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PN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44초

모바일 IP VPN 환경에서의 이동성 지원에 따른 SA 재협상 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enting SA Re-negotiation for Mobility Support in Mobile IP VPN Environment)

  • 차정석;김태윤;송주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0B호
    • /
    • pp.891-898
    • /
    • 2003
  • IPsec을 이용한 remote access VPN구조에서 VPN client가 이동 중에도 지속적인 VPN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Mobile IP와 VPN을 연동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VPN client가 새로운 서브넷으로 handoff하면, VPN client는 새로운 CoA를 획득하게 되며, 주소변경으로 인해 기존의 SA를 이용할 수 없고 새롭게 SA를 재협상 해야한다. SA 재협상 과정은 보안적 측면과는 무관하게 발생하며, 단지 VPN client의 이동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따라서, handoff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환경에서는 SA 재협상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전체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Mobile IP VPN환경에서 VPN client가 handoff를 하더라도, SA를 재협상하지 않고 지속적인 security service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원격접속 VPN에 대한 성능분석 (The Performance Analysis on Remote Access VPN)

  • 김지홍
    • 정보학연구
    • /
    • 제7권4호
    • /
    • pp.21-30
    • /
    • 2004
  • VPN은 공중망을 이용하여 전용선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로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암호 및 보안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IPsec과 VPN에 관한 기술을 정리하고, 원격접속 VPN 성능분석을 위한 파이럿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단일사용자에 대한 원격접속 VPN의 성능을 분석하고, 5명의 사용자가 동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원격접속 VPN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보안측면에서의 가상사설망과 전용회선망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VPN with Dedicated Line Network on security)

  • 정은희;이병관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07-122
    • /
    • 2008
  • 통신망은 크게 누구든지 접속할 수 있는 공중망과 해당 조직 내의 사람들만이 접속할 수 있는 사설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공중망의 회선비용 절감과 사설망의 신뢰성 있는 보안 통신 지원이라는 장점만을 부각시킨 것이 VPN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3계층 터널링 기법을 사용하는 IPSec VPN과 2계층 스위칭 기법과 3계층 라우팅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스위칭 기법을 이용하는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그리고 전용회선을 보안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VPN이 비용면이나 보안측면에서 전용회선보다 우수하며, IPSec VPN과 MPLS VPN을 비교해보면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보안 유지, 비용 절감, QoS 제공, 운영 및 관리의 유연성을 보장하고, 오히려 IPSec VPN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MPLS VPN이 차세대 VPN이라 할 수 있다.

  • PDF

이동성을 지원하는 MPLS 방식 가상사설망 (An MPLS VPN with Mobility Support)

  • 이영석;최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C호
    • /
    • pp.225-232
    • /
    • 2001
  • MPLS 방식 공중망에 구축된 가상사설망(VPN)에서 이동성 지원 방안을 기술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MPLS VPN은 CE(Customer Edge) 라우터 기반의 VPN이다. MPLS VPN에서 Customer 사이트에 속한 노드의 이동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CE 라우터에 이동 엔티티(홈 에이전트, 외부 에이전트, 대응 에이전트) 기능이 추가된다. 노드가 같은 VPN 내의 사이트로 이동하는 경우, 다른 VPN 내의 사이트로 이동하는 경우, 그리고 일반 인터넷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을 설계한다. 시뮬레이션 도구 COVERS를 사용하여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성능 분석을 수행하며, PE(Provider Edge) 라우터 기반의 MPLS VPN과의 성능을 비교한다.

  • PDF

Star VPN 구조에서 CPE VPN GW간 직접 터널을 이용한 성능 향상 방안 (Approach with direct tunnels between CPE VPN GWs in star VPN topology)

  • 변해선;이미정;안상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71-1274
    • /
    • 2004
  • 현재 운용중인 대부분의 VPN은 모든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VPN GW(Gateway)들이 Center VPN GW에 연결되어 있는 Star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모든 트래픽들이 항상 Center VPN GW를 거쳐서 전송되므로 비효율적인 트래픽 전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트래픽 전송이 빈번하거나 다수의 지점을 갖고 있는 기업의 경우 Center VPN GW에서의 오버헤드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IPSec의 IKE(Internet Key Exchange)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CPE VPN GW간 직접 터널을 맺어 줄 수 있으나, 터널 설립에 앞서 원격지 CPE VPN GW의 주소, 요구되는 보안 등급 등의 터널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자가 직접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는 현재 DHCP와 같은 동적 IP 환경에서 운용되는 ADSL 기반의 VPN 환경에서 관리 오버헤드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PE VPN GW 간 직접 터널 연결이 필요할 시에 자동적으로 제반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게 하는 주문형 터널 생성(On-demand Tunnel Creation) 메커니즘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방안에 대하여 성능을 조사하였고, 이와 함께 기존의 Star VPN 구조, Full-mesh VPN 구조와 성능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방안이 기존의 Star VPN 구조보다 확장성과 트래픽 전송효율성, Center VPN GW의 오버헤드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Full-mesh 구조의 VPN과 거의 비슷한 종단간 지연시간과 처리율을 보였다.

