면적 그리고 건물중에서 정식 후 30일 단근편엽합접이 가장 높았으며 첫 개화소요일수도 38.4일로 가장 빨랐다. 그러나 과실의 품질은 과중, 당도. 경도, 색도에서 접목방법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접목방법의 차이가묘 소질과 정식 후 초기생육과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접목방법의 전환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란스(Amaranthus ssp.) 유전자원의 어린잎 생육과 엽 적색도 평가 (Evaluation of Baby-leaf Growth and Leaf Red Color Intensity for Amaranthus Germplasm)

  • 이준구;장윤아;엄영철;이상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59-65
    • /
    • 2012
  • 본 연구는 기능성 곡물로 이용되고 있는 아마란스(Amaranthus ssp.)를 어린잎채소 용도로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에 보유되어 있는 유전자원에 대한 어린잎 생육특성, 엽 적색도 발현 정도 및 기능성 물질의 함량 변이를 평가함으로써 어린잎채소로서 이용 가능한 유망 아마란스 자원 선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에 수집 보존되어 있는 아마란스 유전자원 262 종에 대하여 색도색차계로 측정한 엽 적색도 발현 정도를 기준으로 전체 자원의 상위 15%에 해당하는 39종을 1차 선발하였다. 1차 선발된 유전자원에 대하여 고온기 및 저온기의 재배를 통하여 어린잎 생육과 유전자원 별 적색소 발현을 검증 평가하여 안정적인 적색 강도를 보이는 고색도 자원을 최종 선발하였다. 아마란스의 엽 적색도는 모든 1차 선발 계통들에 있어서 고온기에 비해 저온기 재배 시 적색도 발현이 우수하였으며 2회의 재배를 통한 평균 적색도 발현 정도를 기준으로 IT199970 등 11종의 자원을 선발하였다. 이들 선발된 유전자원들에 대한 어린잎 생체중 및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정보를 제시하였다. 이들 선발 종들은 5개의 아마란스 종에 속하였으며 엽 적색도 발현이 우수하여, 향후 적색 풍미를 더하는 어린잎 샐러드 채소의 소재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옥상 텃밭용 채소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연구 (Rooftop Vegetable Garden for Green Roof System)

  • 하유미;김동엽;구경희;황동규;박희령;윤성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7-88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depth and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of lettuce, crown daisy, and strawberry on a rooftop condition using artificial soil as a growth media. The vegetable crops showed better growth for plant height (cm), plant width (cm), plant fresh weight (g), and Fo, Fm and Fv/m on 20cm depth soil than 10cm depth soil except strawberry. Planting density of $16/m^2$ and $64/m^2$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growth of the crops. Soil moisture content and EC were low for 10cm depth soil in lettuce plot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soil moisture and EC between two soil depth in strawberry plots. Hunter's L, a, and b values showed the leaf color of lettuce dark green on 20cm depth soil and reddish on 10cm depth soil. Results showed that soil depth suitable for crop growth on rooftop conditions was 20cm rather than 10cm. Growth response of the cro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6/m^2$ and $64/m^2$, indicating that planting density of 64 $plants/m^2$ could be practiced on rooftop conditions. Lettuce growth rapidly changed in control treatment in which leaves were not pinched out, while slowly changed in plants which leaves were periodically pinched out. In the case of control plot, it was impossible to harvest because withering of lower leaves after blossom on June 22. The plant of crown daisy in which pinching was not conducted, blossomed on June 7, and the plants were removed since its aesthetical value was lost. Strawberry seemed to be a suitable vegetable crop for rooftop conditions based on its high covering rate and extended growth period until late October. The soil depth 20cm and planting density 64 $plants/m^2$ were suitable for vegetable crops on green roof system using artificial soil.

종실들깨와 잎들깨의 주요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ajor Characteristics between Seed Perilla and Vegetable Perilla)

  • 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71-174
    • /
    • 2005
  • 국내에서 육성된 종실용 들깨와 잎들깨 품종을 대상으로 주요특성 및 함유성분을 분석하여 용도별 들깨의 주요특성 차이를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잎들깨 품종의 평균 개화기는 9월 28일로 종실용 들깨의 평균 개화기 9월 5일보다 약 23일 늦었으며, 경장 및 마디수도 종실들깨보다 낮은 양상을 나타내어 생육상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종실용 들깨의 평균 천립중, 종실수량 및 기름함량이 잎들깨 품종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종실특성은 종실들깨가 우수하였으나, 잎 수량 및 잎 함유 안토시아닌 함량은 잎들깨 품종이 종실들깨 품종보다 각각 1.8배 및 2.1배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잎 특성은 잎들깨 품종이 우수하였다. 3. 종실용 들깨 및 잎들깨 품종의 종실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잎 함유 평균 엽록소 함량은 종실용 들깨가 잎들깨 품종보다 다소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Antimicrobial activity of vegetable and fruit juices on the scalp bacteria

