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R게임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Manufacturing of Integration Training VR Simulation Platform for Disaster Response (재난대응을 위한 통합훈련 VR 시뮬레이션 플랫폼 제작)

  • Xie, Qiao;Jang, Young Jick;Yun, Tae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4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VR 시뮬레이션 플랫폼의 프레임 웍에 기반하여 게임 엔진을 활용한 통합훈련 VR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제작하고 그 사례를 소개한다. 본 VR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활용하면 전문 직종 종사자들이 아닌 일반인들이 실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재난 상황에 대해 행동요령을 훈련할 수 있다. 이 VR 시뮬레이션 플랫폼은 재난 상황에 대해 반복적이고 안전하게 행동요령을 익힐 수 있으며, 본 제작 과정은 VR 시뮬레이션 플랫폼 개발의 제작단계에서 유용하게 참고 될 자료라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Unity-based Webtoon VR Production Process (유니티 기반 웹툰VR 제작 과정에 관한 연구)

  • Kim, Eun-Ji;Lee, Sang Hwa;Lee, Byo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129-131
    • /
    • 2022
  • 본 프로젝트는 Unity3D Tool 기반의 가상 체험용 웹툰 VR 제작 과정을 설계하고 구현했다. 프로젝트의 핵심 기능 및 환경은 게임 제작용 툴인 Unity를 사용하여 웹과 모바일 앱에서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웹에서는 키보드와 마우스로 제어하고 모바일 앱에서는 VR 장치를 통해 자체 컨트롤러 기능을 활용하여 이동 및 제어 처리했다. 그리고 VR 장치를 활용한 앱 컨트롤러는 시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는 유니티(unity)기반의 웹툰VR 제작 과정을 구현한 연구이다. 웹툰 기반의 VR 연구는 기존의 2D 형태의 보기만 하는 과정을 VR 기술을 이용해 360도 웹툰을 볼 수 있고 체험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사용한 장비로 오큘러스 퀘스트(HMD 장치)이다.

  • PDF

KBS 'Summter VR' directing analysis - Focusing on the long take technique (KBS '숨터 VR' 연출 분석 - 롱 테이크 기법을 중심으로)

  • Pyo, Man-seok;Choi, Yoon-hee;Lee, Seung-hyun;Kwon, Soon-chul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3
    • /
    • pp.149-158
    • /
    • 2018
  • VR image content producers are now terrestrial broadcasters, movie studios, game companies, and VR content producers (productions). As the VR market begins to form, investment in VR image content production is also expanding. The terrestrial KBS 'Summter VR' has been produced steadily from 2016 to 2017. 2D and VR images were simultaneously broadcast. If we compare and analyze these two image data, we could get a meaningful presentation. In this paper, 'Summter VR' is analyzed by cutting the image by time. "Summter VR" was using a long take for an average of 30 seconds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choosing a beautiful place so as not to fall into the boredom of long take directing. Most of the images of 'SummterVR' were long take techniques using the mise en scene VR technique.

Virtual Reality FPS game contents development Using Unreal Engine4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4)을 이용한 가상현실 FPS게임 콘텐츠 개발)

  • Yun, Tae-Jin;Jo, Ho-Dong;Park, Jae-Woo;Park, Jun-Keun;Baek, Se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437-438
    • /
    • 2018
  • 최근 ICT산업의 주요 이슈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다수의 IT기업들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HMD에 대한 장점인 몰입감, 공간감, 헤드트래킹에 대해 이해를 위해 HTC Vive을 이용해 Unreal Engine4 V4.19 게임엔진의 Level과 Gameinstance와 Actor에 대한 상호작용과 Timeline과 Random함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VR환경 FPS(First Person Shooter)게임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 PDF

Volumetric Capture data-driven Real Object-Virtual Space Adjustment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Design (볼류메트릭 캡처 데이터 기반 실사-가상공간 정합 및 VR 실감 미디어 콘텐츠 디자인 설계)

  • Ryoo, Miohk;Yoo, Sanghyun;Yun, Kugjin;Kim, Myoungha;Kim,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
    • /
    • 2022
  •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한 4차 산업혁명이 앞당겨지고 초현실, 초실감, 초연결 사회 등의 키워드가 대두되고 언택트(Untact) 시대가 일상생활에 불가항력적으로 접목되면서 몰입감과 흥미성, 유희성을 목적으로 한 콘텐츠들이 다양하게 활성화되었다. 특히,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이 빠르게 진화하면서 물리적 현실과 디지털 가상성을 융합한 다중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다중 사용자 플랫폼에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대규모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온라인 비디오 게임, 오픈 게임 월드, AR 협업 공간과 호환되는 사회적, 몰입감이 있는 VR(Virtual Reality) 플랫폼 서비스 중 하나이다. 우리는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시 필요로 하는 요소기술 및 3D 데이터 획득을 통한 VR 콘텐츠를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1) 콘텐츠 시나리오 및 사용자 인터랙션 설계; 2) 볼류메트릭 캡처를 활용한 실사 기반의 동적(Dynamic) 데이터 생성; 3) 컴퓨터 그래픽 기반 가상공간 설계 및 정적(Static)데이터 요소기술 개발; 4) 가상 현실 공간 데이터와 볼류메트릭 캡처의 실사 데이터 정합; 5) 공간 데이터 시각화 생성 및 모듈형 공간 이동 제어 기능 개발; 최종적으로 6) VR 환경에서의 콘텐츠 구현을 목표로 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ass Using Next Generation Content Console Devices (차세대 콘텐츠 콘솔기기 활용 수업 적용 계획연구)

