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pA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1초

인공호흡기연관 폐렴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 전경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3호
    • /
    • pp.191-198
    • /
    • 2011
  •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is the most frequent nosocomial infe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with an incidence ranging from 8% to 38%. Patients who acquire VAP have higher mortality rates and longer ICU and hospital stays. Because there are other potential causes of fever, leukocytosis, and pulmonary infiltrates, clinical diagnosis of VAP is overly sensitive. The only alternative approach to the clinical diagnosis of VAP is the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CPIS). Employing quantitative cultures of respiratory secretions in the diagnosis of VAP leads to less antibiotic use and probably to lower mortality. With respect to microbiologic diagnosis, however, it is not clear that the use of invasive sampling using bronchoscopy is associated with better outcomes. Delayed administration of antibiotic therap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mortality, and inadequate antibiotic therapy is also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Therefore, prompt initiation of adequate antibiotic therapy is a cornerstone of the treatment of VAP. The initial antibiotic therapy should be based on the most common organisms in each hospital and the most likely pathogens for that specific patient. When final cultures and susceptibilities are available, de-escalation to less broad spectrum antibiotics should be done. Since clinical improvement usually takes 2 to 3 days, clinical responses to the initial empirical therapy should be evaluated by day 3. A short course of antibiotic therapy appears to be equivalent to a traditional course of more than 14 days, except when treating non-fermenting gram-negative organisms. If patients receive initially adequate antibiotic therapy, efforts should be made to shorten the duration of therapy to as short as 7 days, provided that the etiologic pathogen is not a non-fermenting gram-negative organism.

Wi-Fi 환경에서 가상 Access Point를 이용한 실내 위치추정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door Localization Algorithm Using Virtual Access Points in Wi-Fi Environment)

  • ;이동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3호
    • /
    • pp.113-120
    • /
    • 2017
  • 실내 Wi-Fi환경에서 위치추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위치추정에 대한 연구가 수년 동안 계속되어 오고 있다. 핑거프린트 기법 및 전파모델은 실내 위치추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추가적인 하드웨어 없이 저비용으로 핑거프린트 기법을 사용하는 다양한 위치추정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 위치추정 모델에서 VAP (virtual access points) 개념을 사용하여 이러한 목표를 실현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본 논문은 Wi-Fi 환경의 핑거프린트 기반에서 VAP를 사용한 실내 위치추정 시스템의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이 아이디어의 핵심은 실제 실내 Wi-Fi 환경에서 VAP를 사용하여 AP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분석을 위하여 4개의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1개의 AP 대신에 2개의 VAP를 사용했을 때 가장 우수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실험의 3번째 경우인 3개의 AP와 2개의 VAP를 사용했을 때 3.99 미터의 가장 낮은 위치오차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Characteristics, Management, and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Hospital-Acquired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 Multicenter Cohort Study in Korea

  • Ko, Ryoung-Eun;Min, Kyung Hoon;Hong, Sang-Bum;Baek, Ae-Rin;Lee, Hyun-Kyung;Cho, Woo Hyun;Kim, Changhwan;Chang, Youjin;Lee, Sung-Soon;Oh, Jee Youn;Lee, Heung Bum;Bae, Soohyun;Moon, Jae Young;Yoo, Kwang Ha;Jeon, Kyeongma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4권4호
    • /
    • pp.317-325
    • /
    • 2021
  • Background: Hospital-acquired pneumonia (HAP)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are significant public health issues in the world, but the epidemiological data pertaining to HAP/VAP is limited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management, and clinical outcomes of HAP/VAP in Korea. Methods: This study is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 total, 206,372 adult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one of the 13 participating tertiary hospitals in Korea, were screened for eligibility during the six-month study period. Among them, we included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AP/VAP based on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IDSA)/American Thoracic Society (ATS) definition for HAP/VAP. Results: Using the IDSA/ATS diagnostic criteria, 526 patients were identified as HAP/VAP patients. Among them, 27.9% were diagnosed at the intensive care unit (ICU). The cohort of patients had a median age of 71.0 (range from 62.0 to 79.0) years. Most of the patients had a high risk of aspiration (63.3%). The pathogen involved was identified in 211 patients (40.1%). Furthermore, multidrug resistant (MDR) pathogens were isolated in 138 patients; the most common MDR pathogen was Acinetobacter baumannii. During hospitalization, 107 patients with HAP (28.2%) had to be admitted to the ICU for additional care. The hospital mortality rate was 28.1% in the cohort of this study. Among the 378 patients who survived, 54.2% were discharged and sent back home, while 45.8% were transferred to other hospitals or facilitie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revalence of HAP/VAP in adult hospitalized patients in Korea was 2.54/1,000 patients. In tertiary hospitals in Korea, patients with HAP/VAP were elderly and had a risk of aspiration, so they were often referred to step-down centers.

