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cose vein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초

정맥류 환자의 수술적 치료 -광투시 전도형 정맥적출요법- (Surgical Treatment of Varicose Vein - TIPP(Transilluminated Powered Phlebectomy) -)

  • 이교준;김해균;정은규;강두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44-148
    • /
    • 2002
  • 본 연구는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의 안정성과 임상적인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2월부터 2001년 7월까지 본원에서 하지정맥류로 진단받고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을 시행받은 104명의 환자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1992년부터 2000년 12월까지 정맥결찰 및 제거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90례를 대조군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수술시간 및 재원기간, 부작용등을 비교하였다. 총 104명의 환자중 여자는 72명 남자는 32명이었으며, 팽대된 정맥류는 2~3mm정도의 작은 피부절개창을 낸 후에 TrivexTM Irrigated illuminator(Smith & Nephe $w^{ R}$) system으로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여 수성박리(hydrodissection)을 시행한 후 TrivexTM Resector(Smith & Nephe $w^{R}$) system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제거된 정맥의 파편은 흡입기를 이용하여 흡인한 후 패드를 이용하여 압박하여 출혈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수술부작용은 정맥염, 하지부종, 피부천공 등 3.84%이었으며, 평균 피부절개는 3.24개, 평균수술시간은 65.9%이었다. 환자는 평균 1.86일간 입원하였다. 하지 정맥류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광투시 전동형 정맥적출술은 수술시간 및 합병증의 발생에 있어서 기 존의 수술적 치료방법과 비교하여 우수하며, 환자의 시간적, 경제적 부담이 적으며 재발의 위험이 적고, 미용적으로 우수한 좋은 치료방법이다.의 위험이 적고, 미용적으로 우수한 좋은 치료방법이다.

하지정맥류 수술 시 발견된 난원와에서의 대퇴동맥-대퇴정맥 전이 - 3예 보고 - (Transposition of Femoral Artery and Vein in Fossa Ovalis Encountered during Varicose Vein Surgery - 3 cases report -)

  • 김성완;김덕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236-239
    • /
    • 2007
  • 복재-대퇴 접합부 박리 시 외음부동맥과 대복재정맥 분지의 해부학적인 변이는 자주 발견되나 대퇴동맥과 대퇴정맥의 위치 전이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정맥류 수술 시 이러한 해부학적 변이를 염두에 둔다면 수술 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원발성 하지정맥류의 임상적 고찰 - 209례 보고 - (Clinical Analysis of Primary Varicose Vein - review of 209 cases -)

  • 이연재;박철;김종석;김한용;유병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09-916
    • /
    • 2001
  • 배경 : 하지정맥류는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혈관 질환으로 흉부외과 영역에서도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99년 4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하지정맥류 환자 209명 혹은 269족의 임상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 관찰하였다. 결과 : 남자는 52명, 여자는 157명으로 1:3의 비율이었고, 연령은 평균 42.2$\pm$9.7세 이었으며, 평균 발생기간은 12.2$\pm$9.7년이었고, 평균 추적간은 2001년 7월을 기준하여 평균 14.8$\pm$6.1개월이었다. 증상은 하지 통증이 122례(58.4%)로 가장 많았다. 장시간 서있는 직업(44명), 임신(37명), 가족력이 있는 경우(7명) 및 이들의 조합이 주원인으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주병소는 대복제정맥까지 침범한 경우가 126례, 소복제 정맥까지 침범한 경우가 18례, 망상혈관 및 모세혈관확장증만 있었던 경우가 65례 있었다. 치료는 대복제정맥 발거,분절 절제술, 대복재정맥-대퇴정맥 연결부위 결찰, 혈관 경화요법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경우 발거를 시행한 군(A군)과 혈관경화요법을 시행한 군(B군)을 비교했을때, 시술후 합병증은 A군에서 많았고(p 0.05), 재발은 B군에서 많았다(p 0.05). 소복재정맥까지 침범한 경우 stab avulsion을 시행한 경우(C군)와 혈관 경화요법을 시행한 경우(D군)의 비교시 D군에서 2례의 재발이 있었으나 합병증 및 재발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혈관 경화요법에서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경우(B군)와 망상정맥 및 모세혈관확장증이 있는 경우(E군)의 비교시 합병증은 차이가없었으나(p 0.05), 재발률은 B군에서 높았다(p 0.05). 발거후 합병증으로는 발목 무감각 및 저린 느낌(2례), 발목 통증(2례), 족부부종(2례),창상감염(1례)등이 있었고, 혈관 경화요법의 경우 정맥혈전염(1례), 피부궤양(1례)등이 있었다. 결론 : 대복재정맥의 혈관경화요법은 발거술 보다 재발률이 높았지만. 망상정맥 및 모세혈관확장증에서의 혈관경화요법은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정맥류의 혈관 경화요법을 시행한 경우보다 재발률이 낮았다. 하지만, 혈관경화요법은 수술 및 입원이 필요없는 간편한 치료이기에 대복재정맥의 경우에도 더욱 연구 보완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Early Results of Cryosurgery in Varicose Veins in Korea: Safety and Feasibility

