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accines

검색결과 821건 처리시간 0.03초

Detection of immunity in sheep following anti-rabies vaccination

  • Hasanthi Rathnadiwakara;Mangala Gunatilake;Florence Cliquet;Marine Wasniewski;Mayuri Thammitiyagodage;Ramani Karunakaran;Jean-Christophe Thibault;Mohamed Ijas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97-106
    • /
    • 2023
  • Purpose: Rabies is a fatal but preventable disease with proper pre-exposure anti-rabies vaccination (ARV). Dogs, as household pets and strays, are the reservoir and vector of the disease, and dog bites have been associated with human rabies cases in Sri Lanka over the past few years. However, other susceptible species having frequent contact with humans may be a source of infection. One such species is sheep and immunity following ARV has never been tested in sheep reared in Sri Lanka.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tested serum samples from sheep reared in the Animal Centre, Medical Research Institute of Sri Lanka for the presence of anti-rabies antibodies following ARV. Sheep serum samples were tested with Bio-Pro Rabie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tibody kits used for the first time in Sri Lanka and our results were verified by a seroneutralization method on cells (fluorescent antibody virus neutralization, FAVN test) currently recommended by 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Results: Sheep received annual ARV and maintained high neutralizing antibody titers in their serum. No maternal antibodies were detected in lamb around 6 months of age. Agreement between the ELISA and FAVN test, i.e., coefficient concordance was 83.87%. Conclusion: Annual vaccination in sheep has an effect on maintaining adequate protection against rabies by measurements of anti-rabies antibody response. Lambs need to be vaccinated earlier than 6 months of age to achieve protective levels of neutralizing antibodies in their serum. Introducing this ELISA in Sri Lanka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determine the level of anti-rabies antibodies in animal serum samples.

Induction of Peptide-specific CTL Activity and Inhibition of Tumor Growth Following Immunization with Nanoparticles Coated with Tumor Peptide-MHC-I Complexes

  • Sang-Hyun Kim;Ha-Eun Park;Seong-Un Jeong;Jun-Hyeok Moon;Young-Ran Lee;Jeong-Ki Kim;Hyunseok Kong;Chan-Su Park;Chong-Kil Lee
    • IMMUNE NETWORK
    • /
    • 제21권6호
    • /
    • pp.44.1-44.15
    • /
    • 2021
  • Tumor peptides associated with MHC class I molecules or their synthetic variants have attracted great attention for their potential use as vaccines to induce tumor-specific CTLs. However, the outcome of clinical trials of peptide-based tumor vaccines has been disappointing.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this lack of success, such as difficulties in delivering the peptides specifically to professional Ag-presenting cells, short peptide half-life in vivo, and limited peptide immunogenicity. We report here a novel peptide vaccination strategy that efficiently induces peptide-specific CTLs. Nanoparticles (NPs) were fabricated from a biodegradable polymer, poly(D,L-lactic-co-glycolic acid), attached to H-2Kb molecules, and then the natural peptide epitopes associated with the H-2Kb molecules were exchanged with a model tumor peptide, SIINFEKL (OVA257-268). These NPs were efficiently phagocytosed by immature dendritic cells (DCs), inducing DC maturation and activation. In addition, the DCs that phagocytosed SIINFEKL-pulsed NPs potently activated SIINFEKL-H2Kb complex-specific CD8+ T cells via cross-presentation of SIINFEKL. In vivo studies showed that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SIINFEKL-pulsed NPs effectively generated SIINFEKL-specific CD8+ T cells in both normal and tumor-bearing mice. Furthermor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SIINFEKL-pulsed NPs into EG7.OVA tumor-bearing mice almost completely inhibited the tumor growth.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vaccination with polymeric NPs coated with tumor peptide-MHC-I complexes is a novel strategy for efficient induction of tumor-specific CTLs.

