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 Block Siz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초

An Adaptive Motion Estimation Technique Using Temporal Continuity of Motion

  • Park, Jung-Hyun;Lee, Kyeong-Hwan;Kim, Duk-Gyoo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ITC-CSCC -1
    • /
    • pp.7-10
    • /
    • 2000
  • Fast block motion estimation technique is proposed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n video coding. In the conventional methods the size of search region is fixed. For small motion regions like background the small size of sea of search region is enough to find a block motion. But for active motion regions the large size of search region is preferred to figure out the accurate motion vector.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a block motion is estimated in the variable search region (both the size and the position of it). That is to say, the search region varies according to the predicted motion characteristics of a block. The block motion in video frames has temporal continuity and then the search region of a current block is predicted using the block motion of previous block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significantly reduced with a good picture qua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 PDF

탐색 영역 데이터의 재사용 및 조기중단이 가능한 HEVC 움직임 추정 엔진 설계 (Design of HEVC Motion Estimation Engine with Search Window Data Reuse and Early Termination)

  • 허아름;박태욱;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73-278
    • /
    • 2016
  • HEVC 가변 블록 크기 움직임 추정 기법에서는 동일 탐색 영역의 데이터가 블록 크기 별로 중복 사용되어 탐색 영역 데이터의 사용량이 많고 조기중단 기법의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상위 블록 크기 PU를 탐색의 기준으로 두어, 최상위 블록 크기 PU의 탐색과 동일 지점에서의 하위 블록 크기 PU의 탐색을 동시에 진행하여 메모리 대역폭을 줄였고, 최상위 블록 크기 PU의 연산 결과값을 재사용하여 연산량 또한 줄였다. 조기중단 기법을 적용했을 때 또한 최상위 블록 크기 PU를 기준으로 판별하면 하위 블록 크기 PU의 위치에 따라 탐색 기회가 고르게 반영되지 않아 화질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기중단 기법의 적용 순서를 최상위 블록 크기 PU 내의 최하위 블록 크기 PU를 기준으로 위아래로 번갈아 수행하도록 변형하였다. 설계된 ME 엔진은 Verilog HDL로 기술하고 0.18um 공정에서 합성 및 검증하였으며, 하드웨어 크기는 36,101 게이트이고 최대 동작 속도는 263.15 MHz이다.

평면 링크기구 자동 설계를 위한 스프링 연결 사이즈 가변 블록 모델 (Spring Connected Size-Variable Rigid Block Model for Automatic Synthesis of a Planar Linkage Mechanism)

  • 김범석;유홍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822-826
    • /
    • 2008
  • A linkage mechanism is a device to convert an input motion into a desired output motion. Traditional linkage mechanism designs are based on trial and error approaches so that size or shape changes of an original mechanism often result in improper result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an improved automatic mechanism synthesis method that determines the linkage type and dimensions by using an optimization method during the synthesis process has been proposed. For the synthesis, a planar linkage is modeled as a set of rigid blocks connected by zero-length translational springs with variable stiffness. In this study, the sizes of rigid blocks were also treated as design variables for more general linkage synthesis. The values of spring stiffness and the size of rigid block yielding a desired output motion at the end-effecter are found by using an optimization method.

  • PDF

가변 블럭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효율적인 다분광 화상 데이터 압축 (Efficient Multispectral Image Compression Using Variable Block Size Vector Quantization)

  • 반성원;김병주;석정엽;권성근;권기구;김영춘;이건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6호
    • /
    • pp.703-71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가변 블럭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효율적인 다중 분광 화상 데이타 압축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공간적으로 가장 낮은 분산을 가지고 다른 대역과 상관성이 가장 큰 기준 대역을 웨이브릿 영역에서 가변 블럭 벡터 양자화를 행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각 대역은 웨이브릿 영역에서 기준 대역으로부터 영역별 예측을 통하여 대역간 중복성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원 화상의 웨이브릿 계수와 예측 영상의 웨이브릿 계수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오차 가변 블럭 벡터 양자화를 행한다. 실제 원격 센싱된 인공위성화상데이타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부호화 효율이 기존의 기법에 비하여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동작정보 추출을 위한 가변적 탐색 영역과 블록 크기의 정합 (Size-Variable Block Matching for Extracting Motion Information)

  • 장석우;김봉근;김계영;최형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3호
    • /
    • pp.321-32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영상으로부터 블록 단위의 동작벡터를 추출하기 위해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을 사용하는 정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정합 알고리즘은 탐색영역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보다 정확한 동작벡터를 추출할 때가지 블록의 크기를 동적으로 설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탐색영역의 중심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블록의 동작변화는 작다고 가정한다. 또한, 탐색영역의 범위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블록들의 동작 균일성에 따라 조절된다.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작은 크기의 블록에서부터 정합을 시작한다. 정합 정확도가 좋을 경우 블록의 크기를 조금 확대한 후 본 논문에서 정한 정합 기준이 만족될 때가지 정합 과정을 반복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가변적인 블록정합 방법이 보다 정확한 블록 단위의 동작벡터를 추출함을 보여준다.