  • Yi, Eun-Jue;Lee, Sung-Ho;Cho, Jong-Ho;Kim, Kwang-Tai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3호
    • /
    • pp.155-160
    • /
    • 2012
  • Background: Cryosurgery was recently introduced as a treatment for varicose veins in the lower extremities. Cryosurgery with freezing probes can be used to remove the great saphenous vein (GSV) via an inguinal incision al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early outcomes and the feasibility of cryosurgery for varicose veins. Materials and Methods: Forty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from March 2009 to July 2010. All patients underwent careful physical examinations, and their GSV reflux was demonstrated by duplex ultrasonography. Clinical sever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clinical-etiology-anatomy-pathophysiology (CEAP) classification. The impaired GSVs were removed with rigid cryoprobes after freezing. Patients had follow-up appointments at 1 week, 1 month, 3 months, and 6 months after surgery. Sclerotherapy was performed during follow-up on an outpatient basis as needed. Results: A total of 19 men and 21 women were enrolled.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3.4 months (range, 1 to 12 months). The clinical severity ranged from CEAP 2 to CEAP 6a. Thirty-eight patients underwent concomitant phlebectomy during surgery. No recurrences were reported during follow-up. There were three cases of minor complications. Two patients had paresthesia, and one had thrombophlebitis. Conclusion: Using cryosurgery techniques to treat varicose veins, the complication rates were minimal and outcome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previous reports. This procedure is a safe and feasible treatment modality for varicose veins.

하지정맥류 모사 생체조직 팬텀과 조직등가 팬텀을 이용한 초음파 치료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Ultrasound Therapy Using Varicose Vein Simulated Tissue Phantom and Tissue Equivalent Phantom)

  • 김주영;정태웅;신경원;노시철;최흥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27-433
    • /
    • 2018
  • 비침습적 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로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하지정맥류 치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정맥류 정맥 치료 효과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생체 조직 팬텀과 조직 등가 팬텀을 제시 하였다. 제작된 팬텀은 음향학적 특징과 초음파 조사에 따른 수축률을 평가함으로써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하지정맥류가 발생하는 조직의 구조를 고려하여 피부, 지방, 근육의 세 층으로 된 다층 구조 팬텀을 제작하였으며, 각 층을 구성하는 물질은 인체와 유사한 특성을 갖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혈관 유사물질을 매식한 다층 구조 팬텀과 동물 혈관을 이용한 다층 구조 팬텀, 동물 조직을 이용한 다층 구조 팬텀을 제작하였으며, 초음파 조사에 따른 혈관 유사 물질 및 혈관 조직의 수축 정도를 B-mode 영상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제시된 팬텀이 초음파 하지정맥류 치료 평가에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하지정맥류 치료 장비 개발 및 치료 효과 검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Rare Vascular Anomalies in the Femoral Triangle During Varicose Vein Surgery

  • Kim, Duk Sil;Kim, Sung Wan;Lee, Hyun Seok;Byun, Kyung Hwan;Choe, Michael SungPil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2호
    • /
    • pp.99-104
    • /
    • 2017
  • Background: We observed several cases of rare vascular anomalies within the femoral triangle during varicose vein operations. Methods: From among 2,093 patients who underwent stripping operations of the great saphenous vein between January 2002 and June 2016, 14 cases of rare vascular anomali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sults: Twelve cases of femoral artery and vein transposition (0.57%), 1 case of separate entrance of the great saphenous vein trunk and its tributaries (0.05%), and 1 case of separate entrance with femoral artery and vein transposition (0.05%) were observed. The preoperative diagnosis rate was 71% (10 of 14) using duplex ultrasound. In all cases of femoral artery and vein transposition, the saphenofemoral junction was located at the lateral or posterolateral side of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corresponding to complete or incomplete transposition, respectively. Among the 12 cases of femoral artery and vein transposition, 5 cases were complete transposition and 7 cases were incomplete transposition. In 2 cases of separate entrance of the great saphenous vein trunk and its tributaries, the separated tributaries formed a common trunk before connecting to the femoral vein. Conclusion: The anatomy of the saphenofemoral junction may infrequently be altered in some individuals. Detailed preoperative sonographic examinations and meticulous groin dissection during the operation are necessary to prepare for unexpected anatomical variations.