항바이러스 효능을 가진 자연살해세포 치료제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Natural Killer Cell Therapy with Antiviral Efficacy)

  • 김동수;윤형석;이진희;연다영;유치호;구세훈;송영조;김정은;이승호;이용한;허경행;강정화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7-115
    • /
    • 2024
  • Various vaccines were rapidly develop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prevent and treat infections but global infections continue, and concerns about new mutations and infectious diseases persist. Thus, active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producing, and supplying vaccines and treatments for various infectious diseases and potential pandemics. Natural killer(NK) cells, as innate immune cells, can recognize and eliminate abnormal cells like virus-infected and cancer cells. Hence, their development as anticancer and antiviral treatments is rapidly advancing. In this study, optimal short-term culture conditions were identified for allogeneic NK cells by simplifying the culture process through the isolation of NK cells(referred to as NKi cells) and eliminating CD3+ cells(referred to as CD3- cells). NK cells demonstrated reduced viral titer in injection of NK cells into SARS-CoV-2 infected ACE-tg mice increased survival. The study's findings could form the basis for an antiviral treatment platform that swiftly responds to new viral disease pandemics.

Evaluating the knowledge, attitude, perception, and readiness of caregivers of under 5-year-old children to accept malaria vaccine in Nigeria

  • Blessing Nkechi Emmanuel;Abubakar Nuhu Ishaq;Olisaemeka Zikora Akunne;Umar Faruk Saidu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21-131
    • /
    • 2024
  • Purpose: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nd mortality is greatly influenced by malaria, particularly in children. Nigeria alone accounts for about 25% of global malaria cases and fatalities. Despite efforts to control and eliminate malaria, conventional treatments have limitations, prompting the need for a vaccine. However, while efforts have focused on researching and developing malaria vaccines,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ublic acceptance and preparedness for vacc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approach to assess the knowledge, perceptions, and readiness of caregivers towards the malaria vaccin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physical and online survey among a representative sample of caregivers across the six geopolitical regions of Nigeri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percentages. Results: Out of 347 respondents, 180 (51%) men, 165 (46.6%) women, 2 (0.5%) transgender, 156 (45%) rural settlers, and 191 (55%) urban settler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study reported an overall acceptance rate of 78.4% and 21.6% resistance rate. The age group between 21-30 years recorded the highest 207 (59.6%). A significant number of participants, 252 (59.6%), held at least a higher or post-secondary certificate, out of which 193 (55.6%) demonstrated strong readiness to accept the malaria vaccine. The study showed that fear of adverse effects was the main reason for malaria vaccine resistance among caregivers. Conclusion: This study's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caregivers' knowledge about the malaria vaccine, highlighting the factors that impact the acceptance of the malaria vaccine.

Acute abdomen following COVID-19 vaccination: a systematic review

  • Nelson Luis Cahuapaza-Gutierrez;Renzo Pajuelo-Vasquez;Cristina Quiroz-Narvaez;Flavia Rioja-Torres;Maria Quispe-Andahua;Fernando M. Runzer-Colmenares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42-53
    • /
    • 2024
  • Purpose: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cute abdomen following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ccination, to describe the possible association and the clinic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detail.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case report studies and case series that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cute abdomen following COVID-19 vaccination. Systematic review studies, literature, letters to the editor, brief comments, and so forth were excluded. PubMed, Scopus, EMBASE,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were searched until June 15, 2023. The Joanna Briggs Institute tool was used to assess the risk of bias and the quality of the study. Descriptive data were presented as frequency, media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Seventeen clinical case studies were identified, evaluating 17 patients with acute abdomen associated with COVID-19 vaccination, which included acute appendicitis (n=3), acute pancreatitis (n=9), diverticulitis (n=1), cholecystitis (n=2), and colitis (n=2). The COVID-19 vaccine most commonly linked to acute abdomen was Pfizer-BioNTech (messenger RNA), accounting for 64.71% of cases. Acute abdomen predominantly occurred after the first vaccine dose (52.94%). All patients responded objectively to medical (88.34%) and surgical (11.76%) treatment and were discharged within a few weeks. No cases of death were reported. Conclusion: Acute abdomen is a rare complication of great interest in the medical and surgical practice of COVID-19 vaccination. Our study is based on a small sample of patien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future observational studies to fully elucid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is association.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different booster vaccination schemes for COVID-19 used in El Salvador