Risk Factors for Pneumonia in Ventilated Trauma Patients with Multiple Rib Fractures

  • Park, Hyun Oh;Kang, Dong Hoon;Moon, Seong Ho;Yang, Jun Ho;Kim, Sung Hwan;Byun, Joung H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5호
    • /
    • pp.346-354
    • /
    • 2017
  • Backgrou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is a common disease that may contribute to morbidity and mortality among trauma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This study evalu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trauma factors and the development of VAP in ventilated patients with multiple rib fractur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d consecutively evaluated 101 patients with multiple rib fractures who were ventilated and managed at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5, analyzing the associations between VAP and trauma factors in these patients. Trauma factors included sternal fracture, flail chest, diaphragm injury, traumatic aortic dissection, combined cardiac injury, pulmonary contusion, pneumothorax, hemothorax, hemopneumothorax, abbreviated injury scale score, thoracic trauma severity score, and injury severity score. Results: Forty-six patients (45.5%) had at least 1 episode of VAP, 10 (21.7%) of whom died in the ICU. Of the 55 (54.5%) patients who did not have pneumonia, 9 (16.4%) died in the ICU.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VAP was associated with severe lung contusion (odds ratio, 3.07; 95% confidence interval, 1.12 to 8.39; p=0.029). Conclusion: Severe pulmonary contusion (pulmonary lung contusion score 6-12)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VAP in ventilated trauma patients with multiple rib fractures.

항생제를 사용하고 있었던 인공호흡기 연관 폐렴환자에서의 원인균 발견을 위한 소량 기관지폐포세척술의 진단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for Diagnostic Efficacy of Minibronchoalveolar Lavage in the Detection of Etiologic Agent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Receiving Antibiotics)

  • 문두섭;임채만;배직현;김미나;진재용;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21-330
    • /
    • 1999
  • 배경: 인공호흡기 연관 폐렴(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이하 VAP)의 원인균 동정의 표준적인 방법으로는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검체보호솔질법(protected specimen brush, 이하 PSB)이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PSB가 고가이고 국내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VAP의 진단에는 PSB외에 기관지폐포세척술(bronchoalveolar lavage, 이하 BAL)이 흔히 이용되나 호흡부전으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서 다량의 BAL을 시행하기 어렵고, 시술 후 환자 상태가 악화될 수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기왕에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던 중 VAP가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이러스를 포함한 원인균의 동정 검사에 필요한 최소한의 BAL검체(25 ml) 만 채취하는 소량의 BAL(이하 miniBAL)을 시행하여 동일한 부위에서 시행한 PSB에 의한 세균 배양 검사 성적과 비교함으로써 miniBAL 검사의 진단적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는 1997년 5월 1일부터 1998년 8월 31일까지 서울 중앙병원 성인 중환자실에서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던 중 연속적으로 VAP가 발생한 38명(41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61{\pm}14$세이었으며 남녀 비는 3.6:1 이었다. PSB는 단순 흉부사진상 병변이 심한 부위에서 시행하였고, 동일부위에서 miniBAL을 연속적으로 시행하였다. miniBAL은 생리식염수를 50 ml씩 투여하여 총 25 ml가 모일 때까지 세척을 반복하였다. VAP 원인균의 판정 기준은 PSB와 BAL을 통해 얻은 검체를 정량 배양법으로 배양한 뒤 PSB는 $10^3cfu/ml$ 이상, BAL은 $10^4cfu/ml$ 이상인 경우에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25 ml BAL을 얻기 위해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주입한 생리 식염수의 양은 평균 $93{\pm}32ml$ 였다. PSB의 경우에는 총 41예 중 19예(46.3%), miniBAL의 경우 18예(43.9%)에서 원인균이 검출되었다. PSB와 miniBAL은 41예 중에서 35예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진단 일치율은 85.4%였다. VAP가 호전된 환자는 39명 중에서 19명(48.7%)이었고 miniBAL과 PSB를 통해 원인균이 발견된 환자들(12/19 명, 63.2%)이 발견되지 않았던 환자들(7/20명, 35%)에 비해 VAP 호전율은 높았으나 두 군사이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2). 검사 전, 검사 중 그리고 검사 후의 분당 평균 심 박동수는 각각 $111{\pm}22$회, $125{\pm}24$회, $111{\pm}26$회이었으며 동맥혈 산소분압은 각각 $97{\pm}3%$, $92{\pm}10%$, $95{\pm}3%$ 이었다. 검사 전파 검사 중의 심 박동수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p<0.05) 검사 전과 검사 10분 후의 심 박동수는 차이가 없었다(p>0.5). 검사 전과 비교하여 검사 중과 (p<0.05) 검사 후의 (p<0.005)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검사 시행 중 저혈압 2예, 동맥 산소 분압의 저하 3 예의 부작용이 있었으나 검사 종료후 곧 회복되었고, 심방조동(atrial flutter)으로 l예에서 검사가 중단되었으나 8일 후에 문제 없이 miniBAL이 시행되었다. 결론: MiniBAL 배양검사의 결과는 PSB에 의한 결과와 높은 일치율을 보이고 비교적 안전한 검사방법이므로 VAP 의 원인균 규명에 PSB와 고식적인 BAL을 대치할 수 있는 진단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인공 환기요법 관련 폐렴의 임상양상과 기관내 삽관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Clinical Manifestations, Ddiagnostic Availability of Endotracheal Tip Culture)