귀비탕(歸脾湯)으로 호전된 뇌경색을 동반한 하지정맥류 환자 치험 1례 (A Case of Varicose Veins of the Lower Limbs with Cerebral infarction Treated with Guibi-tang)

  • 이해연;조현석;김정철;이재은;이재준;배동주;공경환;백태현;박정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33-639
    • /
    • 2004
  • A varicose vein of the lower limbs is dilated, tortuous and elongated vein. Western medical treatment involves conservative management, sclerotherapy, and surgery. Currently, internal medicinal treatment is inadequate. Recently a patient was diagnosed with varicose veins of the lower limbs based on clinical symptoms. In this case, Guibi-tang was administered and clinical symptoms improved. This report suggests that oriental medicinal treatment is efficacious in treating varicose veins of the lower limbs. We think that further oriental medical studies on various surgical diseases are needed.

  • PDF

하지정맥류의 투시조명하 전동형 정맥류 수술법 (Transilluminated Powered Phlebectomy for Varicose Vein)

  • 신화균;원용순;송철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11-614
    • /
    • 2001
  • 배경: 하지정맥류의 새로운 수술법중의 하나인 투시조명하 정맥류수술법의 효과 및 안정성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순천향대학교부석 부천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을 시행 받은 8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병력 및 수술시간, 절개창 및 술 후 통증 정도, 합병증 등을 살펴보았다. 결과: 환자들의 연령은 평균 45.5세(범위, 25세-78세)였으며, 남자가 32명 여자가 51명으로 여자가 많았다. 103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한쪽인 경우가 63예, 양측인 경우가 20예였다. 평균수술시간은 한쪽 하지당 35.5분이었고 수술창은 한쪽 하지당 서혜부수술창을 제외하고 평균 2.7개이었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혈종생성이 3예, 부종이 2예, 남겨진 정맥류가 2예였다. 술 후 통증 점수(통증이 없으면 1점, 아주 심각한 통증이 있으면 10점)는 수술당일은 평균 2.4점이었고 수술 후 3일째는 2점, 1개월 이후는 1점이었다. 결론: 투시조명하 정맥류 수술법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미용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치료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 PDF

레이저를 이용한 하지정맥류 치료의 정량화 연구 (Quantitative Evaluation on Laser Performance for Endovenous Photocoagulation)

  • 안민우;;오정환;강현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2-67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laser parameters on photocoagulation to maximize safety and efficacy during varicose vein treatment. CW and pulsed modes at 1470 nm were initially compared as a function of power on bovine liver tissue. In the pulsed mode,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repetition rate, duty cycle, and irradiation time were compared to evaluate tissue response during thermal treatme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CW and pulsed modes yielded almost similar coagulation development possibly due to shorter irradiation time of 5 sec. Regardless of laser mode, both repetition rate and duty cycle presented constant coagulation rate whereas longer irradiation time facilitated coagulation process.

Characterization of Venous Involvement in Vasculo-Behçet Disease

  • Lee, Na Hyeon;Bae, Miju;Jin, Moran;Chung, Sung Woon;Lee, Chung Won;Jeon, Chang 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6호
    • /
    • pp.381-386
    • /
    • 2020
  • Background: Behçet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with a varying etiology. Herein, we report the involvement of peripheral veins in Behçet disease and discuss the treatment thereof. Methods: Thirty-four patients with venous involvement in vasculo-Behçet disease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over 15 years. We reviewe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treatment choices, and complications of these patients. Results: Deep vein thrombosis (DVT) was observed in 24 patients (70.59%) and varicose veins in 19 (52.94%). Immunosuppressive treatment was administered to all patients due to the pathological feature of vein wall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DVT, anticoagulation therapy was also used, but post-thrombotic syndrome was observed in all patients along with chronic luminal changes. Eleven patients with isolated varicose veins underwent surgery; although symptoms and lesions recurred in half of these patients, no cases of secondary DVT occurred. Conclusion: When DVT was diagnosed in patients with Behçet disease, there was no cure for the lesions. Ultrasonographic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all patients, and post-thrombotic syndrome remained to varying degrees. In cases of isolated varicose veins in patients with Behçet disease, DVT did not occur after surgical treatment. If the activity of Behçet disease is controlled, surgical correction of varicose veins is pref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