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nilic acid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3

  • Han, Byung-Hoon;Park, Myung-Hwan;Nam, Han-Y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53-58
    • /
    • 1981
  • The effective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showing the lipid-peroxide depressing activity were isolated. From the ether-soluble acidic fraction of fresh ginseng three phenolic acids were obtained. Salicylic acid and vanilic acid exhibited the potent antioxidant activity, where p-hydroxycinnamic acid did not.

  • PDF

Esters of Substituted Benzoic Acids as Anti-thrombotic Agents

  • Yunchoi, Hye-Sook;Kim, Monn-Hee;Jung, Ki-Hw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66-70
    • /
    • 1996
  • Aliphatic esters of protocatechuic acid (PA, 1), vanillic acid (VA, 9) and gallic acid (GA, 18) were prepared and their anti-thrombotic effects were evaluated in the mouse model of thrombosis. The aliphatic groups included methyl, ethyl, n-propyl, i-propyl, n-butyl, i-butyl, n-amyl and cyclohexyl. n-Amyl ester of PA (7), i-propyl and cyclohexyl esters of VA (13 and 17 respectively) and ethyl ester of GA (20) treatment significantly lowered the death rate and increased the recovery from paralysis due to the thrombotic challenge. From the limited analogs available, it was tentatively concluded that the structural conformation, where carboxy oxygen (=O or -O) of the carboxyl group (COOH) at $C_1$ and the oxygen function at $C_3(either\; OH\; or\; OCH_3)$ are closely situated, is favorable for the esters of PA, VA and GA to be more antithrombotic.

  • PDF

A Pyridyl Alkaloid and Benzoic Acid Derivatives from the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 Youn, Ui-Joung;Lee, Yoo-Jin;Jeon, Ha-Rim;Shin, Hyun-Ji;Son, Young-Min;Nam, Joo-Won;Han, Ah-Reum;Seo, Eun-Kyo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203-206
    • /
    • 2010
  • A pyridyl alkaloid, 3-pyridylcarbinol (1) and benzoic acid derivatives, 4-hydroxy benzoic acid (2), 4-hydroxyactophenone (3), vanilic acid (4), and benzoic acid (5) were isolated from the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d physicochemical analyses including 1D- and 2D- NMR techniques as well as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Compounds 1 - 5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source.

갈대의 고지혈증 개선효과와 그 활성성분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Phragmites communis and Its Active Principles)

  • 최재수;이지현;양한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23-529
    • /
    • 1995
  • Administration of an MeOH extract of Pharagmites communis on hyperlipidemic rats pro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lood triglyceride. The fatty acid mixtures, $\beta$ -sitosterol and its glucoside, p-coumaric acid, vanilic acid, ferulic acid, p-hydroxybenzaldehyde and sucrose were isolated. Sterol and p-coumaric acid were sh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elevated level of triglyceride. The wet weight and the level of triglyceride in epididymal adipose tissue increase following administration of the methanol extract in rats fed the purified diets at the 1% level for 4 weeks.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anol extract may accelerate the accumulation of lipid in adipose tissue.

  • PDF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주에서 hesperetin에 의한 p38 MAPK와 ERK1/2를 통한 염증반응 조절 (Hesperetin Ameliorates Inflammatory Response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via p38 MAPK and ERK1/2)

  • 이승훈;이은주;정정욱;손호용;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9-134
    • /
    • 2019
  • 이전 연구에서 전통주 주박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11개의 순수물질을 분리 동정하였다. 11개의 순수물질은 caffeic acid, coumaric acid, D-mannitol, ferulic acid, hesperetin, hesperidin, naringenin, naringin, sinapic acid, syringic acid, 그리고 vanilic acid로 동정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들의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 생산을 측정하였다. 11개의 순수물질 중 hesperetin과 naringenin이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를 보여주었다. 또한, hesperetin은 세포 생존율에 영향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산을 저해하였다. 그리고, hesperetin은 농도의존적으로 염증유전자인 iNOS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한 반면, COX-2 단백질의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게다가, hesperetin은 p38 MAPK와 ERK1/2의 인산화를 억제한 반면 JNK의 인산화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hesperetin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며, 이러한 항염증 활성은 p38 MAPK와 ERK1/2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Phytochemical Studies on Magnoliae Flos (I) Isolation of Lignans from the Flower Buds of Magnolia biondii

