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R-Design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27초

VR 웹툰을 활용한 진로탐색형 STEAM 프로그램 개발 - 대면·비대면 혼합형 교육 적용 사례 (STEAM Program Development for Career Exploration using VR Webtoon - Application of Contact·Untact Combined Education)

  • 주학종;임은영;서경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53-664
    • /
    • 2021
  • 본 연구는 디지털 신기술인 VR(Virtual Reality)과 대중문화 요소인 웹툰을 접목하여 중학생 대상의 진로탐색형 STEAM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미래의 유망 분야를 조사하고, 진로를 기획·제작 및 가상체험하는 과정을 자기주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그리고 STEAM 교수학습 준거 항목에 진로탐색을 고려하여 설계하되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기존 교과목들에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COVID-19 상황으로 인해 대면 수업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대면·비대면 혼합형 교육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STEAM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에 있다. 정성적으로는 디지털 신기술을 교육에 접목한 교육기반을 마련하고, 정량적으로는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중학교 교육 현장의 프로그램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개발 프로그램을 서울시 A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진로탐색형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과학과 기술의 진입장벽 없이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미래 진로를 탐색하고 고민하는 데 도움 되기를 기대한다.

간호대학생과 병원간호사의 가상현실기반 환자안전을 위한 팀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에 대한 교육요구의 차이: 혼합연구설계 (Nursing Students and Clinical Nurses' Awareness of Virtual Reality(VR) Simula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VR-based Team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 for Patient Safety: A Mixed Method Study)

  • 허혜경;정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29-64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가상현실기반 환자안전을 위한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60명과 간호사 123명에게 질문지 조사를 시행하고, 간호사 14명에게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한 혼합연구설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 후 귀납적 내용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가상현실인식과 팀 의사소통 및 팀워크 기술 교육요구는 보통수준 이상이었고 간호대학생에서 가상현실인식과 교육요구가 더 높았다. 팀워크 지식은 보통수준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질적 자료 분석에서 간호사는 병원에서 의사 또는 타부서 직원과의 의사소통 어려움을 일으키는 4개 주제와 결과요인 2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상자들의 가상현실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환자안전을 위해서 팀 의사소통과 팀워크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대상자들의 교육요구를 반영한 가상현실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환자안전을 위한 팀 의사소통과 팀워크 기술 역량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

유튜브에 나타난 화예 디자인 교육 콘텐츠 연구 -화훼장식기능사 교육 콘텐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Floral Design on YouTube)

  • 양동복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93-114
    • /
    • 2019
  • 본 연구는 유튜브에 나타난 화예 디자인 교육 콘텐츠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해보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화훼장식기능사'를 검색어로 최근 1년간 게시된 콘텐츠 129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가 다룬 내용은 실기강의, 이론강의, 시험관련 팁, 직업과 인물소개, 시험과제 작품, 교육안내와 홍보였고 그 중 실기강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형식은 강의, 강의실황, 영상구성, 인터뷰, 브이로그, 텔레비전방송프로그램으로 구분되었으며 강의 형태를 띤 콘텐츠가 가장 많았다. 편성전략 유형으로는 목표 시청층의 관심사에 대한 내용을 주기적으로 업로드하는 허브 유형이 가장 많았다. 이용자들은 실기시험을 다룬 내용의 강의 형태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콘텐츠의 다양성, 크리에이터와 이용자 간의 양방향 소통, 조화로운 편성전략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내용적 측면에서는 독창적이며 틈새를 공략하는 분야의 개척, 현장을 배경으로 하는 실습내용의 반영, 감성과 흥미가 포함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게임, 퀴즈와 같은 양방향 요소의 도입, VR, AR 등 뉴미디어 기술의 적용을 시도해볼 수 있겠다. 편성전략유형에서도 히어로, 허브, 하우투 세 가지 유형의 상호보완적 채널구성 방안이 제시되었다. 향후 화예 디자인 관련 교육 콘텐츠 수요의 확장이 예상되므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전문적 크리에이터의 육성, 연관 수익 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군용기 조종실 설계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Ergonomics Cockpit Design Program Based on the Military Aircraft)

  • 김문열;류태규;김성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3-88
    • /
    • 2006
  • 군용 항공기 개발 시 중요한 업무 중의 하나는 분야별 설계․해석․평가를 위한 다양한 기술자료와 정보의 통합된 환경 체계를 구축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특히, 안전성과 조종 편의성에 직결되는 조종실의 최적화 설계를 위해서는 조종실 공간 및 배열설계, 시계분석, 탈출계통 설계 등을 위한 방대하고, 다양한 자료가 요구된다. 또한, 조종사에 대한 고려요소로써 신체요소의 분류와 각 신체부위의 치수 자료를 바탕으로 인간공학적 설계개념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동안 항공기 조종실 개발 과정 중 수집 및 도출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인간공학적 조종실 설계 작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게 되었다.

가상현실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설계원리 개발 및 적용 : 시뮬레이션 앱 구현을 중심으로 (Developing and Applying Design Principles for Maker Programs Using Virtual Reality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Application)

  • 박태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61-175
    • /
    • 2020
  •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velop the design principles for maker programs using virtual reality and apply them in developing a simulation mobile application. First,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levant studies and cases eight design principles with four components were derived. Then, these initial design components and principles were revised and improved in accordance with evaluations of an expert panel composed of three professors/researchers, two teachers, and two IT industrial experts. Based on the revised design principles, a VR simulation app for maker education was developed and evaluated on whether the principles were properly applied to the app development by the expert panel. The finalized eight design principles, as a research outcome,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replace the actual making experience even in educational fields where it is difficult to build maker spaces or provide materials and equipment. In the near future, empirical studies are expected to develop customized maker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levels, and needs of students and verify their educational effectiveness.

