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P mode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VERP 모델을 이용한 한라산국립공원 수용력 지표관리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Carrying Capacity Indicators Management Program based on VERP model in Hallasan National Park)

  • 권헌교;신원섭;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08-516
    • /
    • 2010
  •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후 한라산국립공원 탐방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적정 이용 수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의 적정 수용력 관리에 필요한 영향지표 및 평가기준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수용력 지표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8개의 영향지표(계곡수질, 탐방객 수, 탐방로 훼손정도, 혼잡 등)를 선정하였으며, 각 영향지표별 현지 조사를 통해 실험적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VERP 모델을 이용한 수용력 지표관리프로그램은 자원 및 탐방행태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과 국립공원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통합 데이터 관리 및 활용으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업무수행을 지원한다.

생태관광지역 자연자원 관리를 위한 수용력 기반 관리모델 개선방향 : Getz, LAC, VIM, VERP 관리모델을 중심으로 (Direction for Improving Management Model based on Carrying Capacity for Managing natural resources in ecotourism area : Focused on Getz, LAC, VIM and VERP)

  • 박홍철;오충현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4호
    • /
    • pp.107-133
    • /
    • 2014
  • 생태관광은 이용과 보전 사이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상지에 대한 수용력 파악과 적절한 탐방객 수 조절 등의 과학적인 관리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Getz, LAC, VIM, VERP 관리모델은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국내에서도 도입 및 적용하기 위해 연구되었던 수용력 기반의 관리모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생태관광 특성 및 현황, 목적에 적합한 관리모델로의 수정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관리모델을 비교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크게 3가지 개선항목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수용력과 관리목표의 상호의존적 연계 시스템 개선이며, 둘째는 관광기회분포모형의 개선이다. 셋째는 단계적 관리체계의 개선이다. 이를 통해 최소의 노력과 비용으로 생태관광지역의 탐방객 영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