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LY CORRECTED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시각장애인의 실명시기에 따른 던지기 동작의 운동학적 특성 (A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rowing Performance on Period When Blind's became Sightless)

  • 최정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5-139
    • /
    • 2008
  • 본 연구는 선천적 시각장애인과 후천적 시각장애인 그리고 정안 인을 대상으로 운동학적 특징을 비교 분석해보아, 시각장애인들의 운동지도와 운동능력의 향상 그리고 부상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비디오카메라는 3대를 사용하여 촬영속도는 60field/sec로 하였으며 가장 멀리 던진 자세를 선택하여 Kwon 3D ver. 3.1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1. 릴리스 시의 공의 속도는 정안 인이 가장 빠르고 후천 맹, 선천 맹의 순서로 나타났다. 2. 정안 인은 손목관절을 잘 이용하고 몸의 회전범위가 크며 서로 비슷한 동작 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선천 맹 은 전혀 그렇지 못했다. 3. 정안 인은 제2국면(P2)에서 허리가 어깨를 리드하며 공을 던지고 있으나, 선천 맹 과 후천 맹의 일부는 허리가 어깨를 리드하지 못했다. 4.정안 인들은 공이 날아 갈 방향을 쳐다보며 공을 던지나, 시각장애인들은 공이 날아 갈 방향을 쳐다보지 못했다. 5. 정안 인이 비교적 비슷한 패턴을 보이며 던지는데 비해, 후천 맹은 정안 인과 일부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고, 선천 맹 은 각기 전혀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다. 6. 정안 인의 체중이동이 잘되고 있는데 비해, 후천 맹 은 정안 인보다 좋지 못하고 선천 맹은 체중이동이 안 되고 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실명 시기가 던지기 동작에 많은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각장애인 유도로봇의 경로 결정 알고리즘 (Path Determination Algorithm of Guidance Robot for the Visually Impaired)

  • 장태진;신동범;이응혁;홍승홍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A
    • /
    • pp.259-262
    • /
    • 2003
  •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ath determination algorithm of the guidance robot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the guidance robot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visually impaired can go to the destination where they want without other's heir. The navigation path of the guidance robot for the visually impaired must be the optimal path not only the shortest but also the most safe, which is different from a shortest path for common people. GPS and electronic map are use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We corrected the error by converting the coordinates of location information from GPS, which includes maximum several tens of meters error, to the coordinates of electronic map. Information such as simple path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is not enough because it may be different between a going path from the start to the destination and a coming path from the destination to the start as around environment. So, we added information which can be dangerous for the visually impaired such as driveway, sidewalk without braille blocks, crosswalk, stairs and overpass, each has weight value as dangerous degree, when matching the GPS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map, enough large as 1:5,000 scale.

  • PDF

Pose-graph optimized displacement estimation for structural displacement monitoring

  • Lee, Donghwa;Jeon, Haemin;Myung, Hyu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4권5호
    • /
    • pp.943-960
    • /
    • 2014
  • A visually servoed paired structured light system (ViSP) was recently proposed as a novel estimation method of the 6-DOF (Degree-Of-Freedom) relative displacement in civil structures. In order to apply the ViSP to massive structures, multiple ViSP modules should be installed in a cascaded manner. In this configuration, the estimation errors are propagated through the ViSP modules.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a displacement estimation error back-propagation (DEEP) method was proposed. However, the DEEP method has some disadvantages: the displacement range of each ViSP module must be constrained and displacement errors are corrected sequentially, and thus the entire estimation errors are not considered concurrently. To address this problem, a pose-graph optimized displacement estimation (PODE) method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ODE method is based on a graph-based optimization technique that considers entire errors at the same time. Moreover, this method does not require any constraints on the movement of the ViSP modules. Simulations and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ODE method reduces the propagation errors in comparison with a previous work.

국산 침엽수구조재의 허용응력설정에 관하여 - 1종 구조재를 중심으로 - (Assignment of the Allowable Design Values for Domestic Softwood Structural Lumber - Structural I-grade -)

  • 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11-1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summary of assignment design values according to domestic softwood structural lumber grading rules. Allowable stresses for visually graded lumber were determined from basic data on small. clear specimens. The data corrected for variability such as natural defects and other factors. The procedure adopted by Japan was used for assigning allowable design values. Strength ratios in relation to each defect were taken from ASTM D 245-81. Korean pine(Pinus koraiensis S. et Z.),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S. et Z.), 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Gordon) and Needle fir(Abies holophylla Max) were applied to this study. The calculated allowable stresses were same in Korean pine and Korean red pine. These values were highest in Japanese larch lowest in Needle fir. So, it is desirable for these species to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agories Species Group. However, accurate comparison in design values on lumber grading rules among U.S., Japan and Korea was somewhat difficult. And full scale testing will be necessary for accurate determination of the correction factors to setting up design values.

