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ley water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2초

한강하구의 기수역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ckish Water Type of the Han River Estuary)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2권3호
    • /
    • pp.35-41
    • /
    • 1969
  • To clarify the types of brackish region of the Han River Estuary,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obtained on the basis of salinities and phytoplankton are as follows: 1. Geomorphologically, the Han River Estuary is the drowned river valley type. 2. According to the Venice System, the estuarine extent is defined from the lower point of Jollyu-ri to Palmi Island. As a whole the estuarine region is mixo-haline including parts from oligo-haline to poly-haline. 3. In standpont of phytoplankton frequency, the frequency of fresh-water species is high in the upper region of estuary and that of marine species is high in the lower region. The rate of frequency of fresh-water species is inversely proportionate to that of marine species. The area mixedby marine and fresh-water species over estuarine boundary. 4. The frequency of some typical brackish species is very low and almost similar in the whole region.

  • PDF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공작물이 계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on the Stream Water Ecology at Valley)

  • 박재현;마호섭;김기흥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113-120
    • /
    • 2012
  • 이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홍계 계곡에 설치한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공작물의 설치 전 후의 계류수질, 어류, 수서생물 등 계류생태계의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림내 계류수질 보전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공작물은 시공 후 2년이 경과한 뒤에도 계류수의 pH는 하천수질환경기준 상수원수 1급수의 범위 내였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공작물의 시공 후 2년이 경과하는 동안 계류수의 용존산소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며, 전기전도도는 오염원이 없는 맑고 깨끗한 일반적인 계류수에서의 전기전도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공작물은 어류 및 다슬기가 소상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공작물을 설치한 계류수는 오염되지 않은 일반적인 계류수질과 유사하고 어류 및 다슬기의 소상에 영향하지 않아, 이러한 야계사방공작물 설치에 따른 계류수질 오염 및 계류생태계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Torrent Control Structure using Customized Tetrapods on the Stream Water Quality at Valley)

  • 박재현;마호섭;김기흥;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105-111
    • /
    • 2011
  • 이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홍계 계곡에 설치한 맞춤형 테트라블럭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설치 전 후의 계류수질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림내 계류수질 보전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맞춤형 테트라블록(Tetrapod)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시공한 후에도 계류수의 pH는 하천수질환경기준 상수원수 1급수의 범위 내였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시공 후 계류수의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는 오염원이 없는 맑고 깨끗한 일반적인 계류수에서의 전기전도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후 계류수 하류의 평균 음이온량(Average of total amount of anion)은 약 3.07/2.30~3.60 mg/L로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하기 전과의 차이는 약 0.24 mg/L로 그 양도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계류수는 오염되지 않은 일반적인 계류수에서의 수질과 유사하여, 이러한 야계사방구조물 설치에 따른 계류수질 오염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천정의 정호 수두 손실 (Well Loss of Shallow Water in South Korea)

  • 한정상
    • 물과 미래
    • /
    • 제10권1호
    • /
    • pp.20-24
    • /
    • 1977
  • 43,000 shallow water wells have been installed as a part of all weather irrigation water supply project executed during 1969 to 1970 in all over Korea penninsula in order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 of farming land by developing shallow ground water reserved in unconsolidated materials. But after 3 years later it was reported that 34% of the wells were abandoned by the reasons of artificial and natural defects. 48 wells distributed uniformly in the penninsula are selected to determine their well loss constants, relation between well loss and specific capacity, and tophographic classification of the well loss on the shallow water well. The results show that average well loss consatnt and the value of $CQ^2/S_w$ is ranged from $5.95{\times}10^{-5}\;to\;3.65{\times}10^{-8}Day^2M^{-5}$ and from 35.5% to maximum 68.48% respectvely and that relation between specific capacity and well loss constant can be approximately formulated as $C=0.61S_p2.246$ Howev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most wells installed in this time have too high value of well loss constant $CQ^2/S_w$ in comparison with properly deseigned well. The most favorable and producable water bearing formation among unconsolidated deposits such as sand & gravel, boulderly gravel, clayey boulderly gravel, and sand formation in Korea is sand formation deposited in center of valley.

  • PDF

Water Flow Model을 이용한 문서 영상의 이진화 (Document Image Binarization Using a Water Flow Model)

  • 김인권;정동욱;송정희;박래홍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1호
    • /
    • pp.19-3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밝기 값을 마치 3차원 지형과 같은 개념으로 간주하여 여기에 물이 흐르는 개념을 적용하여 국부 적응 (locally adaptive) thresholding 방법을 제안하였다. 문자를 추출해내기 위해 제안한 방법에서는 지형 표면에 물을 붓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물은 지형의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되어 계곡 (valley)에 쌓인다. 이때 문자와 배경으로 구성된 문서영상에서 쌓인 물의 양을 기준으로 두 개의 영역을 구분을 하였다. 제안한 water flow model의 개념을 적용한 threholding 방법은 국부 적응 thresholding의 특성을 나타낸다. 합성 영상과 실제 영상을 이용하여 전산 모의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이 문서 영상을 효과적으로 이진화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경북청송지역 달기 탄산약수의 지화학적 수질특성과 생성기원 (Geochemical Water Quality and Genesis of Carbonated Dalki Mineral Water in the Chungsong Area, Kungpook)