  • Lee, Dong Hwa;Kwon, Soon Youl;Woo, Mi Hee;Lee, Je Hyun;Son, Kun H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60-165
    • /
    • 2013
  • The 12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MeOH extract of Magnolia biondii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seven lignans, two phenolics, one coumarin, and two flavonoid compounds, respectively. Among these constituents, tiliroside (3), kaempferol-7-methyl ether (4), 4-hydroxybenzoic acid (5), vanilic acid (6), and scopoletin (9) were isolated from Magnolia biondii for the first time.

Effects of Vaniltic Acid on the Cell Viability and Melanogenesis in Cultured Human Skin Melanoma Cells Damaged by ROS-Induced Cytotoxicity

  • ;;유선미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49-35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anillic acid on the cell viability and melanogenesis in melanocytes damag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 human skin melanoma cells (SK-MEL-3) were cultu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hydrogen peroxide $(H_2O_2)$. The cell viability for $H_2O_2$-induced cytotoxicity or vanillic acid against $H_2O_2$ was measured by XTT assay in these cultures. For the effect of vanillic acid on the melanogenesis,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by colorimetric assay at a wavelength of 490 nm, and melanin synthesis activity were assessed after cells were cultured in the media with or without various cencentrations of vanillic acid. In this study, $H_2O_2$ decreased cell viability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and $XTT_{50}$ was determined at a concentration of 80 ${\mu}M$, $H_2O_2$. Vanillic acid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dose dependently in human skin melanoma cells damaged by $H_2O_2$-induced cytotoxicity. In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vanillic acid supresssed tyrosinase activity in dosedependent manner, and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melanin synthesis activity compared with $H_2O_2$-treated group.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H_2O_2$-mediated cytotoxicity was highly by the toxic criteria of Borenfreund and Puerner and also, vanillic acid has the protective effect on ROS-induced cytotoxicity and melanogenesis in these cultures.

  • PDF

소나무류(類) 침엽내(針葉內)에 함유(含有)된 phenolic compounds 중 솔잎혹파리의 저항성(抵抗性) 물질(物質) 조사(調査) (A study on Resistant Substance to Pine Needle Gall Midge Among Phenolic Compounds in Pine Needles)

  • 손두식;엄태진;서재덕;이상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72-380
    • /
    • 1996
  •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솔잎혹파리의 감수성수종(感受性樹種)과 저항성수종(抵抗性樹種)에 대하여 침엽내(針葉內) phenolic compound의 계절적(季節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침엽내(針葉內)에 존재(存在)하는 free phenolic compounds와 water soluble phenolic compounds는 수종간(樹種間) 계절별(季節別)로 변이(變異)가 있었고 catechol과 vanilic acid 및 syringic acid는 수종간(樹種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으나 성분량(成分量)에는 계절별(季節別)로 변이(變異)가 있었다. 그러나 솔잎혹파리 유충(幼蟲)의 부화기(孵化期)인 5, 6월(月)에 침엽내(針葉內)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salicylic acid는 버지니아소나무는 140ppm, 해송에서 35ppm, 해송${\times}$버지니아소나무 72ppm이고 소나무에서는 극소량만이 나타나고 있어 salicylic acid는 감수성수종(感受性樹種)에는 극소량 함유(含有)하고 저항성수종(抵抗性樹種)에는 상당량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솔잎혹파리에 대한 소나무류(類) 침엽(針葉)의 저항성인자(抵抗性因子) 조사(調査)에서 밝혀진바와 같이 salicylic acid와 버지니아소나무의 침엽(針葉)에서 추출(抽出)된 phenolic compounds용액(溶液)위에서 배양(培養)한 유충(幼蟲)은 폐사율(斃死率)이 높았고 또한 버지니아소나무에서는 충영이 전혀 형성되지 않은 것과 본조사(本調査)의 침엽내(針葉內)에 함유(含有)하고 있는 salicylic acid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結果)에서 salicylic acid는 솔잎혹파리의 저항성물질(抵抗性物質)로 추정(推定)된다.