  • 김남영;성태정;신선희;김성구;이건희;윤혜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1호
    • /
    • pp.67-74
    • /
    • 2005
  • 목 적 : 최근 신생아학의 발달과 신생아 집중 치료의 발달로 기관내 삽관 후 인공 환기요법 치료가 빈번하게 이루어져 호흡곤란증이 있는 신생아의 사망률은 감소된 반면 이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병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한 신생아에서 VAP의 발생빈도와 위험요인 및 주된 균주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3년 6월 30일까지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한 신생아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입원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VAP의 진단은 기관내 삽관 당시에는 폐렴이 보이지 않으나 기관내 삽관 후 최소 48시간 경과 후 흉부 방사선상 새롭게 침윤이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상기 조건에 만족하는 환아 13명을 VAP군으로, 만족하지 않는 환아 37명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인공 환기요법을 사용했던 환아 50명 중 VAP의 발생빈도는 26.0%(13명)였다. 동맥관 개존증과 뇌실내 출혈이 VAP 발생과 연관이 있었고 재태연령, 출생체중, 1분 및 5분 Apgar 점수 및 호흡곤란 증후군, 기관지폐 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패혈증, 급성 신부전, 폐출혈, 공기 누출 증후군 등과는 연관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2균주가 동정되었는데 MR-CNS 4례(33.3%), E. cloacae 3례(25.0%), P. aeruginosa 2례(16.7%), MRSA 1례(8.3%), Acinetobacter baumanii 1례(8.3%), K. pneumoniae 1례(8.3%)로 MR-CNS가 가장 많았다. 결 론 : 본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인공 환기요법 치료 후 발생한 폐렴의 빈도는 26.0%이며 MR-CNS가 가장 많이 배양되였다. 기관삽관 말단의 배양은 VAP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적절치 않을 수 있으나 신생아에게 필요한 침습적이지 않고 정확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인공호흡기 튜브교환주기에 따른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발생률 (The Incidence Rate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Relation to the Exchange of Circuit Cycle)

  • 김남초;김양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3-471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providing scientific evidence for minimiz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VAP) by identifying appropriate timing of exchange of circuit for mechanical ventilator that is well suitable for the medical environment of intensive care units of hospitals in Korea. Method: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9 adult subjects aged over 18 years who were admitted to the NS ICU of C university hospital, and placed on mechanical ventilator. The subjects were placed in two groups, compared on the incidence rate of VAP after they received exchange of circuit either at 1-week interval (N =10) or 2-week interval (N = 9). Result: 1) When considering 1000 days as the standard unit of analysis for incidence, the incidence rate of VAP was 7.19 cases at the 1-week cycle exchange group and 15.23 at the 2-week cycle exchange group,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2) There were a total of 3 types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patients with VAP, including 2 cases with P. aeruginosa, 1 case with Streptococcus group F and A. baumannii. Conclusion: With thorough hand washing and strict management of tracheal tube of mechanical ventilator as well as use of tracheal intubation techniques, exchange cycle of circuit of mechanical ventilator by nurses may be changed from 1-week to 2-week interval.

