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9초

Cointegration Analysis with Mixed-Frequency Data of Quarterly GDP and Monthly Coincident Indicators

  • Seong, Byeongchan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6호
    • /
    • pp.925-932
    • /
    • 2012
  • The article introduces a method to estimate a cointegrated vector autoregressive model, using mixed-frequency data, in terms of a state-space representation of the vector error correction(VECM) of the model. The method directly estimates the parameters of the model, in a state-space form of its VECM representation, using the available data in its mixed-frequency form. Then it allows one to compute in-sample smoothed estimates and out-of-sample forecasts at their high-frequency intervals using the estimated model. The method is applied to a mixed-frequency data set that consists of the quarterly real gross domestic product and three monthly coincident indicators. The result shows that the method produces accurate smoothed and forecasted estimates in comparison to a method based on single-frequency data.

지역의 산업다양성과 지역경기변동의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Regional Industrial Diversity and Regional Business Cycle)

  • 우영진;김의준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3-1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산업다양성이 지역의 경기변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지역의 경기변동은 고용시장과 생산활동의 측면에서 측정하였고 2005년 1월부터 2016년 2월을 분석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주요 항만도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지역의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패널 벡터오차수정모형의 그룹평균 추정량과 통합그룹평균 추정량을 사용하였다. 산업의 구성이 다양한 지역에서는 단기적으로 실업률의 변동의 폭이 작았지만, 제조업 생산지수의 변동성은 장기적인 경우에만 낮게 나타났다.

An Investigation on the Mutual Effect between Tax Revenue and Economic Growth

  • He, Yugang
    • 융합경영연구
    • /
    • 제6권3호
    • /
    • pp.14-25
    • /
    • 2018
  • Purpose - Taxes cover all aspects of society, especially in terms of resource allocation and economic growth. In reality, the tax revenue is often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a country's economy. The relationship between tax revenue and economic growth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by academic circles. Due to this background,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mutual effect between tax revenue and economic growth.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annual datum form 1980 to 2017 are employ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under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In this paper, the GDP is trea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tax revenue is treated as a dependent variable. Furthermore, a menu of statistic approaches will be used to testify the mutual effect between tax revenue and economic growth. Results - Via the co-integration test, the results report that the tax revenue h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Through the vector error correction estimation, the results also report that the tax revenue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in the short run. Conclusions - This paper provides a view that the tax revenue is a kind of a determinant to promote economic growth. Therefore, the China's government should pay much attention to the improvement of tax revenue system so as to maintain a high-speed economic growth.

임금격차, 무역 및 생산성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s among Wage Differentials, Trade, and Productivity in Korea)

  • 허식;이성원
    • 통상정보연구
    • /
    • 제8권2호
    • /
    • pp.299-312
    • /
    • 2006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 among wage differentials, trade, and productivity in Korea, using the methodology of Granger causality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ling. Cointegration test results over the 1975-2004 period indicate that all the test variables are cointegrated. Therefore, wage differentials, trade, and productivity are all related in the long run. We found some evidence on long-run relationship, while there is no short-run relationship between three test variables. First, trade and wage differentials have positively and bi-directionally Granger causality in the long-run. Second, productivity Granger causes negatively wage differentials in the long-run. Finally, productivity Granger causes positively trade in the long-run. These results explain partially the current theoretical predictions for wage inequality as well as supports the productivity-led growth hypothesis in the Korean economy.

  • PDF

컨테이너 운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n the Freight Rate of Container Carriers)

  • 안영균;고병욱
    • 무역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59-177
    • /
    • 2018
  • 국가 물류 인프라인 컨테이너 해운에 대한 합리적 투자 및 정책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해상운임의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벡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운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영국 클락슨이 공표하는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물동량 1.0% 증가 시 운임 4.2% 증가, 선복량 1.0% 증가 시 운임 4.0% 감소, 벙커유 가격 1.0% 증가 시 운임 0.07% 증가, Libor 1.0% 증가 시 운임은 0.04%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현 운임이 장기균형 시점의 운임보다 1.0% 높을 경우 운임은 3.2% 차기에 감소하며, 장기균형 운임보다 1.0% 적을 경우 0.12% 차기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불황기 영향력은 통계적 유의성이 낮았으며, 이는 호황기에는 운임감소 압력이 뚜렷하나 불황기에는 운임상승 압력이 없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향후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전망에 과학적인 접근법의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케이프사이즈 용선료에 미치는 영향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Affecting on the Charterage of Capesize Bulk Carriers)