  • Xochitl Sandoval;Rhina Dominguez;Delmy Recinos;Susana Zelaya;Patricia Cativo;Guillermo Horacio Docena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35-41
    • /
    • 2024
  • Purpose: The effectivenes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ccination schemes and the combination of vaccines of various platforms for administering booster doses is still being studied since it will depend on the population's response to vaccines. We aimed to evaluate the safety, protection, and immunogenicity of the Salvadorean population's third dose booster COVID-19 vaccine and the potential benefit of homologous vs. heterologous regime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n analytical observational cohort study in a population aged 18 to 65 years that was primarily vaccinated with AstraZeneca, Sinovac, or Pfizer/BioNTech. Volunteers were recruited (n=223) and followed up for 3 months after receiving the 3rd vaccine (BNT162b2) as a booster. Adverse reactions were monitored, serum anti-spike immunoglobulin G (IgG) was assessed by chemiluminescence, and a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carried out when subjects developed clinical signs. Results: The cohorts finally included 199 participants, and we observed only mild adverse effects in all cohorts. A significant increase in specific IgG levels was found after the booster dose in all cohorts. The heterologous scheme with Sinovac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in antibody titer, and a decrease was observed in all participants after 3 months. During the follow-up period, 30 participants showed symptomatology compatible with COVID-19, but only four were laboratory-confirmed and they showed mild clinical sign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ooster doses used were safe and promoted an immediate increase in immunogenicity, which decreased over time. The heterologous regimen showed stronger immunogenicity compared to the messenger RNA-based homologous scheme.

뉴캣슬병 면역에 대한 검토 I. 뉴캣슬병 유행지역에서의 계군면역에 대한 실태조사 (Studies on the Immuniz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I. A Survey on the Immune Status of Poultry Flocks Againt New-castle Disease in the Epizootic Area)

  • 이학철;정우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24
    • /
    • 1981
  • 우리나라 뉴캣슬병 (ND) 면역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명확한 예방접종지침을 제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우선 ND 유행이 극심하였던 지역의 일반양계농장에서 사육되는 건강면역군의 예방접종경력과 혈구응집억제항체가(HI 가)를 조사하여 야외에서 실시된 ND예방접종결과에 따르는 면역효과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동일지역 내에서 ND발생계군과 비발생계군에 대한 예방접종경력과 발생계군의 피해상황을 조사함으로서 야외에서 실시한 ND예방약의 응용방법과 본병발생과의 관계를 조사한 추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D 유행지역에서 조사한 26건강면역계군의 예방접종경력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22계군은 LV와 LV병용. 잔여 4계군은 KV단용에 의해서 각각 면역되었다. 이들의 HI가는 일반적으로 전자가 높았고 후자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평균치는 각각 146. 50이었다. 그리고 전자의 22계군 중 특히 낮은 역치(10, 23)를 보였던 그계군은 추후 ND발생을 보았으나 잔여 20계군 및 KV 단용 4계군은 모두 무사히 경과하였다. 2. ND유행지역에서 조사한 ND발생14계군의 예방접종경영은 무접종이 1계군이고 잔여 13계군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접종프로그램에 따라서 LV단용이 8계군, LV와 KV병용이 5계군이었다. 폐사율에 있어서 후자는 5.1%인데 반하여 전자는 32.5%의 피해 즉 후자에 비하여 6.28배의 월등히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한편 ND비발생 4계군은 LV와 KV병용 혹은 KV단용 예방접종프로그램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LV단용계군은 1예도 없었다. 3. 야외에서 조사한 면역계군들의 LV응용은 거의가 ND면역상 불리하다고 보여지는 음수 투여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극히 소수예가 비질내적하 혹은 일정 희척 LV병독액 속에 파면역추의 입, 코, 눈까지 침지하는 특이한 방법으로 면역되었다.