  • PDF

Pi2 Pulsations During Extremely Quiet Geomagnetic Condition: Van Allen Probe Observations

  • Ghamry, Essam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4권2호
    • /
    • pp.111-118
    • /
    • 2017
  • A ultra low frequency (ULF) wave, Pi2, has been reported to occur during periods of extremely quiet magnetospheric and solar wind conditions. And no statistical study on the Pi2 has been performed during extremely quiet conditions, using satellite observations to the author's knowledge. Also Pi2 pulsations in the space fluxgate magnetometers near perigee failed to attract scientist's attention previously. In this paper, Pi2 pulsations detected by the Van Allen probe satellites (VAP-A & VAP-B) were investigated statistically.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12 to December 2014, ninety six Pi2 events were identified using VAP when Kp = 0 while using Kakioka (KAK, L = 1.23) as a reference ground station. Seventy five events had high coherence between VAP-Bz and H components at KAK st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77 % of the events had power spectra between 5 and 12 mHz, which differs from the regular Pi2 band range of from 6.7 to 25 mHz.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observe Pi2 pulsations from space fluxgate magnetometers near perigee. Twenty two clean Pi2 pulsations were found where L < 4 and four examples of Pi2 oscillations at different L shell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액상성형공정별 물리적/기계적 특성 비교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ased on Liquid Composite Molding)

  • 박동철;김태곤;김승혁;신도훈;김현우;한중원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6호
    • /
    • pp.304-310
    • /
    • 2018
  • 오토클레이브 (Autoclave) 성형 공정은 항공산업분야의 복합재 부품 제작에 있어서 매우 안정적이고 중요한 제조방법으로서 자리매김 해왔었지만 오토클레이브가 가진 많은 장점과 함께 단점 또는 제약 사항들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탈 오토클레이브 (OoA, Out-of-Autoclave) 공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탈 오토클레이브 공정 중 하나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액상성형공정 (Liquid Composite Molding)을 사용하여 시편들을 제작하고 이를 오토클레이브 공정으로 제작된 시편과 실험적으로 비교평가하였다. 액상성형공정 중 DB (Double Bagging), CAPRI (Controlled Atmospheric Pressure Resin Infusion) 및 VAP (Vacuum Assisted Process) 공정을 사용하여 시편 제작을 수행하고 내부 기공 함유량, 두께, 유리전이온도, 층간전단강도 및 굽힘강도 시험 평가를 통하여 각 제작 공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오토클레이브 성형 시편이 우수한 두께 균일도, 낮은 기공 함유량 및 양호한 기계적 강도 특성을 보였으며, 액상성형공정 중에서는 CAPRI 성형 시편이 DB 및 VAP 성형 시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포장 방법에 따른 즉석섭취형 함박스테이크의 냉장저장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ready-to-eat hamburg steak depending on the packaging methods during chilled storage)

  • 임지훈;이성기;정승희;이근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75-78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포장방법에 따른 함박스테이크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polylactide(PLA) tray를 이용한 함기포장(AC)이었으며, 처리구로는 진공포장(VAP)과 탈산소제 봉입포장(OS)이 적용되었다. 총균수는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AC구에서의 총균수 증가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장기간 중 TBA와 VBN값은 AC구에서 가장 빠른 증가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OS, 그리고 VAP포장구의 순이었다. 관능평가 결과 VAP구와 OS구 시료들은 모든 관능평가 항목에서 12일째까지 5.0점 이상의 평가를 받은 반면, AC구는 모든 항목에서 5.0 미만으로 이미 상품성을 상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VAP나 OS처리를 통하여 포장 내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호기적 미생물의 생장과 산화작용의 억제로 인한 지방산패나 단백질부패속도가 지연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