  • 정찬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5호
    • /
    • pp.455-468
    • /
    • 1999
  • Carbonated mineral waters fo $Ca(Mg)-HCO_3$ type spring out fissure of Jurassic granite in the valley floor of the Chungsong area. The water has been long as a Dalki medicinal water because of its unique therapeutic effect against clacium deficit, stomach and skin troubles, ect. The water has a high $CO_2$ concentration ($P_{CO_2}$=0.51~1.12atm) and exhibits strong pH buffering (5.9~6.26) by $H_2CO_3/HCO_3$ couple. Electrical conductivity ranges from 1,900 to 3100 $\mu$S/cm. Environmental isotopic data $(^{2}H/^{1}H, ^{18}O/^{16}O \;and \;^3H)$ indicates that the water is of meteoric origin recharged in the Cretaceous sedimetary strata distributed in upper part of the catchment area at least before 1950s, The high $P_{co_2}$ and carbon isotope data (${\delta}^{13}C=-3\sim-0.2\textperthousand$) suggest that the potential source of carbonated mineral water was originated in deep-seated $CO_2$ as wel as aboundant carbonate minerals of sedimentary desimetary rocks. The major source minerals of the dissoved species in the carbonated mineral water appear to be carbonate minerals, albite and K-feld-spar in sedimentrary rocks.

  • PDF

강원도 정선지역 북실지구 깎기비탈면 붕괴 사례를 통한 도로 하부 비탈면 안정성 확보에 관한 고찰 (Enhancing the Stability of Slopes Located below Roads, Based on the Case of Collapse at the Buk-sil Site, Jeongseon Area, Gangwon Province)

  • 김홍균;배상우;김승현;구호본
    • 지질공학
    • /
    • 제22권1호
    • /
    • pp.83-94
    • /
    • 2012
  • 산악지와 하천지에 위치하는 도로에는 도로 상부와 하부에 모두 비탈면이 조성된 경우가 많다. 북실지구는 도로 하부에 조성된 깎기비탈면으로서 2010년 10월 붕괴가 발생하였다. 정밀 현장조사 결과, 본 비탈면의 붕괴 원인은 도로 상부비탈면 계곡수의 배수 불량과 도로 표면수의 직접적 유입 등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층리 발달과 같은 지반 내적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붕괴를 촉진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평사투영해석 결과 평면파괴, 쐐기파괴, 전도파괴의 가능성이 인지되었다. 한계평형해석을 통한 안전율 산출 결과 우기시 평면파괴 및 쐐기파괴 안전율이 기준치에 미달되었다. 북실지구의 지형요소를 이용한 습윤지수 분석 결과, 9~10.5로 주변지역에 비하여 높은 값을 가지므로 유수의 영향이 집중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북실지구 비탈면 안정성 확보에는 도로 상부에서 발생하는 유수 제어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입지조건이 다른 시설재배지에서 담수처리에 따른 양분 용탈량 평가 (Evaluation of Nutrient Discharges from Greenhouses with Flooding Soil Surface at Two Different Locations)

  • 김민경;노기안;고병구;박성진;정구복;이덕배;김철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15-321
    • /
    • 2010
  • 시설재배는 폐쇄된 환경에서 제한적인 물관리로 인하여 작기 중에는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작물 생산 이후 토양 중 집적된 염류를 제거하기 위해 담수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 때 토양 중 염류가 지표유출 및 용탈을 통하여 주변 수질에 영향을 직접 미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하였다. 입지조건이 다른 두 시설재배지인 경북 상주시 서곡동에 위치한 시설하우스에서 2008년 7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 시험 전 후의 토양 화학성, 관개량 및 관개수질, 침투수량 및 침투수질, 표면수질, 그리고 조사기간 동안 주변 하천 수질을 조사하였다. 하성평탄지에서는 담수직후의 제염률은 60.4%로 곡간지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76.6%까지 높아졌다가 담수 20일 후에는 66.7%이었다. 담수초기부터 곡간지의 표면수중 $NH_4$-N과 $PO_4$-P 농도가 하성평탄지보다 높았으며, 곡간지에서 담수직후와 담수종료 후의 토양깊이별 $Cl^-$${SO_4}^{2-}$ 농도는 큰 차이가 있었으나, 하성평탄지에서는 토양깊이별 ${SO_4}^{2-}$ 농도만 차이가 있었다. 침투수중 $NO_3$-N 농도 변화는 곡간지에 비해 하성평탄지에서 변화의 폭이 컸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리고 토양이 깊어질수록 그 농도도 높았다. 또한, 곡간지와 하성평탄지에 있는 시설재배지에서 담수제염에 의한 질소와 인수지를 비교 평가해 본 결과 곡간지와 하성평탄지 모두 유입 부하량보다 유출 부하량이 많아 외부 수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곡간지에 비해 하성평탄지에서의 양분 부하량이 더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곡간지에서는 지하용탈만으로 제염을 하여 지하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고 하성평탄지에서는 지하용탈뿐만 아니라 지표용탈에 의한 제염으로 인해 하천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계곡수를 활용한 하천유지용수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 (Utilization of Valley Water for River Maintenance Discharge)

  • 박창언;김제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22-1026
    • /
    • 2006
  • 성남시 남한산성 일부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하수처리시설이 잘 갖추어진 도시하천의 하천유지용수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유역의 계곡수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4개소의 계곡수 유출 지점에 유량계를 설치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유량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지점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여 연중 계곡수의 수량을 분석하였는데, 강우가 1mm 이하로 발생되어진 319일 동안 계곡수를 양수하여 인근의 건천화된 창곡천과 야탑천으로 통수한다면 갈수 시 유량이 각각 $0.034m^3/sec,\;0.050m^3/sec$였던 하천에 $0.174m^3/sec,\;0.450m^3/sec$의 유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건천화 해소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이는 분류식 하수처리체계를 가지고 있는 해당 지역의 특성으로 인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계곡수의 유량만큼을 처리용량에서 감소시킬 수 있어 하수처리장의 운영효율 제고 및 유지관리비 절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