  • PDF

흑마늘의 첨가량과 초기 알코올 농도를 달리한 발효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black garlic and alcohol)

  • 서원택;최명효;심혜진;김경화;신연미;강민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1
    • /
    • 2016
  • 흑마늘에 가수량을 달리하여 3, 6, 9 및 12배가 되도록하여 알코올 발효시켜 초기 알코올 농도를(6~12%)로 달리한 흑마늘 식초를 25일간 초산발효 시키면서 발효과정 중 품질특성 분석을 위해 관련인자를 분석하였다. pH는 발효 중 점차 감소하여 25일 후에 3.85~4.46였고, 당도는 발효 9일 후에 $12.00{\sim}13.50^{\circ}Brix$로 가장 높았으나 이후 다시 감소하여 발효초기와 유사한 범위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발효 0일차에 19.67~50.46 mg/100 mL이던 것이 최종 25일에는 20.65~52.04 mg/100 mL의 범위로 미량 증가 하였다. 최종 숙성 완료된 흑마늘 식초에서 페놀화합물을 확인 동정한 결과 pyrogallol과 vani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흑마늘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이 더 높았다. S-allyl cysteine(SAC) 함량은 6배 이상으로 가수희석된 흑마늘 식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흑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그 함량이 높았는데 발효 기간에 따른 함량의 차이는 적었다. 유기산은 총 5종이 검출되었는데, 검출된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아 발효가 완료된 25일차 시료에서 4,208.90~5,570.29 mg/100 mL이었고 유기산의 총량은 5,327.34~6,307.64 mg/100 mL의 범위였다. 발효 25일 후 흑마늘 식초의 무기물 함량은 K이 366.23~1619.67 mg/L로 가장 높았고, 흑마늘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총 함량이 더 높았다.

Aspergillus oryae를 이용한 발효시간별 꾸지뽕나무 잎, 열매의 생리활성 비교 (A Study on the Bioactive active substance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and Fruit Using Aspergillus oryae Period of fermentation)

  • 조건웅;김현우;여혜정;어지현;백효은;박종석;오찬진;오득실;박화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9-99
    • /
    • 2019
  •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척박한 땅에서도 잘자라고 병충해에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꾸지뽕나무는 항암, 간보호, 눈을 밝게하는 작용이 있다고 동의보감과 신농본초경에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된장 등 발효식품을 자주 접하고 섭취하여 왔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효균을 접종하면 항암활성, 면역체계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가시가 없고 잎이 커 작업성이 용이한 대품 품종을 2018년 9월에 전남 신안군에서 채취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항산화활성 측정은 프리라디칼(DPPH, ABTS) 소거능을 측정하여 농도(EC50)별 측정결과 $100{\mu}g/mL$ ext. 이하로 항산화 활성이 열매보다 잎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황국균(Aspergillus oryae)을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에 접종시켜 페놀성화합물을 스크리닝 한 결과 기존에 발견되지 않은 Salicylic acid, Naringenin, Vanilic acid, Oxyresveratrol 등 기능성 물질이 발견되었고, 잎의 경우 36시간 발효물(355mg/g)은 무처리군(179mg/g)에 비해 2배정도 상승하였다. 열매의 경우 48시간 발효시켰을 경우(472mg/g)으로 무처리군(156mg/g)보다 3배정도 상승하였다. 발효를 통해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의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생리활성 물질 분석을 이용한 효능탐색 등을 진행하였다. 향후 꾸지뽕나무를 활용한 식품 소재개발 등 사업화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임업인의 새로운 소득품목 육성에 기어코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