  • PDF

경계 영역에서의 색번짐 현상을 줄이기 위한 향상된 벡터 오차 확산법 (Improved Vector Error Diffusion for Reduction of Smear Artifact in the Boundary Regions)

  • 이순창;조양호;김윤태;이철희;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3호
    • /
    • pp.111-12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경계 영역에서의 색번짐 현상을 줄이기 위한 벡터 오차 확산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결점은 양자화 과정에서 생기는 큰 누적된 양자화 오차의 확산으로 인해서 발성하게 되며, 특히 색이 변하게 되는 영상의 경계 영역에서 특정 칼라띠를 형성하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점을 줄이기 위해서 세안한 벡터 오차 확산 방법은 오차를 확산 받은 벡터와 8개의 기준색과의 벡터 크기 및 벡터 각을 비교함으로써, 큰 양자화 오차를 전체 중간조 처리 과정에서 제외한다. 먼저 오차가 보정된 벡터의 크기가 8개의 기준색보다 클 경우 양자화 오차를 확산시키지 않게 되며, 벡터 각이 클 경우에도 양자화 오차를 확산 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안한 방법은 각 채널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벡터 칼라 공간상에서 중간조 처리를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색이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경계 부분에서의 색번짐 현상도 줄일 수 있었다.

수직동향프리즘의 자각적 시감각에 관한 연구 (Subjective Visuoperception to Vertical Yoked Prisms)

  • 김재도;김대현;이익한;김봉환;김영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5-99
    • /
    • 2008
  • 목적: 굴절교정 안경 착용 시 안경 착용자가 교정시력에는 만족할지라도 어지럼증상과 같은 위화감으로 안경착용에 불편함을 호소한다. 이는 안경 교정 굴절력에 의한 프리즘영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평소 어지럼을 느끼지 않는 피검자를 대상으로 수직동향프리즘에 대한 자각증상을 조사하였다. 방법: 시각적으로 정상인 나이 20세에서 31세인 37명의 학생으로 실시하였다. 소프트콘택트렌즈로 굴절이상을 교정한 상태에서 수직동향프리즘, Base Down과 Base Up의 단프리즘렌즈로 조제가공 된 가공안경을 각각 착용한 상태로 걸어 보게 하여 자각적인 위화감에 대한 느낌의 정도를 나타내게 하였다. 결과: 프리즘에 대한 자각적 위화감에 대한 반응 정도는 Base Up 동향프리즘이 Base Down 동향프리즘 보다 유의적 수준에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직 Base Up에 의해 위화감을 느끼는 대상자의 빈도는 외사위 보다 내사위가 더 높게 나타나서 외사위 대상자 보다 내사위의 대상자가 보다 Base Up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결론: 안경에 의한 어지럼과 같은 위화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프리즘의 효과를 최소화해야 하며 프리즘이 부득이 부가될 경우는 Base Up 보다는 Base Down의 동향프리즘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자동기하보정 (Automated Geometric Correction of Geostationary Weather Satellite Images)

  • 김현숙;이태윤;허동석;이수암;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7-309
    • /
    • 2007
  • 2008년 12월 우리나라 최초의 통신해양기상위성이 발사될 예정이다.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지상국은 위성영상 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사용자에게 기하보정된 영상을 공급해야 한다. 이때 지상국에 요구되는 처리시간은 30분 내외이며, 전체 처리시간의 준수를 위해 자동기하보정의 기술개발과 기하보정시 수행시간의 효율성이 중요하다. 자동기하보정은 위성의 영상좌표계와 지구좌표계상의 수학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센서모델을 자동으로 수립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센서모델 수립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점은 위성영상과 랜드마크 칩간의 정합결과를 통해서 자동으로 결정되어다. 실험에 사용한 위성영상은 GOES-9영상이며 실험을 위해 전세계 해안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랜드마크 칩을 211개 생성하였다. 위성영상에 존재하는 구름은 위성영상과 랜드마크 칩간의 정합시 오정합을 유발하므로 GOES-9영상의 채널1과 채널2영상에서 구름검출을 수행하여 구름이 아닌 지역에 대해서만 정합을 수행하였으며 가시영상인 채널1영상에서 밤시간이 아닌 지역에 대해서만 정합이 수행될 수 있도록 밤낮을 구분하여 처리하였다. 이때 정합결과는 오정합(Outlier)이 포함되어 있어 강인추정기법 중 하나인 RANSAC을 사용하여 이를 제거하였다. 강인추정기법으로 오정합이 제거된 정합결과를 기준점으로 사용하여 센서모델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모델의 정확도는 채널1영상의 해상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1{\sim}2$ 픽셀의 에러가 나타났고 기하보정된 영상에 해안선을 투영하여 센서모델의 정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이때 위성영상의 해안선과 투영된 해안선이 일치함으로써 기하보정이 잘 이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결과 정합된 RANSAC, 센서모델 수립 및 자동기하 보정의 전체 처리시간은 약 4분여가 소요되었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된 자동기하보정방법은 기하보정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또한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전처리요구시간에도 만족함을 보여주고 있다.

