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LC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8초

전력선 전송 동기신호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용 가시광통신시스템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for Sensor Networks Using Synchronizing Pulse Transmission Through the Power Lines)

  • 이성호
    • 센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2-218
    • /
    • 2013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method to reduce the inter-channel crosstalk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systems using the synchronizing pulses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lines. Synchronizing pulses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multiple VLC transmitters and receivers through the 220V power line. Each VLC transmitter modulates an LED and each VLC receiver demodulates the signal light in the time slot that is allocated with reference to the synchronizing pulses. This method is very simple and effective to prevent the inter-channel crosstalk in VLC systems for sensor networks because every VLC system can easily get the synchronizing pulses from the nearby power line.

전치왜곡을 이용한 OFDM 가시광통신 시스템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OFDM-Based VLC System by Using Predistortion)

  • 이대천;최경묵;박영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A호
    • /
    • pp.587-591
    • /
    • 2011
  • OFDM 변조 방식을 VLC에 사용하는데 있어서 LED의 비선형성은 성능의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전치왜곡을 적용함으로써 LED 출력의 선형성을 보장한다면 큰 변조신호를 LED에 가할 수 었으며, 결과적으로 VLC의 성능을 향상시킬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LED의 비선형성을 주기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전치왜곡 함수를 찾고, 또 이를 적용하여 QAM 기반 OFDM 전송시험을 한 결과를 설명한다.

Priority MAC based on Multi-parameters for IEEE 802.15.7 VLC in Non-saturation Environments

  • Huynh, Vu Van;Le, Le Nam-Tuan;Jang, Yeong-Mi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3C호
    • /
    • pp.224-232
    • /
    • 2012
  • Priority MAC is an important issue in every communication system when we consider differentiated service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chanism to support priority MAC based on multi-parameters for IEEE 802.15.7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By using three parameters such as number of backoff times (NB), backoff exponent (BE) and contention window (CW), we provide priority for multi-level differentiated service applications. We consider beacon-enabled VLC personal area network (VPAN) mode with slotted version for random access algorithm in this paper. Based on a discrete-time Markov chain,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echanism under non-saturation environments. By building a Markov chain model for multi-parameters, this paper presents the throughput and transmission delay time for VLC system. Numerical results show that we can apply three parameters to control the priority for VLC MAC protocol.

Time-divis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LED Lamp Light

  • Lee, Seong-Ho
    • 센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45-150
    • /
    • 2015
  • We introduce a new method of time-divis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using LED lamp light for the generation of synchronizing pulses. The LED lamp, driven by an AC 220-V power line, radiates light that has a 120-Hz frequency component. The pulse generator in each VLC system receives the LED lamp light and generates the synchronizing pulses that are required for time-division transmission of multiple VLC channels. The pulse period is subdivided into several time slots for VLC channels. In experiments, 120-Hz synchronizing pulses were generated using LED lamp light, and three VLC channels were transmitted independently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n a condition where the VLC signals overlapped in space. This configuration is useful in constructing multiple wireless sensor networks that are safe and without interference in locations where LED lamps are used for illumin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Employing Optical Beamforming: A Review

  • Kim, Sung-Ma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4호
    • /
    • pp.308-314
    • /
    • 2018
  •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is considered a strong future candidate for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its performance seems to be relatively unsatisfactory when compared to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ommunication using millimeter wav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VLC, numer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so far, in both electrical and optical domains. Among the proposals, optical beamforming (OB) is an optical-domain technology that can concentrate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or on a target spot. It can significantly improve VLC performance and can be widely used, because it does not depend on electrical modulation schemes. Therefore, this review discusses the concept, principle, and types of OB, the structure of a VLC system using OB, performance results of OB, and the combination of OB with electrical signal modulation in VLC. OB is expected to be one of the key techniques in future VLC implementations, similar to radio-frequency beamforming i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Performance Analysis of Spatial Multiplexing in MIMO Ba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 Mondal, Ratan Kumar;Saha, Nirzhar;Jang, Yeong Mi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9호
    • /
    • pp.797-801
    • /
    • 2013
  •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is a rapidly growing area of research and applications, due to the potential and predicted high efficiency of bandwidth. One of the key challenges in VLC technology is the choice of devices which are going to be deployed VLC features. Smartphone rationally uses the most widely deployed visible light sensor i.e. image sensor in camera, which could be used to receive the intensity modulated data. Image sensor based VLC system would be the most deployable scenario but initially the capacity was not much attractive compared with photodetector based VLC system. Here, the spatial multiplexing is proposed in MIMO based VLC system to increase the system capacity by utilizing the property of spatial separation of optical light sources in smartphone's camera module. The active pixels of imaging plane act as the multiple receivers which could be able to use on MIMO spatial multiplexing to enhance the system performance.

