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eriana fauriei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6초

한국산 쥐오줌풀의 지방산, 무기성분 및 유기산 조성 (Compositions of Fatty Acids, Inorganic Components and Volatile Organic Acids in Korean Valerian Roots)

  • 최영현;조장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2-167
    • /
    • 1994
  •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광릉쥐오줌풀 및 넓은잎 쥐오줌풀의 지하부에서 지방산, 무기성분 및 휘발성 유기산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릉 및 넓은잎 쥐오줌플의 조지방질 함량은 $3.7{\sim}4.5%$ 범위 이었고 지방산은 총11종이 동정되었는데 그중 특히 양적으로 많이 함유되어있는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및 palmitic acid 등은 산지에 따라 함량차이가 큰 경향을 보였다. 2. 희분함량은 $4.3{\sim}6.3%$ 이었고 무기성분중 많이 검출된 성분으로는 조규소$(SiO_2)$를 위시하여 K, Na, Ca, Mg, Al, Fe, Mn, Zn등 이었으며, Na, Fe, Zn 및 Cu 는 산지에 따라 함량차이가 큰 경향을 보였다. 3. 광릉 쥐오줌풀로 부터 분리한 산성분획으로 부터 40종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dimethoxy-2-propenoic acid, 3, 4-dimethoxy benzoic acid, 4-methoxy phenyl-2-propenoic acid 이외에도 3-methyl butanoic acid(isovaleric acid), 3-methyl pentanoic acid, 2-methyl butanoic acid 등 branched-chain fatty acid 류가 양적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 PDF

In Vitro Assay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Young Sprouts of Several Korean Salad Plants

  • Chon, Sang-Uk;Ahn, Chan-Young;Lee, So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99-503
    • /
    • 2007
  •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level and cytotoxicity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 young sprouts of 5 Korean woody salad plants were determined. Methanol extracts of Kalopanax pictus ha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23.5mg $100g^{-1}$, and followed by Valeriana fauriei(43.1mg $100g^{-1}$), and Morus alba(>100mg $100g^{-1}$). Total phenolic content showed the highest amount in methanol extracts from Kalopanax pictus(23.7mg $100g^{-1}$), and followed by Valeriana fauriei(22.7mg $100g^{-1}$), Aralia elata(16.8mg $100g^{-1}$) and Morus alba(14.2mg $100g^{-1}$). In a MTT assay, methanol extracts of Aralia elata with $IC_{50}$ values of 151.0 and $140.7{\mu}g\;mL^{-1}$ showed the most potent cytotoxicity on Calu-6 and MCF-7,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methanol extracts of Kalopanax pictus($IC_{50}=96.5{\mu}g\;mL^{-1}$)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gainst HCT-116, and followed by those of Aralia elata($123.3{\mu}g\;mL^{-1}$), and Actinidia arguta($162.0{\mu}g\;mL^{-1}$).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tested plant extracts was correlated wit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ggesting the phenolic compounds may contribute to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Korean salad plants.

한국산 쥐오줌풀의 생육, 수량 및 정유성분 조성에 미치는 시비량의 영향 (Effect of Fertilization Rates on Growth, Root Yield and Essential Oil Composition in Korean Valerian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조장환;한옥규;최영현;윤승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14-820
    • /
    • 1997
  • 국내 자생종인 광릉쥐오줌풀의 재배법을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무처리, 6, 9, 12kg/10a 등 4수준으로 처리하여 생육 및 뿌리 수량을 조사하고 정유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오줌풀의 생육 및 뿌리 수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103당 9kg 시용한 구에서 가장 높았고, 비료효율은 질소 > 칼리 > 인산 순이었다. 2. 추출물 및 정유 함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103당 9kg 시용한 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외 처리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3. 정유성분 조성은 시비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주요 성분의 조성은 대체적으로 각 비료당 9kg/10a시비수준에서 높았고, 그 이상 시용량이 증가되면 감소되었다.

