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cular plant species

검색결과 534건 처리시간 0.03초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 신현탁;이명훈;이창현;성정원;김기송;권영한;김상준;안종빈;허태임;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3-308
    • /
    • 2014
  • 본 연구는 국립 DMZ자생식물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2년 5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은 79과 211속 272종 4아종 32변종 4품종 1교잡종으로 총 3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긴잎갈퀴, 가시오갈피, 너도바람꽃, 나도개감채 등 총 8분류군, 특산식물은 키버들, 할미밀망, 고광나무, 고려엉겅퀴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3.51%, 3.43%로 나타났다.

Vascular plants of Poaceae (I) new to Korea: Vulpia bromoides (L.) Gray, Agrostis capillaris L. and Eragrostis pectinacea (Michx.) Nees

  • Cho, Yanghoon;Kim, Jonghwan;Han, Jeong Eun;Lee, Byoungy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14-21
    • /
    • 2016
  • Recent field and herbarium studies have yielded three vascular plant taxa of the family Poaceae that have been documented in Korea. All of the three species, collected from Jeolla-do and adjacent areas, were introduced and naturalized. Three species are identified as Vulpia bromoides (L.) Gray, Agrostis capillaris L. and Eragrostis pectinacea (Michx.) Nees. We provide the descriptions and descriptive photos of these species. Keys to the newly recorded species and related taxa are also provided.

흥정산(강원, 평창) 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징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Resources in Mt. Heungjeong (Pyeongchang-gun, Gangwon-do))

  • 한준수;천경식;김경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6-432
    • /
    • 2012
  • 흥정산에 대한 식물의 분포와 특징을 밝히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은 78과 238속 343종 3아종 47변종 10품종으로 총 403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종류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8분류군, 희귀식물 16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의 산작약, IV등급은 끈끈이장구채 등 6종류, III등급은 개고사리 등 15분류군, II등급은 낚시고사리 등 24종류, 그리고 I등급은 속새 등 25종류로 총 71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20분류군이었으며 귀화율은 5.0%로 산출되었다. 용도는 식용이 175 종류(43.4%)으로 가장 많았고, 약용이 126종류(31.3%), 목초용이 65종류(16.1%), 관상용이 52종류(12.9%), 목재용과 섬유용이 12종류(3.0%), 그리고 공업용이 3종류(0.7%)로 나타났다.

Vascular plants of Poaceae (II) new to Korea: Holcus mollis L. and Aira elegantissima Schur

  • Cho, Yanghoon;Kim, Jonghwan;Lee, Byoungy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71-176
    • /
    • 2017
  • Recent herbarium reexamination and field studies yielded two monocotyledonous plant taxa of the family Poaceae that could be documented in the national inventory list of species of Korea. These species, collected from Jeollabuk-do and Gyeongsangnam-do, were introduced and naturalized in Korea. Two species were identified as Holcus mollis L. and Aira elegantissima Schur. We provided the descriptions and descriptive photos of these species. Keys to the newly recorded species and related taxa were also provided.

제주시 일대 오름의 식물다양성과 보전방안 (Plant Diversity and Conservation in Oruem of Jeju City)

  • 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35-653
    • /
    • 2012
  • 제주시 지역 18개 오름의 관속식물은 116과 301속 359종 3아종 78변종 및 14품종으로 총 45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오름은 해발 800m 이내로 상록수림은 분포하지 않고 곰솔림이나 삼나무와 편백 조림지가 많았다. 제주시지역 18개 오름의 고유종은 개족도리풀, 새끼노루귀, 벌깨냉이 등 14종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16분류군으로, V등급종은 목련, 한라돌쩌귀, 갯취 등 6종, IV등급종은 섬딸기, 버들쥐똥나무, 청피사초 등 16종, III등급종은 붓순나무, 등수국, 가시복분자딸기 등 37종, II등급종은 참개별꽃, 돌양지꽃, 회목나무 등 6종 그리고 I등급종은 바위고사리, 봉의꼬리, 후박나무 등 51종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희귀종은 개족도리풀, 한라돌쩌귀 및 목련 등 11종이었다.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서양금혼초, 등심붓꽃 등 3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남도 일부지역 대규모 절토비탈면의 식물침입 (Plants Invasion in Large-scale Cutting Slopes in the Part of Jeollanamdo)

  • 박문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2-42
    • /
    • 2005
  • To investigate the plants invasion process and dominant species in large-scale cutting slopes, slopes elapsed one year to thirteen years after construction had been selected in five counties.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pecies of high appearance frequency were Alnus firma, Arundinella hirta, Miscanthus sinensi var. purpurascens, Erigeron cancdensi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Oenothera odorata, Lactuca raddeana, Lactrca indica var. laciniata, Lespedeza bicolor, Youngia sonchifolia, Populus albaglandulosa, and so on. The biological type of identified vascular plants was $Ch-D_1-R_{5-e}$. In time, plant coverage was increased gradually and average of plant coverage was 1.17% in slopes which elapsed one year, 42.44% after six years, 56.67% after eight years, and 69.17% after ten year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surveyed slopes were covered with Alnus firm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rigeron cancdensis, Miscanthus sinensi var. purpurascens, Arundinella hirta, Lactuca raddeana, Oenothera odorata, Boehmeria spicata, Kummerowia striata and Artemisia montana of the 59 species. The conditions of location in large-scale cutting slopes are hard to fix and germinate of seeds, and extend plant roots in the slope soil. Hence, the highly appearance species and dominance species of the area will make plant coverage quick and slope stable.

