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cose vein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5초

하지 정맥류에 대한 정맥내 레이저 치료시 레미펜타닐의 사용 (Intravenous Remifentanil Infusion during EVLT for Varicose Vein)

  • 황성욱;손동섭;조대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47-252
    • /
    • 2008
  • 배경: 본 연구에서는 하지정맥류 정맥내 레이저 치료 시 통증 경감을 위해 사용하는 국소적 리도카인의 효과와 정맥주업용 레미펜타닐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리도카인 군 (n=15)과 레미펜타닐 군 (n=15)간에 진통 효과의 유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통증의 강도를 visual analogue scale을 사용하여 수술 중과 수술 후 1주에서 4주까지 1주 간격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중에는 레미펜타닐을 사용한 군에서 리도카인 군에 비해 유의한 수준의 통증 경감이 있었으며(p<0.01), 수술 후 1주에서 4주 사이에는 양군이 통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 결론: 이상의 결과는 하지 정맥류 레이저 치료 시 통증 경감을 위해 레미펜타닐의 정맥 주입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Prosthetic Grafting and Arteriovenous Fistula for the Surgical Management of a Common Femoral Vein Injury Using a Staged Approach

  • Son, Kuk Hui;Lee, So Young;Kang, Jin Mo;Choi, Chang Hu;Park, Kook Yang;Park, Chul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2호
    • /
    • pp.133-136
    • /
    • 2017
  • A 27-year-old female patient was referred due to an edematous left lower extremity. Both saphenous veins had been ablated with an endovenous laser procedure used to treat varicose veins. Venography revealed that the left common femoral vein had been divided and that thrombosis was present at the site of division. No veins were available around the thighs. The patient was treated using a staged procedure. During the first stage, a ringed polytetrafluoroethylene graft was used to repair the common femoral vein, and an arteriovenous fistula was constructed from the femoral artery to the graft using a short segment of cephalic vein to increase graft patency. The edema was relieved postoperatively and the graft was patent. During the second stage, which was performed 6 months later, the fistula was occluded by coil embolization. The staged procedure described herein provides an alternative for venous reconstruction when autologous vein is unavailable.

하지정맥류 증상 측정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the measurement of varicose vein symptom)

  • 권진아;신성윤;이현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9-170
    • /
    • 2018
  • 생활 수준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많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인의 생활 패턴이 편리하고 다양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움직임은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생활 패턴변화는 우리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를통해 나타난 건강 이상신호도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지정맥류로 인한 이상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장치개발을 위해서 하지정맥류 기초연구자료에 관하여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향후 장치개발을 위한 기본 연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결절종으로 오인된 하지정맥류로 인한 족근관 증후군: 증례 보고 (Tarsal Tunnel Syndrome due to Varicose Veins Misdiagnosed as Ganglion Cyst: A Case Report)

  • 문영관;이현준;김유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58-161
    • /
    • 2023
  • Tarsal tunnel syndrome is a nerve entrapment syndrome of posterior tibial nerve as it passes through the tarsal tunnel. The patient presented posteromedial malleolar swelling, palpable mass and pain, and was misdiagnosed as ganglion cyst in the other clinic. Aspiration and steroid injection were done for years, which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ymptom relief. As skin lesion and pigmentation abruptly appeared around the palpable mass, MRI and physical exam were done in our hospital.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varicose veininduced tarsal tunnel syndrome and therefore tarsal tunnel decompression following dilatated varicose vein resection was done. The patient's symptom was improved after the surgery. Therefore, herein we report this case.

하지 정맥류의 고식적 수술 방법과 광투시 전동형 정맥제거술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Conventional Phlebectomy and Transiliuminated Powered Phlebectomy in Varicose Veins)

  • 이충원;정성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15-420
    • /
    • 2005
  • 하지 정맥류의 수술적 치료방법 중에서 고식적 수술 방법과 최근 도입된 광투시전동형 정맥제거술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고 두 방법 간의 장단점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3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46개월 간 부산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하지 정맥류 수술을 받은 114명(167하지)을 대상으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유병기간, 초음파 검사 결과, 수술절개창의 수, 수술시간, 재원일수, 합병증 등을 관찰 분석하였다. 결과: 고식적 수술을 받은 환자군과 광투시 전동형 정맥제거술을 받은 환자 군간에 연령, 증상, 유병기간, 초음파 검사 소견은 유의한 차이가 얼었으나 수술 절개창의 수, 수술시간, 재원일수는 광투시전동형 정맥제거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적었다. 끌론: 하지 정맥류의 수술방법으로 광투시 전동형 정맥제거술은 수술시간과 수술 절개창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었다. 수술 후 반상출혈 등의 합병증이 있었으나 2개월 이내에 모두 소실되고, 환자의 만족도 도 높았다. 따라서 광투시전동형 정맥 제거술은 하지 정맥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하지정맥류에서 관절경 장비를 이용한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 (Transilluminated Powered Phlebectomy Using Arthroscopic Equipment in Varicose Vein of Lower Extremities)

