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cuum Glass

검색결과 758건 처리시간 0.034초

Sputtering 조건이 $CaTiO_3 : Pr$ 형광체 박막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uttering Conditions on Properties of $CaTiO_3 : Pr$ Phosphor thin Films)

  • 정승묵;김영진;강승구;이기강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7-172
    • /
    • 2000
  • CaTiO₃:Pr phosphor thin films were prepared on Si(100), ZnO/glass, Corning glass and ITO/glass by rf magnetron reactive sputtering. The effects of deposition parameters such as oxygen partial pressure, substrate temperature, and annealing conditions on crystallinity and compositional variation of the films were investigated. PL spectra of CaTiO₃:Pr phosphor thin films exhibited red regime peaking at 613 nm and enhanced PL intensity was observed for the film annealed in vacuum atmosphere as compared to the deposit annealed in N₂ environment.

  • PDF

The stress positioning control method for slim CRTs glass design using FEM

  • Hwang, Yoing-Ik;Lee, Tae-Hoo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1호
    • /
    • pp.1053-1057
    • /
    • 2007
  •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glass is safety guarantee in CRTs. It is working under high vacuum and has to be maintained continuously for the atmosphere pressure, humidity, and excitation etc,. This paper propose to CRTs glass design method via the stress positioning control for slim CRTs using FEM to ensure the national safety standard and newly demanded safety standard by CRTs set makers.

  • PDF

진공유리 접합을 위한 수소-산소 혼합가스 토치 개발 (Development of hydrogen-oxygen mixed gas torch for joining of vacuum glazing)

  • 황순호;이영림;전의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074-3079
    • /
    • 2009
  • 지속적인 경제 발전과 인구증가로 인하여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게 되면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필요하다. 특히 에너지 손실이 많은 건물의 창호에 단열성능이 좋은 고효율 진공유리 사용이 절실한데 아직 가격 및 성능등의 문제로 보급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진공유리 개발을 위한 유리 용접용 토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연료는 고밀도 열원인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사용하였고 주로 토치 형상, 노즐 직경, 노즐 배치 등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끝으로 개발된 토치를 이용하여 두 장의 유리용접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저가의 진공유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평판디스플레이용 진공패널에서 유리기판이 받는 응력 및 변위분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ress and Displacement Distribution in the Glass Plate for Vacuum-sealed Flat Panel Displays)

  • 김희수;조영래;문제도;오재열;정태은;정효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12호
    • /
    • pp.1121-1126
    • /
    • 1998
  • 평판디스플레이용 진공패널의 제작시 진공으로 유지된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판이 받는 응력과 변위를 계산하였다. 유리판의 두께, 패널의 크기 및 실링폭의 크기를 변수로 하여 실제로 진공패널을 제작한 후 패널의 파괴양상과 변위를 측정하였다. 유리판의 파괴양상과 변형측정을 통하여 유리판에 걸리는 최대응력은 테두리부분에 걸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진공패널이 갖는 응력분포 및 변위의 분포는 패널을 진공실링할 때 사용한 실런트의 폭에 크게 의존하였다. 패널의 실링폭이 커질수록 모서리가 완전 고정된 조건으로 계산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두께가 3mm인 유리판을 사용해서 $80$\times$120textrm{mm}^2$ 크기의 패널을 제작할 때 실링폭이 20mm인 경우 측정된 변위는 $57\mu\textrm{m}$였으며, 이 값은 모서리가 완전히 고정된 조건으로 계산한 갈인 $54\mu\textrm{m}$와 비슷하였다.

  • PDF

저방사 코팅이 진공창의 열성능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rmal performance of vacuum window with various low-ε coating glasses)

  • 조성환;태춘섭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00-311
    • /
    • 1997
  • A theoretical method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effect of low-$\varepsilon$ coatings which have influence on thermal performance of vacuum windwo glazing and double pane glazing.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U) value and thermal performance were analyzed by theroretical method on various kins of windows. TRNSY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otal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on the model building which has various windows. As the result, better thermal insulation can be achieved on the vacuum window glazing than double pane glazing when low-$\varepsilon$ coating was done on the surface of glass. Total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was almost same on the double pane window glazing but was lessened on the vacuum window glazing when the window size of south direction increased. Therefore, low-$\varepsilon$ coating was very necessary for vacuum window glazing in order to improv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efficient energy conservation can be achieved by vacuum window glazing at the real building which has large window.

  • PDF

Novel Deposition Technique of ZnO:Al Transparent Conduction Oxide Layer on Chemically Etched Glass Substrates for High-haze Textured Surface

  • Park, Hyeongsik;Pak, Jeong-Hyeok;Shin, Myunghoon;Bong, Sungjae;Yi, Junsi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26.1-426.1
    • /
    • 2014
  • For high performance thin film solar cells, texturing surface, enhancing the optical absorptionpath, is pretty important. Textured ZnO:Al transparent oxide layer of high haze is commonly used in Si thin film solar cells. In this paper, novel deposition method for aluminum doped zinc oxide (ZnO:Al) on glass substrates is presented to improve the haze property. The broccoli structure of ZnO:Al layer was formed on chemically etched glass substrates, which showed high haze value on a wide wavelength range.The etching condition of the glass substrates can change not only the haze values of the ZnO:Al of in-situ growth but also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deposited ZnO:Al films.The etching mechanism of the glass substrate affecting on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glass will be discussed, which resulted in variation of texture of ZnO:Al layer. The optical properties of substrate morphology were also analyzed with EDS and FTIR results. As a result, the high haze value of 85.4% was obtained in the wavelength range of 300 nm to 1100 nm. Furthermore, low sheet resistance of about 5~18 ohm/sq was achieved for different surface morphologies of the ZnO:Al films.

  • PDF

LCD 백라이트용 형광램프의 흑화 현상 (Blackening of Inner Glass Surface in Fluorescent Lamps for LCD Backlight)

  • 황하청;정종문;김정현;김동준;봉재환;정재윤;구제환;조광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81-486
    • /
    • 2008
  • 나트륨(Na) 함유량이 다른 세 종류의 유리관인 Borosilicate($Na_2O$ 4%), Soda-Lime($Na_2O$ 14%), 그리고 Aluminosilicate($Na_2O$ 0.06%) 유리관의 방전 실험을 통하여 유리관 내벽의 흑화를 관측하였다. 수은 혼합기체(Ne+Ar+Hg)의 방전에서 나트륨 함유량이 많은 유리관일수록 흑화가 심하게 나타난다. 무수은 가스(Ne+Ar)의 방전에서는 흑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나트륨 함유량이 많은 수은 방전 램프에서 봉입 기체의 압력이 작을수록 흑화의 정도가 커진다. 흑화 방지재를 도포한 유리관은 흑화가 미약하게 나타난다. 이 실험을 통하여 흑화는 유리재의 나트륨 성분과 수은 이온의 결합에 의한 아말감($NaHg_2$)이 유리관 내벽에 형성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