  • PDF

광릉쥐오줌풀, 넓은잎쥐오줌풀, 네팔산쥐오줌풀의 정유성분(精油成分)차이 (Differences of Essential Oil Content in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V. officinalis var lalfolia Miq and V. wallichii DC)

  • 최영현;김영회;이종철;조정환;김충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17-225
    • /
    • 1995
  • 한국산(韓國産) 식물자원(植輪資源)을 발굴(發掘)하여 약용(藥用) 또는 향료자원(香料資源)으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국내(國內)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쥐오줌풀 중 광릉쥐오줌풀 및 넓은잎쥐오줌풀과 세계시장에서 유통(流通)되고 있는 네팔산(産) 쥐오줌풀과의 유효성분(有效成分) 차리(差異)를 조사(調査)하였다. 정유성분(精油成分) 함량(含量)은 광증릉쥐오줌풀이 1.7%, 넓은잎쥐오줌풀과 네팔산(産) 쥐오줌풀에서는 각각 0. 82% 및 0. 83% 이었다. GC 및 GC-MS 분석에 의해 광릉쥐오줌풀의 정유(精油)에서 47종(種), 넓은쥐오줌풀에서는 21종(種) 그리고 네팔산(産) 쥐오줌풀에서는 25종(種)의 성분(成分)을 동정하였다. 확인된 성분들 증 광릉쥐오줌풀의 정유(精油)에서는 bornyl acetate(전체(全體) 정유(精油)의 33, 8%), camphene (10. 8%), cedrol (4. 1%) , ${\alpha}-pinene$(3. 2%), 분자양(分子量) 222의sesquiterpene alcohol(3%)이 주성분(主成分)이었고 넓은잎쥐오줌풀에서는 borneol (62. 5%), ${\beta}-sesquiphellandrene$(6.8%) , spathulenol (2. 1%) 그리고 네팔산(産) 쥐오줌풀에서는 borneol(74.3%), {\alpha}-elemene(2. 7%)$${\beta}-sesquiphellandrene$(2.3%)이 주성분(主成分)이었다. 쥐오 줌풀의 약리효능(藥理效能)의 원인물질(原因物質)들 중 valeranone, valrrenal, $[\alpha}-kessyl\;acetate$는 넓은잎쥐오줌풀이나 네팔산(産) 쥐오줌풀보다는 광릉쥐오줌풀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kessoglycol diacetate는 세 시료 모두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Valepotriate계열(系列) 화합물의 함량(含量)은 네팔산(産) 쥐오줌풀이 광릉쥐오줌풀이나 넓은잎쥐오줌풀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광릉쥐오줌풀은 넓은잎쥐오줌풀에 비해 항산화첨성(抗酸化添性)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광릉쥐오줌풀의 정유향 특성 (Odor Characteristics of Essential Oil of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조장환;이종철;김영회;김근수;안대진;한옥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37
    • /
    • 1996
  • 광릉쥐오줌풀 뿌리의 정유성분 조성 및 정유의 특성을 더욱 정밀하게 조사하기 위하여 수증기 증류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을 산성, 페놀성, 염기성 및 중성성분 분획으로 분리하여 분획별 향의 관능평가 및 분획물의 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릉쥐오줌풀 뿌리의 정유성분분획물 각각의 조성은 중성성분 분획물 92%, 산성성분 분획물 6%, 염기성성분 및 페놀분획물은 각각 1% 미만이며 각 분획물의 향특성은 중성성분 분획은 sweet-balsamic, woody, musky, medicinal 향이며 산성성분 분획은 sweat-socks, valeric-like, cheese-like 향이었다. 2. 중성성분분획물을 용매의 극성을 달리하여 분획한 결과 용출 용매별 분획 비율은 ethyl ether분획물이 44%, pentane : ethyl ether분획물 34%, pentane과 methanol분획물은 각각 11%였다. 분획별 향 특성은 ethyl ether 분획물은 woody, medicinal 향이며 pentane :. ethyl ether 분획물은 sweet-balsamic, woody, herb-like향 특성을 나타내었다. 극성을 달리한 용출용매별 분획물에서 확인된 성분은 ethyl ether 분획물에서 valeranone 등 12종, pentane : ethyl ether(9 : 1) 분획물에서는 bornyl acetate등 26종, pentane 분획물에서 camphene등 43종을 확인하였다. 3. 산성성분분획에서는 n-butanoic acid 외 44종을 확인하였고 그 중 양적으로 많은 성분은 3-methyl butanoic acid 42.1%, dimethoxy-2-propanoic acid 11.5%, 5-ethyldihydro-2H-furanone 5.7% 등 이었다.