  • 안영균;이민규
    • 무역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25-145
    • /
    • 2018
  • 발틱해운거래소는 건화물 해상무역 지수인 BDI(Baltic Dry Index) 지수를 발표하고 있는데, BDI 지수는 철광석, 석탄, 곡물 등 주요 건화물을 운송하는 벌크선박의 평균 용선료를 의미한다. 현재 BDI 산출의 기초가 되는 용선료 데이터는 케이프사이즈 40%, 파나막스 30%, 스프라막스 30%의 비중으로 반영되고 있다. 이처럼 케이프사이즈는 건화물 시장을 구성하는 다양한 사이즈의 선박 중에서도 대장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벡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케이프사이즈 용선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장기균형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케이프사이즈 선복량 1% 증가시 용선료 0.08% 감소, 엔달러 환율 1% 증가시 0.01% 감소, 세계 GDP 1% 증가시 0.02% 증가, 철광석과 석탄 물동량 1% 증가시 각각 0.11%, 0.09% 증가, 벙커유 가격 1% 증가시 0.04% 증가하는 실증분석 결과를 계측하였다. 벌크선 중 핸디막스, 파나막스급 활용도가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케이프사이즈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본 연구는 케이프사이즈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arlic and onion acreage response

  • Lee, Eulkyeong;Hong, Seungj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136-143
    • /
    • 2016
  • Garlic and onion are staple agricultural products to Koreans and also are important with regard to agricultural producers' income. These products' acreage responses a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st whether there is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garlic acreage and onion acreage when one tries to estimate the acreage response's function. Based upon the test result of cointegratio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garlic acreage and onion acreage. In this cas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is preferred to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garlic and onion acreage responses using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 The estimated results of VAR acreage response model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and lagged acreage of more than one lag.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long-run period's relationship of each product's acreage when it plans a policy for stabilizing the supply and demand of garlic and onion. For the price variables, garlic price only affects garlic acreage response while onion price affects not only onion acreage response but also garlic acreage response. This implies that the stabilizing policy for onion price could have bigger effects than that for garlic price stabilization.

MODIS AOD 기대 오차에 따른 6SV 기반 KOMPSAT-3A 채널별 지표반사도 오차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Surface Reflectance Error Retrieved from 6SV for KOMPSAT-3A according to MODIS AOD Expected Error)

  • 정대성;심수영;우종호;김나연;박성우;김홍희;한경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517-152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Second Simulation of the Satellite Signal in the Solar Spectrum Vector를 활용하여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aerosol optical depth (AOD)의 기대 오차(expected error, EE)가 KOMPSAT-3A 지표반사도(surface reflectance, SR)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연구에서 다양한 지상 AOD와 그에 따른 MODIS AOD EE를 고려함으로써, 파장이 짧고 태양천정각(solar zenith angle, SZA)이 높을수록 SR 오류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확인했으며, 이는 파장과 SZA 고려 사항을 통합하여 대기보정 알고리즘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이 연구는 대기보정 과정에서 다른 위성의 AOD 자료 활용에 대해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대기보정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우리나라 조선산업에서 선박수출과 경제성장의 인과성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essel Export and Economic Growth in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 김창범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08
  • 조선산업에 있어서 자유무역 확대 및 BRICs 고성장으로 인한 해상물동량 증가, 선박기술과 문화의 융합에 따른 고급레저 선박수요의 증대,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고속화와 같은 글로벌 환경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2년에 들어서면서 세계 1위로 성장하였고 2006년 선박건조량 기준 35%의 점유율을 달성하였다. 수주량 확보, 생산성 향상 및 공법개선, 안정된 노사관계 확립으로 생산량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선박수출액은 1994년 49억 달러, 1999년 700억 달러, 2003년 1000억 달러, 2006년 2000억 달러로 대단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선박수출과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박수출이 실질소득에 영향을 미치고 실질소득이 선박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박수출와 실질소득 간에 쌍방적 인과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박수출에서만 오차수정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단기에 있어서는 선박수출이 실질소득을 증가시키나 장기에서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은 데 비해, 소득변동은 선박수출에 단기에서 뿐 아니라 장기에서도 일정한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질소득과 선박수출의 오차수정방정식에서 선박수출과 오차수정항, 실질소득과 오차수정항에 대한 결합가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MM Estimation for Seasonal Cointegration

  • Park, Suk-Kyung;Cho, Sin-Sup;Seon, Byeong-Chan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2호
    • /
    • pp.227-237
    • /
    • 2011
  • This paper considers a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GMM) estimation for seasonal cointegration as the extension of Kleibergen (1999). We propose two iterative methods for the estimation according to whether parameters in the model are simultaneously estimated or not. It is shown that the GMM estimator coincides in form to a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or a feasible two-step estimator. In addition, we derive its asymptotic distribution that takes the same form as that in Ahn and Reinsel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