  • Park, Young-Doo;Eum, Jin-Seong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989-992
    • /
    • 2007
  • Twenty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human scalps. These strains were identified as 14 Bacillus megaterium, 1 Bacillus subtilis, 3 Staphylococcus aureus and 2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Two genuses are Gram-positive. In order to search for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natural plants, eighteen plant materials being made of perilla leaf as well as spices including garlic and ginger were used. The effects of these vegetable and fruit juices on the growth of scalp bacterial strains were investigated. Garlic and lemon juice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on the growth of twenty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4 kinds of species. Onion, spring onion and leek juices inhibited the growth of only one bacterial strains Bacillus megeterium MS13.

  • PDF

미생물 분석에 의한 채소류 비가열 조리공정의 위생관리 기준 유효성 평가 (Valid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Standards for Vegetable Preparation with No-Cook Step Based on Microbiological Analysis)

  • 김원경;류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1호
    • /
    • pp.45-58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sanitation management standards for vegetable preparation processes without a cooking stage. The aerobic plate counts (APC), coliform counts, and Escherichia coli of the samples at each production step were analyzed, and microbial growth of the samples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as measured. The validation was judged in accordance with the microbial criteria stipulated by the British PHLS. After washing and disinfection, the APCs of the two samples decreased to 3~4 log CFU/g in both seasons. Compared to the purchasing stage, the decrease in coliform counts was approximately 0~3 log CFU/g in both seasons; E. coli was not detected. The initial APC and coliform levels of two vegetable samples were 4~5 log CFU/g in both seasons, with an increase of 1 log CFU/g taking more than 6 h at 25℃ and 2 h at 35℃. More than 10 h at 25℃ and 6 h at 35℃ were required to increase the E. coli O157:H7 count by 1~2 log CFU/g for two seasoned samples. In conclusion, washing and disinfection effects and changes in microbial growth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were similar in the two vegetables. Despite the low sanitizing effect of the two vegetables, when cut vegetables were stored under the critical limit within 2 h at two different room temperatures, seasoned lettuce and chicory were at the 'satisfactory' or 'acceptable' levels of PHLS regardless of the storage temperatures. The valid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standards applied to vegetable preparation with the no-cook step was approved.

멀칭재료가 시설참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in Protected Cultivation)

  • Su Gon Bae;Yong Seub Shin;Il Kweon Yeon;Han Woo D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3
    • /
    • 2001
  • 무가온 촉성재배시 멀칭재료가 참외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양 멀칭재료로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 배색 P.E. 필름, 녹색 P.E. 필름과 대조구로 투명 P.E. 필름을 설치하여 지온의 변화와 생육, 과실품질 등을 조사하였다. 토양 5cm 깊이의 일.월중 지온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높았으나 광 투과율이 낮은 녹색 P.E필름에서 낮았다. 토양 심도별 야간지온은 녹색 P.E. 필름은 토양 깊이 20cm에서 나머지 필름은 토양 깊이 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멀칭 재료별 지온차는 깊이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되었다. 정식 후 30일의 초장과 절수는 지온이 높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LAI, CGR, RGR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정식 후 30일의 잡초 발생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후 90일에는 투명 P.E.필름에서 많았다. 과실 수확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빨라 투명 P.E.필름보다 2일 단축되었으나, 과중, 과장, 당도 등 과실특성은 큰 차가 없었다.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상품수량은 2,426kg.10a$^{-1}$로 투명 P.E. 필름보다 6% 증수되었다.

  • PDF

파종밀도가 풋콩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Vegetable Soybean Varieties)

  • 이승수;김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64-69
    • /
    • 2008
  • 콩의 용도는 메주나 장류 또는 두부로 이용하는 장류콩, 나물로 이용하는 나물콩, 혼반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밥밑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콩을 채소처럼 먹을 수 있는 풋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풋콩재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정용 및 갈색콩 품종들의 풋콩재배시 가지풋콩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면서 풋콩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적정재식거리 구명을 위한 실험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식거리는 파종으로부터 개화까지의 소요일수, 수확까지의 소요일수 및 도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경장은 밀식할수록 증가한 반면 협수, 분지수, 개체당 협수, 분지당 협수, 경협중 및 2+3립협의 비율은 밀식할수록 감소하였다. 3. 풋콩의 크기는 재식밀도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풋콩의 수확지수는 밀식할수록 낮았다. 4. 밀식을 하면 풋콩의 수량은 증대하지만 경협중, 분지 당 협수 및 2+3립협의 풋콩수량을 고려한 가지풋콩으로의 상품성을 고려할 때 적정재식밀도는 선흑콩과 일품검정콩은 $60{\times}25\;cm$, 갈미콩은 $60{\times}35\;c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