  • PDF

불면증 관련 천연물 추출물의 특허 동향 분석 (Natural Product-Based Products for Sleep Improvement: Analysis of Patent Status in Korea)

  • 이정경;강성현;권찬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7-299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natural product-based products for sleep improvement in Korean patents, to enhanc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atural-products for sleep disorder in terms of Korean medicine. Methods: We collected patent data using the KIPRIS database and ScienceON database. Two authors independently screened patents that potentially met the criteria, and assessed full texts of screened patents for eligibility. Included paten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Results: A total of 60 patents were selected 2008-July 2022. The number of patents have been on the rise since 2017, and reached 12 in 2018. Companies have registered the most patents, followed by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Zizyphi semen (n=6), Lactuca sativa L. (n=5), Valeriana fauriei/officinalis (n=4), Poria cocos (n=4) were frequently used herbs among 60 patents. Twenty-one patents (35%) included medicinal herbs with sleep improving effects. Among 60 patents, alcohol extraction (70%) was mostly used, followed by water immersion (50%), and hot water extraction (48.3%). Conclusion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various Korean medicine herbs, are being used for natural-products for sleep disorder. The results will be helpful towards inventing new patents using Korean medicine, developing natural product extracts for sleep improvement, and extending the range of these products in clinical use.

한국에서 흰가루병에 대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의 새로운 기주 (New Hosts of Ampelomyces quisqualis Hyperparasite to Powdery Mildew in Korea)

  • 이상엽;김용기;김홍기;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1994년부터 2004년까지 73 식물체의 흰가루병균으로부터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를 308 균주 분리하였다. 그중에서 A. quisqualis의 새로운 균기주(mycohost)와 식물기주(plant host)는 38 식물체에서 흰가루병균 8 속(Erysiphe, Sphaerotheca, Microsphaera, Phyllactinia, Podosphaera, Uncinula, Uncinuliella, Oidium) 13종이 발견되었다. A. quisqualis의 새로 발견된 기주는 어수리의 흰가루병균(Erysiphe heraclei), 꽃향유의 흰가루병균(E. hommae), 콩의 흰가루병균(E. glycines), 싸리의 흰가루병균(E. lespedezae), 모시물퉁이의 흰가루병균(E. pileae), 녹두의 흰가루병균(E. pisi), 토대황과 소리쟁이의 흰가루병균(E. polygoni), 쑥의 흰가루병균(Golovinomyce artemisiae), 삼잎국화의 흰가루병균(G. cichoracearum), 꼭두서니의 흰가루병균(G. rubiae), 쥐오줌풀, 가는잎왕고들빼기, 두메담배풀, 흰까실쑥부쟁이, 수세미오이, 씀바귀, 풀협죽도, 도깨비바늘과, 담쟁이덩굴의 흰가루병균(Oidium sp.), 갈참나무의 흰가루병균(Microsphaera alphitoides), 댕댕이덩굴의 흰가루병균(M. pseudolonicerae), 쥐똥나무의 흰가루병균(Podosphaera sp.), 딸기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aphanisi), 물봉선의 흰가루병균(S. balsaminae), 국수호박, 쥬키니호박, 단호박, 관상용호박, 곰취, 가지, 박, 참외, 깨풀, 코스모스와 참취의 흰가루병균(S. fusca), 찔레꽃의 흰가루병균(Uncinuliella simulans)과 배롱나무의 흰가루병균(Uncinula australiana)이다.

힐초근(纈草根) 메탄올 추출물이 고지혈증 유발 생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lerianae Radix et Rhizoma Methanol Extract on High-fat Diet-induced Hyperlipidemic Mice)

  • 박선미;김영균;유선애;조성우;이명화;임재은;김경민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8-9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lerianae Radix et Rhizoma Methanol Extract (VRME) on serum lipid levels in a high-fat diet-induced hyperlipidemic mice. Methods: Each 8 C57BL/6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normal diet group, high-fat diet control group, high-fat diet plus 100 mg/kg/day of VRME group. In order to induce hyperlipidemia, high-fat diets were supplied to control group and VRME group for four weeks. Normal diet group were supplied with general feed for four weeks. After that control group supplied only high-fat diets as feed, VRME group received oral administration of VRME with high-fat diets for three weeks. and normal diet group were supplied with general feed for three weeks. After seven weeks, the changes in the body weight, the plasma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blood glucose in serum were measured. Results: In our results, VRME did not affects weight gain, serum AST and ALT in high-fat diet-induced hyperlipidemic mice. Oral administration of VRME lowere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hich were elevated by induction of hyperlipide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VRME lowered blood glucose significant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RME could act as a potent antihyperlipidemic in therapeutics for hyperlipid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