다양한 블록 크기 기반 선택적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 (A Selective Motion Estimation Algorithm with Variable Block Sizes)

  • 최웅일;전병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17-326
    • /
    • 2002
  • 기존 비디오 압축 기술에 비해 높은 부호화 효율 덴 추가적으로 오류내성, 네트워크 친화성 등의 특성을 지닌 H.264 표준안 부호화 기술 가운데, 복수개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블록 크기로 움직임 보상하는 기법은 높은 부호화 효율을 갖게 하는 주 요인임과 동시에 높은 복잡도를 갖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움직임 보상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블록 크기에 대한 선택적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먼저 다이아몬드 탐색 기법을 이용해 초기 위치 지점에 대해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를 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움직임 추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것인가를 각 블록 크기 단위로 결정하게 된다. 실험 결과, 움직임 탐색 영역을 $\pm$32로 하였을 경우 제안 기법은 기존의 전역 탐색(Full Search)에 비해 약 5배 정도 속도 향상을 보였다.

블록단위의 프래탈 근사화를 이용한 영상코딩 (Image Coding by Block Based Fractal Approximation)

  • 정현민;김영규;윤택현;강현철;이병래;박규태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1B권2호
    • /
    • pp.45-55
    • /
    • 1994
  • In this paper, a block based image approximation technique using the Self Affine System(SAS) from the fractal theory is suggested. Each block of an image is divided into 4 tiles and 4 affine mapping coefficients are found for each tile. To find the affine mapping cefficients that minimize the error between the affine transformed image block and the reconstructed image block, the matrix euation is solved by setting each partial differential coefficients to aero. And to ensure the convergence of coding block. 4 uniformly partitioned affine transformation is applied. Variable block size technique is employed in order to applynatural image reconstruction property of fractal image coding. Large blocks are used for encoding smooth backgrounds to yield high compression efficiency and texture and edge blocks are divided into smaller blocks to preserve the block detail. Affine mapping coefficinets are found for each block having 16$\times$16, 8$\times$8 or 4$\times$4 size. Each block is classified as shade, texture or edge. Average gray level is transmitted for shade bolcks, and coefficients are found for texture and edge blocks. Coefficients are quantized and only 16 bytes per block are transmitted.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the computational load increases linearly in proportion to image size. PSNR of 31.58dB is obtained as the result using 512$\times$512, 8 bits per pixel Lena image.

  • PDF

가변 블록을 고려한 블록 정합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lock Matching Algorithm with Variable-Block Size)

  • 김진태;주창희;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1420-1427
    • /
    • 1989
  • A new block matching algorithm that improved the existing block matching algorithm in terms of image quality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subblock of image including the vertical edge of object is subdivided into new two subblocks, and the moving vector found. The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 shows on real image that the image quality by the algorithm becomes higher than that of the three step search algorithm by 1.1dB.

  • PDF

움직임 영상 부호화를 위한 가변 블록 크기 움직임 추정 기법 (Variable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Techniques for The Motion Sequence Coding)

  • 김종원;이상욱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4호
    • /
    • pp.104-115
    • /
    • 1993
  • The motion compensated coding (MCC) technique, which exploits the temporal redundancies in the moving images with the motion estimation technique,is one of the most popular techniques currently used. Recently, a variable block size(VBS) motion estimation scheme has been utiliz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otion compensted coding. This scheme allows large blocks to the used when smaller blocks provide little gain, saving rates for areas containing more complex motion. Hence, a new VBS motion estimation scheme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is proposed in this paper, in order to combine the motion vector coding technique efficiently. Topmost level motion vector, which is obtained by the gain/cost motion estimation technique with selective motion prediction method, is always transmitted. Thus, the hierarchical VBS motion estimation scheme can efficiently exploit the redundancies among neighboring motion vectors, providing an efficient motion vector encoding scheme. Also, a restricted search with respect to the topmost level motion vector enables more flexible and efficient motion estimation for the remaining lower level blocks. Computer simulations on the high resolution image sequence show that, the VBS motion estimation scheme provides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0.6~0.7 dB, in terms of PSNR, compared to the fixed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scheme.

  • PDF

웨이브렛 기반 가변 블록 크기 플랙탈 영상 부호화 (Wavelet-Based Variable Block Size Fractal Image Coding)

  • 문영숙;전병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27-133
    • /
    • 1999
  • 기존의 이산 웨이브렛 변환 기반 플랙탈 영상 압축은 프랙탈 부호화시 고정된 블럭 크기를 사용하므로 낮은 비트율에서 PSNR을 감소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플랙탈 부호화시 가변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PSNR을 개선하는 이산 웨이브렛 기반 프랙탈 영상 부호화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먼저 이산 웨이브렛 변환 계수들의 절대값을 최하고, 같은 공간 영역에 해당하는 다른 고주파 부대역의 이산 웨이브렛 변환 계수들을 묶어서 레인지 블록과 도메인 블록을 만든다. 그리고 각각의 레인지 블록 레벨의 레인지 블록에 대한 프랙탈 코드를 지정하고, 프랙탈 부호화,\ulcorner0\ulcorner부호화와 스칼라 양자화중 하나를 선택하여 만든 집합인 결정 트리 C를 만들고 스칼라 양자화기의 집합 q를 선택한다. 웨이브렛 계수, 프랙탈 코드와 결정 트리를 적응적 산술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엔트로피 nq호화 한다. 제안된 방법은 낮은 비트율에서 PSNR을 개선하고 복원 영상의 블록킹 현상을 제거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프랙탈 부호화 방법과 웨이브렛 변환 부호화 방법에 비해 더 좋은 PSNR과 더 높은 압축율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