  • 박형주;이철세;이길노;이석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391-396
    • /
    • 2003
  • 배경: 하지정맥류에 대한 수술치료법으로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이 최근에 소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의 장점은 절개를 최소화하여 미용적으로 우수하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Trivex라는 고가의 장비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며 환자부담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저자는 Trivex 대신에 기존 관절경장비를 이용하여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을 실시하여 치료효과와 유용성을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하지정맥류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기존 관절경장비를 이용하여 113예의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을 실시하였다. 환자들의 병력, 절개창 숫자, 수술의 효과와 합병증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41.8세였으며 남자가 34명 여자가 44명이었다. 평균수술시간은 편측 하지당 48.7분이었고 절개창은 스트리핑을 위한 서헤부와 발목부의 창상을 포함하여 평균 4.9개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전례에서 반상출혈이 있었으나 저절로 흡수되어 사라졌으며, 3주 이상의 부종이 6예, 수술 시 발견치 못하고 남은 정맥류가 4예 수술 중 shaver의한 피부천공이 2예 있었다. 또한 압박스타킹 착용에 따른 접촉성 피부염이 나타난 경우가 4예 있었다. 시각적 상사척도에 의한 환자들의 수술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는 평균 92.6%였다. 결론: 관절경장비를 이용하여도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이 가능하며 심한 합병증 없이 미용적으로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하지정맥류에 대한 압박경화요법 (Compression Sclerotherapy for Varicose Veins)

  • 오상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75-878
    • /
    • 2001
  • 배경: 비록 경화요법이 정맥류를 치료하는데 확립된 방법일지라도 그 성공률에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압박경화요법의 치료효과와 합병증을 평가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2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일차성 하지 정맥류 환자중 압박경화요법을 시행 받은 39명(50예의 하지)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사한 직후 정맥류의 경로를 따라서 탈지면롤을 댄 후, 다시 class II 압박스타킹을 신겼다. 환자는 치료효과와 합병증의 정도를 보기 위해서 시술후 5일, 1주, 2주, 6주에 평가되었다. 결과: 환자의 연령은 26세에서 66세까지로 평균 45.3세이었으며 여자 36명, 남자 3명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경화요법의 결과는 우수하였다. 50례의 하지 중 5례에서만 작은 합병증이 있었는데 2례의 혈관내 작은 응혈, 2례의 색소침착, 1례의 압박으로 인한 수포가 있었다. 이는 특별한 치료 없이 모두 회복되었다. 결론: 국소 압박도구로써 탈지면롤은 매우 손쉽고 효과적이며, 압박경화용법은 경제적 부담이 적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 PDF

하지정맥류의 외래수술을 위한 저용량 척추마취 (Low Dose Spinal Anesthesia for Ambulatory Surgery of Varicose Vein)

  • 양진성;박영우;이재욱;원용순;신화균;이동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33-237
    • /
    • 2009
  • 배경: 하지정맥류의 외래수술을 위한 마취로 Bupivacaine에 fentanyl을 첨가하여 시행한 척추마취가 적당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마취를 이용하여 하지정맥류 수술을 받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척추마취제로 bupivacaine 4mg과 fentanyl 25ug을 사용한 군(FB4군)과 bupivacaine 8mg을 사용한 군(B8군)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 간 적정한 마취유지, 수술중 심혈관계 합병증, 감각 및 운동차단회복시간, 수술 후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마취성공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13 of 15 [FB4군], 15 of 15 [B8군]). 두 군 모두 수술 중 통증 때문에 전신마취로 전환은 없었다. 수술 중 치료가 필요한 심혈관계 합병증은 두 군 모두에서 없었다. Modified Bromage scale로 측정한 척추마취 후 두 시간째 수술측과 비수술측 운동차단정도는 FB4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척추마취로부터 감각 및 운동차단회복은 FB4군이 B8군보다 유의하게 빨랐다(p<0.05). 맘대로소변보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6.5시간 대 4.5시간 [p=0.143]) 배뇨 장애로 넬라톤 카테터를 삽입한 경우는 B8군에서는 2예 있었고 FB4군에서는 없었다. 결론: bupivacaine 4mg과 fentanyl 25ug을 이용한 척추마취는 수술 중 심혈관계의 안정성이 유지되고 적당한 감각차단이 이루어지고 수술 후 운동차단 시간을 감소시켜 빠른 보행이 가능하여 하지정맥류 외래수술에 적당한 마취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정맥류 경화용법 (Sclerotherapy of the varicose veins)

  • 김부연;김재영;이교준;함석진;김해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231-234
    • /
    • 2001
  • 배경: 하지 정맥률의 치료법중의 하나인 압박경화요법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1997년 8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복대-대퇴정맥판막 부전이 없는 하지정맥류 환자 중 압박경화용법을 시행 받은 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역 및 이화학적 검사결과, 압박경화용법의 치료효과와 합병증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 환자의 연령은 20대에서부터 70대까지 있었으며, 평균 43.4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28명 여자가 66명 이었다, 정맥의 돌출 이외에 다른 증상은 없는 환자가 87명이었으며, 다리가 무거운 증사, 피로, 통증도 각각 1예, 2예, 2예가 있었다. 대상 환자 중에서는 소복재정맥에 이환된 사람이 83예이었다. 50명환자에서 1회의 시술만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으며, 시술 후의 합병증으로 부분적인 열감, 정맥염, 괴사가 있었다. 결론: 복재-대퇴정맥판막 부전이 없는 하지정맥류의 치료에 있어 경화요법은 미용적으로 우수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