철원지구 초지의 구조와 생산성에 관한 연구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Chulwon grasslands)

  • 장남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1권4호
    • /
    • pp.30-36
    • /
    • 1968
  • The vascular flora of grasslands in Mt. Kumhak, Moonheri, Sungilkyo and Kosukjong area located at Chulwon were composed of 54, 57, 45, and 39 species, the most impotant of which were Arundinella hirta and Miscanthus purpurascens. These two species contributed greatly to the standing crop of live material was in excess of 142g/$m^2$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The peak standing crop of 332.4g/$m^2$ was reached in July under flooded conditions largely as a result of the growth of Miscanthus Purpurascens and Arundinella hirta. The net production of organic matter occurred largely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The net productivity of the vascular component of community was in excess of 27.3g/$m^2$ for one growing season.

  • PDF

각호산(영동군)의 관속식물과 수직분포 (Vertical distribution and vascular plants in the Gakho mountain (Yeongdong-gun), Korea)

  • 김중현;김진숙;신수경;허태임;김영훈;박성혁;김진석
    • 환경생물
    • /
    • 제41권1호
    • /
    • pp.60-88
    • /
    • 2023
  • 본 연구는 각호산의 관속식물과 고도별 수직분포 조사를 조사하였다. 2022년 5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4과 282속 426종 11아종 35변종 4품종 2교잡종의 47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리는 관속식물 398분류군에 대해 고도별 분포범위를 구축하였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19분류군, 희귀식물은 1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72분류군으로 V등급에 2분류군, IV등급에 2분류군, III등급에 16분류군, II등급에 27분류군, I등급에 2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71분류군, 외래식물은 19분류군이며, 귀화율 4.0%, 도시화지수 6.6%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 식물은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종 풍부도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다가 정상부에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고도별 종 조성의 유사도는 저지대(해발 500~600 m)를 제외하고 인접한 고도 간에 높은 유사도를 보여주었다. 고도에 따른 환경특성이 관속식물의 종 조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였다. 각호산은 고도에 따라 57.2~84.2℃·month의 온도 범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관속식물의 분포 자료로써 추후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의 분포 변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에서 채집된 미키 박사 표본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Notes on the Dr. Miki's Specimens Collected from Korea)

  • 신현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52
    • /
    • 2006
  • 일본 오사카 자연사박물관에는 미키 박사의 수생관속식물 표본 3,600 여점이 소장되어 있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채집된 표본은 104점이었고, 이를 재동정한 결과 48종류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미키 박사와 장형두를 비롯한 14인에 의하여 1920년대에 주로 채집된 것이다. 매화마름 (Ranunculus kadzusensis), 솔잎가래 (Potamogeton pectinatus), 애기거머리말 (Zostera japonica), Ruppia truncatifolia(국명 없음), 그리고 통발속 (Utricularia species)과 같이 국내에서 멸종 위기 내지 희귀종인 수생관속식물에 대하여 분류학적 검토를 하였다. 또한, 통발 속의 Utricularia ochroleuca Hartm. 와 U. tenuicaulis Miki, Blyxa leiosperma Koidz., Najas japonica Nakai, 그리고 Rotala leptopetala Koehne 등 5종은 우리나라 미기록종이다.

Analysis of Plant Species Community within Upland Wetlands at Mt. Ilgwang

  • Huh, Man-Ky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27-434
    • /
    • 2011
  •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full range of vegetation in a upland wetland (marshland) in Korea. Classified community types were used to describe vegetation at the marshland and adjacent areas. The communities contained 44 species of vascular plants and all species were identified into four plant community types. The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type and Lespedeza cyrtobotrya type had a high representation infacultative upland species (FU) and obligate upland species (OU), respectively. The monocot type was dominant in marshland by Miscanthuns saccharifloruc and contained 14 species. Together the three areas contained four species, with the strongest indicator species being Ranunculus acris var. nipponicus,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Hemerocallis fulva, and Miscanthuns sinensis var. purpurascens. Shannon-Weaver index of diversity also varied among the community types (F = 18.9, df = 2), with the types FU having significantly higher value (3.467) than the others (1.125 for type FW and 1.239 for type 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