  • PDF

동적 VPN 사이트 구성을 이용한 Provider Provisioned 기반 모바일 VPN (Provider Provisioned based Mobile VPN using Dynamic VPN Site Configuration)

  • 변해선;이미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1호
    • /
    • pp.1-15
    • /
    • 2007
  • 모바일 기기의 다양화와 무선 기술의 발전으로 모바일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 및 관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VPN 사용자가 서로 다른 사이트에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PE(Provider Edge) 기반 PP(Provider Provisioned) 모바일 VPN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모바일 VPN 사용자의 IPSec 터널 오버헤드를 최소화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VPN 사용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추가적인 IPSec 터널 오버헤드를 발생하지 않고 모바일 VPN 사용자 및 정적 VPN 사용자 간 최적화된 경로로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한 구조 및 프로토콜은 RFC2547에 제시된 'BGP/MPLS VPN'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제안하는 방안에서는 모바일 VPN 사용자가 외부네트워크로 이동했을 때, BGP/MPLS VPN 서비스를 모바일 VPN 사용자까지 확대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 측에 PNS(PPVPN Network Server)를 새로이 정의하였다. 제안하는 방안은 사용자 기반 모바일 VPN 및 CE 기반 모바일 VPN과 비교하여 IPSec 터널 관련한 오버헤드가 더 적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CE 기반 모바일 VPN 방안에 비하여 종단간 패킷 지연에 있어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성형 VPN 구조에서의 주문형 터널 생성 메커니즘 (On-Demand Tunnel Creation Mechanism in Star VPN Topology)

  • 변해선;이미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2권4호
    • /
    • pp.452-461
    • /
    • 2005
  • 성형(Star) VPN(Virtual Private Network) 구조에서는 통신하는 두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VPN GW(Gateway) 간 발생하는 트래픽이 항상 Center VPN GW를 거쳐서 전송되므로 비효율적인 트래픽 전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Center VPN GW에서의 패킷 프로세싱으로 인한 과부하도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방안으로 IPSec(IP Security)의 IKE(Internet Key Exchange)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두 CPE VPN GW 간 직접터널을 설립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터널 설립 및 관리가 복잡하고 오버헤드가 크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통신하는 CPE VPN SW 간에 자동적으로 직접터널을 설립할 수 있게 하는 SVOT(Star VPN On-demand Tunnel) 방안을 제안한다. SVOT 방안에서는 CPE YPN GW가 트래픽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직접터널을 설립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CPE VPN GW는 Center VPN GW로부터 터널 설립에 필요한 제반정보들을 제공받아 상대 CPE VPN GW와 직접터널을 설립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방안에 대하여 성능을 조사하였고, 이와 함께 기본적으로 Center VPN GW를 통하여 모든 트래픽이 전송되는 성형 VPN 구조, 모든 CPE VPN GW간 풀-메시(Full-mesh)로 터널 연결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풀-rll시 VPN 구조와 성능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SVOT 방안이 기본적인 성형 VPN 구조에 비해 확장성과 트래픽 전송효율성, Center VPN GW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면서 종단간 지연 및 처리율에 있어서는 풀-메시 VPN 구조와 거의 비슷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동 MPLS VPN에서의 QoS 지원 방안 (QoS Support Mechanisms in Mobile MPLS VPN)

  • 이영석;양해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5-73
    • /
    • 2006
  •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PE(Provider Edge router) 기반 MPLS VPN으로도 불리우며, 고수익을 원하는 사업자와 저비용을 요구하는 고객 모두에게 인트라넷(Intranet)과 익스트라넷(Extranet)을 위한 해결 방안으로서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GP-E(BGP multiprotocol Extension)를 이용한 PE 기반 MPLS VPN을 대상으로, VPN 사이트 내에 속한 단말이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더라도 계속 VPN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MPLS VPN 구성 방안과 QoS를 지 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MPLS VPN 서비스와 Mobile IP에 의한 이동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백본 네트워크 내의 PE(Provider Edge) 라우터 상에 설계한다. VPN 사이트 내에 속하는 어떤 노드가 기존의 통신을 유지한 상태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할 때, 이동 노드와 통신하고자 하는 대응 노드가 속한 VPN 사이트와 연결된 PE 라우터는 이동을 통보 받고 단말이 이동한 곳으로 새로운 MPLS 경로를 설정한다. PE 라우터 에 Mobile IP 프로토콜과 연동하는 VPN 관리 방식 및 라우터 제어 기능의 성능 분석을 위해 COVER 도구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SW의 시험사례분석 (VPN (Virtual Private Network) SW's examination example analysis)

  • 김경묵;양해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012-3020
    • /
    • 2010
  • VPN은 원격지에서의 접속에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의 이동 사용자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오늘날 기업의 기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VPN이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PN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반 기술을 조사하고 VPN 소프트웨어 시장 동향 및 표준을 조사하며 VPN 소프트웨어의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VPN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시장 동향 및 표준을 조사/분석하며 이를 기반으로 VPN 소프트웨어에 평가항목의 도출과 평가모델을 개발한다.

Hose 기반 VPN에서의 서비스품질 제공을 위한 자원예약 프로토콜과 패킷 스케줄링 기법 (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and Packet Scheduling for Qos Provisioning in Hose-based VPNs)

  • 변해선;우현제;김경민;이미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3호
    • /
    • pp.247-256
    • /
    • 2006
  • 호스(Hose) 모델 기반 VPN(Virtual Private Network) QoS(Quality of Service)를 지원하기 위한 자원준비(Provisioning) 메커니즘들 가운데, VPN 차원 상태 정보(VPN-specific state) 자원준비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높은 다중화(Multiplexing) 이점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VPN 차원 상태 정보 자원준비를 위한 적합한 자원예약 프로토콜이 없기 때문에 VPN 차원 상태 정보 자원준비를 위한 동적 자동 자원예약이 어렵다. 또한, VPN 차원 상태 정보 자원준비에 의해 예약된 자원은 LAN에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들이 LAN 대역폭을 공유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한 VPN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공유하기 때문에 동일한 VPN에 속하는 사용자 간에 불공정한 자원 사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VPN 차원 상태 정보 자원준비에 따라 동적 자동 자원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예약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혼잡 발생 시에 동일한 VPN에 속하는 사용자 간에 예약된 자원을 공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래픽 서비스 메커니즘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