지지력과 침하량을 고려한 강성관용 하수관거 설계 (Design of Rigid Sewer Pipe by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 김성겸;오승식;이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37-14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강성관용 하수관거 설계 시 주로 관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기준으로 관의 파손여부를 결정하는 기존 설계법의 개선을 위해 하수관거 기초의 지지력 및 침하량을 추가로 평가하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쇄석기초의 안전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콘크리트 VR관 및 조립식 플라스틱 기초는 굴착 깊이 대부분에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성관용 하수관거 기초의 지지력은 기초의 종류에 상관없이 기초의 형상, 지반조건 및 지하수위에 따라 지지력이 결정되었다. 기초의 지지력은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작게 평가되었고, 동일 깊이에서 기초의 폭이 작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근입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즉시침하량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관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동일깊이에서 즉시침하량은 커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강성관용 하수관거 설계 시 기존의 관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기준으로 하는 관의 파손 여부에 본 연구 결과에서 얻어진 지지력 및 즉시침하량을 고려하는 것이 강성관용 하수관거의 침하 등으로 인한 문제 해결에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표현방법 추이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Grotesque Expression Method in Animation)

  • 이종한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51-60
    • /
    • 2004
  • 그로테스크의 미학과 그 오락적 가치는 애니메이션이라는 표현매체가 갖는 특징과 그 속성에서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한 이미지 표현 방식은 현대 이미지 디지털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그 표현 영역이 확대되었다. 실사와 애니메이션의 합성, 오브제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던 그로테스크 이미지는 Full 3D 애니메이션의 기술, 그리고 모션캡쳐로 인한 가상캐릭터에 대한 현실감 있는 움직임 부여로 좀 더 사실감 있게 그 부조화성을 발전시키고 있다. 그 소재 또한 현대 과학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해 졌다. 그 한 예가 사이보그 캐릭터의 등장이며 이러한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는 현대에 이르러 그 여러 특징 중에 인간소외를 다루는 애니메이션에서 주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로테스크 이미지 표현방식의 변화는 향후 영상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방법적 양식을 달리하여 VR 형태, 인터랙티브한 영상으로 그 표현매체를 옮기면서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와 성향은 비인간성을 강조하는 영상장르로 대변되어 갈 것으로 본다

  • PDF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기반 한국어 텍스트 명령 시스템 (Keyword Retrieval-Based Korean Text Command System Using Morphological Analyzer)

  • 박대근;이완복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59-165
    • /
    • 2019
  •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음성 인식 기술이 상용 제품에 적용되기 시작했지만, 음성 인식으로 분석된 텍스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VR 컨텐츠에서 그 적용 예를 찾아 보기는 쉽지 않다. 본 논문은 문장의 형태소를 분석하는 형태소 분석기와 챗봇 개발에 주로 이용되는 검색 기반 모델(Retrieval-Based Model)을 활용하여 명령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한국어 텍스트 명령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문자열 비교 방식과 같은 동작을 하기 위해 16%의 명령어만 필요했으며, Google Cloud Speech와 연동하였을 때 60.1%의 성공률을 보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이 문자열 비교 방식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Features of Ukrainian Media Art in a Global Context

  • Hridyayeva, Tamara O.;Kohut, Volodymyr O.;Tokar, Maryna I.;Stanychnov, Oleg O.;Helytovych, Andrii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4호
    • /
    • pp.229-240
    • /
    • 2021
  • The article seeks to explore Ukrainian media art and its features in a global context. In particular, it performs an in-depth analysis of the stages of its development from video art of the 1990s, media installations of the 2000s, and to various digital and VR technologies today. Due to historical circumstances, the development of media art was quite rapid, as young artists sought to gain new experience in media art. Most often, their experience was broadened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tudying abroad. The paper analyzes the presentation of Ukrainian media art outside the country during 1993-2020 and distinguishes the main thematic areas of the artists' work. It examines how artists present and reveal the peculiarities of the Ukrainian worldview, aesthetics, and culture through the problematization of certain aspects and themes in their work. Specifically, among the principal topics which are problematized in the work of media artists are a sensory experience, limited sensory capabilities, gender issues, the Chernobyl tragedy, the development of utopian models of the city, and global communication. The leading themes of Ukrainian artists also include revolution and war. Notably, political and social sentiments determine the unique energy and vitality of contemporary Ukrainian art, create a revolutionary creative environment, and unite media artists in group art projects. It is concluded that by showing, exhibiting, and presenting them outside the country, artists shape the image of Ukrainian art in a global context.

무인이동체 기반 실감 콘텐츠 교육 과정 설계 (Unmanned Vehicle-based Realistic Content Training Course Design)

  • 진영훈;이면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9-54
    • /
    • 2022
  • 실감형 콘텐츠는 사용자의 오감을 극대화하여 실제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콘텐츠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이 이에 속한다. 실감형 콘텐츠에서 사용자에게 실재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제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와 청각, 촉감 등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실감형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인력 양성 교육 전문가는 교육 과정 설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감형 콘텐츠 인재 양성 전문가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드론을 활용하여 실세계 측정 데이터를 취득·가공하고, 도출된 데이터를 VR/AR/MR에 적용하는 일련의 교육 과정을 제안한다. 설계 과정은 기업과 학생, 지역 사회에 대한 수요조사와 분석을 통해 교과과정을 구성한다. 본 연구는 실감형 콘텐츠 인력 양성을 시도하려는 교육 전문가에게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