  • PDF

Urabe AM-9 볼거리 백신주의 Hemagglutinin-Neuraminidase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Hemagglutinin-Neuraminidase Gene of Urabe AM-9 Strain)

  • 이주연;김지희;이진수;박지호;손영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1호
    • /
    • pp.83-93
    • /
    • 2000
  • 목 적 : Urabe AM-9 볼거리 백신주는 무균성 뇌막염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신 접종 후 무균성 뇌막염을 일으키는 경우 Urabe AM-9 백신주의 hemagglutinin-neuraminidase(HN) 유전자의 염기서열 1081번의 G가 A로 치환되어 335번째 아미노산이 glutamic acid에서 lysine으로 바뀌게 됨에 따라 야생형의 mumps 바이러스와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국내에서 사용중인 Urabe AM-9 백신주의 안전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일부 백신주와 야생 분리주의 HN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 법 : 국내에서 사용되고있는 Urabe AM-9주 백신 2종류와 1998~1999년에 볼거리 환자로부터 분리된 야생 분리주를 이용하여 RT-PCR 방법에 의해 HN 유전자를 증폭시킨 후 염기 및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백신주와 야생 분리주 모두 HN 343, 1476, 1570번 위치에서의 염기 변이는 없었으나 1081번 위치 염기는 모두 야생주와 같은 Lysine/AAA form으로 나타났으며 변이주인 Glutamic acid/GAA와의 혼합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HN 1470번 위치의 염기는 백신주 중 계대 배양시 C에서 A로 치환되었으며, HN 1727번 위치 염기는 모두 A에서 G로 치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국내에서 사용중인 2종류의 Urabe AM-9 백신주와 야생 분리주 모두 1081번 위치의 염기가 야생주와 같은 무균성 뇌막염을 일으킬 생물학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에서도 상기 백신주를 사용한 후 무균성 뇌막염이 발생하고 있을 개연성이 매우 크다고 사료되며 직접적인 연관성에 대한 보완 연구를 위하여 정확하고 믿을만한 자료에 의한 실제 부작용 실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 PDF

신질환 소아의 예방접종 현황 : 대한소아신장학회 회원들의 접종 방식에 대한 조사 (Immunization Practices in Children with Renal Disease : A Survey of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 박성식;안성연;이주석;김수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2호
    • /
    • pp.198-208
    • /
    • 2002
  • 목적 : 소아 신증후군을 비롯한 신질환 환아는 질병 자체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면역억제제 사용으로 인한 면역 기능 저하로 감염되기 쉬운 상태에 있다. 폐구균 감염,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대장균 등에 의한 복막염, 패혈증에 취약한 상태이고 홍역 및 수두 등에 심한 임상 경과를 취하므로 이들 질환에 대한 적극적 예방접종이 필요하며,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의 호발 연령인 $2{\sim}6$세는 소아의 기본 예방접종의 추가 접종 시기에 속한다. 하지만 신증후군 환아에서 예방접종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다수의 소아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임상 경과의 시기, 스테로이드 제제의 사용 용량에 따른 예방접종 시기에 대해서도 완전한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지 못하고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소아 신장학 분야의 전문가들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는 예방접종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한소아신장학회에 등록된 정회원 5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자 56명 중 35명이 응답하였고 (응답률 62.5%), 이중 대학병윈 근무자가 29명(82.8%)이었다. 신증후군 소아에 대한 기본 예방접종은 응답자 35명 모두 일반 소아에서 추천되는 지침과는 다른 수정된 방식으로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었다. 생백신의 경우 관해 이후 고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는 경우는 없었으며 저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는 경우가 12명(24.3%), 스테로이드 끊고 일정 기간 지난 후 접종이 23명(65.7%)이었다. 사백신의 경우는 관해 이전에도 접종하는 경우가 5명(14.3%), 관해 이후 고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는 경우가 5명(14.3%), 저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는 경우가 20명(57.1%). 스테로이드 끊고 일정 기간 지난 후 접종하는 경우가 5명(14.3%)이었다. 신질환 소아에서 추천되는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간염, 폐구균, 독감 등의 예방접종은 신질환 소아 및 면역억제요법을 실시하지 않는 신부전 소아에게 이들 백신을 대부분 접종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스테로이드사용 중인 신질환 소아에서 이들 예방접종시기에 대해서는 응답자 25명(71.4%)이 저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중에 접종하고 있었으며, 단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는 저용량 스테로이드 투여 시 접종하겠다는 응답자가 18명(45.7%)으로 스테로이드 끊고 접종하겠다는 응답자 15명(42.9%)과 비슷하였다. 신증후군 소아에서 예방접종 후 부작용은 백신 접종 후 신증후군 재발을 경험한 응답자가 9명, 백신접종에도 불구 해당 질병 발병을 경험한 접종자가 3명, 생백신 접종 후 백신 균주에 의한 발병을 경험한 접종자가 2명이었다. 결론 : 국내의 소아 신장학 전문가들은 일반 소아에서 권장되는 예방접종 지침과는 다른 수정된 방식에 따른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아직 질병 경과와 스테로이드 사용에 따른 접종 시기에 다양성을 보이고 있었고, 또한 예방접종 후의 부작용을 경험한 경우도 다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다수의 소아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소아 신질한 환아에서 추천되는 예방접종 지침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문헌 분석에 의한 B형 간염 백신의 항체 양전률의 비교 (Analysis of Immunogenicity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in Korea by Literature Review)