SR-ARQ를 적용한 VLC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VLC System applying SR-ARQ)

  • 최병곤;이민정;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27-134
    • /
    • 2015
  • 가시광 무선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은 발광다이오드(LED)가 방출하는 가시광 파장을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로써 짧은 시간에 전기에서 빛으로 바꾸는 LED의 깜박임(ON/OFF)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최근 LED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시광 무선통신 또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특히 벽을 통과하지 못하는 가시광 특성을 고려한 실내 통신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환경의 SISO 가시광 무선통신 시스템에 오류제어 기법인 SR-ARQ를 적용하여 통신 환경을 구축하였고, 4가지의 수신지점 및 NRZ-OOK와 VPPM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지점 및 변조 방식에 따른 BER, 전송횟수, Throughput을 통해 통신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MIMO-VLC에서 디밍제어에 따른 변조방식들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Modulation Schemes according to the Dimming Control in MIMO-VLC System)

  • 이민정;이병진;주상임;김용원;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3-69
    • /
    • 2014
  • 가시광 무선통신은 LED의 깜박임(ON/OFF)을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인간의 시신경 인식의 한계로 조명의 기능도 유지된다. VLC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LED의 밝기 조절은 에너지 절약과 생활 혜택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VLC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MIMO 기술은 안테나 수에 비례하는 채널 용량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VLC 시스템의 MIMO 방식 중 하나인 RC방식으로, 4개의 변조 방법인 RZ-OOK, VPPM, MPPM, OPPM을 사용하여 디밍에 따른 통신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해 시뮬레이션 한 결과, 4개의 변조들 중 power requirement 측면에서는 MPPM 변조가, spectral efficiency와 bandwidth requirement 측면에서는 OPPM 변조가 성능이 좋음을 확인하였고, 디밍에 따라서 각 변조들의 통신 성능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LED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2-step 인터리빙을 통한 BER 성능 향상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ER using the 2-step interleaving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ith LEDs)

  • 이종현;서효덕;한두희;이계산;이규진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6-53
    • /
    • 2015
  •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은 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하여 조명의 역할과 통신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VLC는 통신 가능 영역인 Field Of View (FOV)를 가져 높은 보안성을 가지고, 가시광을 이용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VLC 시스템에서 RGB 채널에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법은, RGB 채널에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비해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고 있으나, 가시광의 산란 및 반사로 인한 데이터의 burst 에러가 발생할 시 복원이 불가능하여 BER 성능의 열화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LC에서 빠른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면서 BER 성능 향상을 만족하는 2-step 인터리빙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의 Cyclic 인터리빙과 convolutional 인터리빙을 통해 RGB 채널의 성능 평준화 및 데이터 에러율의 감소로 전체 시스템의 BER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다.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위한 에너지 센싱 기법을 이용한 신호 검출 확률의 성능 (Performance of Detection Probability based on Energy Sensing Schemes for VLC Systems)

  • 박인환;김윤현;김진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0B호
    • /
    • pp.1233-1239
    • /
    • 2011
  • 가시광통신 융합기술은 통신 및 조명 환경 변화에 부응한 기술로서, LED 조명의 역할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제 막 탄생한 기술인만큼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많은데 사용자와 수신기사이의 효율적인 검출이 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용자와 가시광통신 송신기 사이의 효과적인 신호 검출을 위한 센싱 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분석 및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가시광통신 사용자의 신호는 OFDM 기반의 시스템을 가정하였으며 사용자와 가시광통신 송신기 사이의 무선 채널은 실내 가시광통신 채널로 모델링 하였다. 에너지 검출법을 위한 임계값은 각 채널의 SNR (signal to noise ratio)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었으며, 각 채널의 잡음신호의 평균값으로 가정하였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가시광통신시스템에서의 신호 센싱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