영상 분석장치를 이용한 골 흑화도의 정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QUANTITATIVE STUDY OF BONE DENSITY ON RADIOGRAM BY USING IMAGE ANALYZER)

  • 최원재;김재덕
    • 치과방사선
    • /
    • 제25권2호
    • /
    • pp.521-533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method to detect Quantitatively the serial changes in the size of artificial lesion in the spongious bone by automatic color image analyzer. 15 intraoral radiograms taken before and after endodontic treatment of 5 cases were used for contour line analysis. 30 intraoral radiograms taken by geometrically standardized apparatus before and after serially the formation of artificial lesions of 0.80, 1.20, 1.75, 2.00mm in diameter at the periapical area and interdental area of spongious bone were used. The analysis of image according to the variance of lesion size by 0.25, 0.35, 0.55, and 0.85mm serially was performed by the histogram and the color enhancement with subtraction. The images inputted by CCDcamera were digitized and analyzed by NEXUS QUBE program with NEC PC-9801 computer.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reliability in the analysis of lesions by contour line 2 .. The mean difference of the grey scale at each pixel was 1 step between reference image and the corrected images. 3. In the analysis by histogram of the artificial lesion in spongeous bone, the change over 0.55mm in the mesiodistal size was detectable by the change of the numbers of pixel showing the change in grey scale. 4. In the analysis by histogram of the artificial lesion in spongeous bone, the change over 0.25mm in the buccolingual size was detectable by the change in grey scale. 5. By color enbancement with- subtraction, each lesion was able to be isolated and the change in it's mesiodistal size was detectable visually , but not in it's buccolingual size.

  • PDF

지하정보 정밀탐사를 위한 GPR 데이터 위치정확도 개선 방안 (Method to Improve the Location Accuracy of GPR Data for Underground Information Precise Detecting)

  • 류지송;장용구;박동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40
    • /
    • 2021
  • 지하정보는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워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재정을 통해 지하매설물의 노후화 또는 파손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이고자 한다. GPR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지하공간의 정보를 습득하는 기술로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GPR의 위치정보는 탐사 중 습득된 GPS 정보와 영상을 확인하여 보정한다. 이 방식은 평균 오차가 2m 정도 발생한다. 따라서 평면오차를 감소시킬 방안으로 LiDAR를 통한 보정법을 제시했다. 또한 제시된 방법을 활용하여 GPR정보를 보정하였다. 그 결과 오차가 최소 7cm에서 최대 40cm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향후 수집된 정확도 높은 GPR 정보를 AI 등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분석한다면 현재보다 더 빠르게 지하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컨테이너 BIC-code 인식을 위한 Transformer Network (Transformer Network for Container's BIC-code Recognition)

  • 권희주;강현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9-26
    • /
    • 2022
  • 본 논문은 컨테이너의 BIC-code를 인식하기 위한 전처리(pre-processing)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BIC-code가 포함된 관심 영역을 찾고 이 관심 영역을 광학 문자 인식에 용이하도록 워핑하기 위한 호모그래피 행렬을 추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의 구조는 STN(Spatial Transformer Networks)의 구조를 차용하였으며, 관심 영역 검출, 호모그래피 변환을 위한 행렬 추정, 행렬을 이용한 워핑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과 행렬을 동시에 추정하고, 추정된 행렬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의 원근 왜곡을 바로 잡음으로써 BIC-code의 인식 정확도 향상에 기여한다. 성능 평가를 위하여 총 5인의 평가원이 출력 영상을 5점 만점으로 평가한 결과 평균 4.25점을 받았으며, 육안으로 확인했을 시 총 312장의 사진 중 224장의 사진이 완벽하게 보정됨과 동시에 관심 영역을 출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