  • 노혜옥;이우길;손영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5권2호
    • /
    • pp.245-257
    • /
    • 1998
  • 목 적 : 1983년부터 B형 간염 예방접종을 시행한 이래 국내에서 사용 중인 B형 간염 백신들의 항체 양전률에 대한 보고는 접종 일정, 접종 용량, 항체 검사 방법 및 항체 양성기준 등이 서로 상이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기에 논란이 있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B형 간염 예방접종 후에 항체 양전률을 조사한 국내 문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접종되고 있는 B형 간염 백신의 효과를 맡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각과 의학회지 및 분과 학회지, 의과대학 학회지 등에서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하고 항체 양전율을 보고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논문의 포함 기준은 검사 방법이 방사선 면역법 또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검사법이고 혈청 방어 항체가를 10mIU/mL 이상으로 하거나 기준 비율(sample ratio unit)를 10 ratio unit(RU) 이상으로 한 경우이며 이를 기준으로 항체 양전률을 구할 수 있는 경우로 하였다. 제외 기준은 접종 용량이 불분명하거나 불규칙한 경우, 항체 양전률이 없는 경우, 양성 기준 항체가 또는 기준 비율을 10mIU/mL 또는 10RU로 정하지 않았거나 변환할수 없는 경우, 접종 일정이 0-1-2개월 또는 0-1-6개월이 아닌 경우, 접종 백신의 기원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로 하여, 52편 중 29편을 제외한 2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항체 양전률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접종 연령에 따른 항체 양전률의 가중 펑균은 Hepaccine(제일제당)의 경우 영아에서 85.1%, 소아에서 83.3%, 성인에서 62.7%로 영아와 소아에서 성인보다 항체 양전률이 높았다(P<0.01). Hepavax(녹십자)의 경우는 영아에서 84.7%, 소아에서 81.1%, 성인에서 90.8%로 소아에서 더 낮은 항체양전률을 나타내었다(P<0.01). 2) Hepavax(녹십자)를 0-1-6개월에 접종한 경우 항체 양전률의 가중 평균은 85.6%였고 0-1-2개월에 접종한 경우는 78.5%로 0-1-6개월에 접종한 경우가 항체 양전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3) 영아 및 소아에서 Hepavax(녹십자)를 $5{\mu}g$ 접종한 경우와 $10{\mu}g$ 접종한 경우의 항체 양전률에는 차이가 없었다(P<0.38). 4) 성인에서 Hepaccine 접종 후 항체 양전률의 가중 평균은 62.7%. Hepavax는 90.8%였고 Engerix-B의 경우 94.8%로 Hepavax와 Engerix-B가 Hepaccine 보다 항체 양전률이 높게 나타났다(P<0.01). 결 론 : 본 조사를 동하여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보유율이 높은 국내에서 원래 정해진 일정을 변경하는 방법은 항체 생성을 극대화하지 못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백신의 면역원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거보다 더 효과적인 백신을 개발하고, 올바른 접종 방법을 지키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