  • Byung-Hyuk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149-150
    • /
    • 2023
  • 게임 산업의 성장속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플랫폼의 증가와 디바이스의 확산으로 전통적인 게임 콘솔 외에도 개인용 컴퓨터는 물론 가상현실 헤드셋(VR), 심지어 스마트TV를 이용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등 게임을 이용하는데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장치에서 쉽게 접근할수 있도록 하여 비디오 게임 사용자 증가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양질의 게임콘텐츠와 메타버스를 넘나드는 고 퀄리티의 차세대 게임을 분석 및 이해하고 연구를 통하여 게임을 제작하기 위해 게임 엔진에 사용된 제작기법을 이해하기 위해서 피교육자들은 게임을 직접 플레이해보며 사용자의 경험을 쌓고 노하우를 축적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고 결론지었음. 차세대 콘솔기기를 활용하여 우리 대학 신규 교과목으로 편성 되어있는 XR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수업의 효율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본교에 설치되어있는 차세대 콘솔기기 활용 및 적용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f Evaluation Model of VR(Virtual Reality) Game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연구)

  • Park, Ch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345-3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게임의 평가 모델은 장르별, 재미요소 특성에 맞게 연구 되어 왔다. 가상현실 게임에 대한 평가 모델은 아직까지 연구 제안된 모델이 없었다. 4차 산업과 연관하여 가상현실은 최근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기술의 발달은 게임 분야와 관련하여 많은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항목은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활용하여 이를 평가 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영역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게임 개발의 성공을 위한 하나의 가치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User Pres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Height Difference of 360-degree VR Cameras in Exhibition/Performance VR Content (전시·공연 VR 콘텐츠에서 360도 VR 카메라의 위치와 높이 차이에 따른 사용자 프레즌스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Kim, Sang-il;Lee, Jae-Hyu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6 no.5
    • /
    • pp.508-518
    • /
    • 2021
  • Recently as a result of covid 19, it ha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non-contact. VR conten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visual arts, media art, new media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with limited offline activities. Although interest in 360 VR video contents such as VR contents for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is increasing, research on immersion and satisfaction is focused on games and animation VR contents. In this paper, it verified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in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VR camera in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on the user's presence and satisfaction. For this experiment, the presence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after experiencing the VR contents of the convergence exhibition and performance film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heigh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difference of VR camera's pos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esence and satisfaction, the difference of VR camera's height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Realistic immersion of the presence.

Usability Evaluation Model for Locomotion Technology in VR Space (VR 공간에서의 이동기술 평가를 위한 사용성평가 모델)

  • Ding, Xiu Hui;Xie, Qiao;Jang, Young-Jick;Yun, Tae-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9
    • /
    • pp.1-9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aluation model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locomotion technologies in a virtual environment (VE; Virtual Environment) and try to verify them through a case study. The order of this study firstly, the factors for analysis a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approach to locomotion technology on VR. Second,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mobile technology and usability evaluation in VR are established theoretically and the elements for analysis are deriv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to VE. Third, based on this, a usability evaluation model is proposed to evaluate locomotion technologies in the VE. Finally, the results are derived by experimenting and analyzing the existing VR games applied with the three locomotion technologie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Through this paper, the locomotion technology in VR is not used separately, but can propose mobile technology that conforms to VR game content characteristics by assessing its usability and analyzing it, and it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data that can suggest criteria for identifying problems in locomotion technology.

A Study On the Narrative of VR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Introduced by Disaster Film Narrative (가상현실(VR) 재난안전교육에서 재난영화 내러티브 도입 연구)

  • Kang, Nae 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5
    • /
    • pp.561-56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rrative of VR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introduced by disaster film narrative. VR(Virtual Reality) is be suitable technology for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due to media characteristics as 'immersion', 'presence', 'interactivity', 'pleasure'. Disaster film narrative is able to be worth VR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as a variety of stories and educational effect. For this study, examine a theoretical study and a visiting research of 'Busan 119 Safety & Experience Center'. This study concludes that Firstly need to introduce catharsis effect, Secondly, build 'interactive narratives' that ensure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Thirdly, introduce an 'adventure game' narrative element, Fourthly, introduce a hero-shaped narrative in which the user becomes a one-man hero, And lastly, need education as use user's multiple access and group experience learning. Therefore, This thesis is of academic value in that it suggest a desirable new direction of narrative in VR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