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ILATION CORRIDOR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소규모 복도-더그매 예열 음압환기방식 무창자돈사의 최적 환기 요건에 관한 연구 (Necessary Conditions for Optimal Ventilation of Small Negative Pressure Ventilating Piglet House with Corridor and Attic for Preheating)

  • 이승주;장동일;황선호;;장홍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6호
    • /
    • pp.434-442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necessary conditions for optimal ventilation of small windowless piglet house (4.0 (W) $\times$ 11.0 (L) $\times$ 2.6(H) m) with corridor and attic for preheating using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The experimental weaning piglet house was consisted of a corridor, an attic, 4 rooms (3.0 (W) $\times$ 2.75(L) m), 3 fences (0.7(H) m), 5 air inlets and 2 exhaust fans (0.4 (D) m) and simulated using CFD code, FLUENT. The simulation results for the experimental weaning piglet house showed that each room was uniformly ventilated under al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air velocities at 0.1 m above floor are less than 0.15 m/s for 0.75 m/s and 1.0 m/s of air inlet velocity but 0.61 m/s for 1.25 m/s. The simulation results are similar to the measured results. Considering the air flow pattern, ventilating efficiency, air velocity at 0.1 m above floor and cold stress of weaning piglets and so on, the optimum velocity of air inlet might be 1.0 m/s.

바람길숲의 유형별 분석 방안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Analysis Schemes of Wind Ventilation Forest Types -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

  • 엄정희;오정학;손정민;김권;백준범;이채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2-23
    • /
    • 2019
  • 본 연구는 바람길숲의 유형별 분석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도시 바람길숲을 바람 생성숲, 디딤·확산숲, 연결숲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에 따른 등급화 기준을 바탕으로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바람 생성숲은 임상도의 밀도를 기준으로, 디딤·확산숲은 식생활력도를 기준으로, 연결숲은 바람통로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각각 세 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대구광역시(883.56㎢)를 사례로 바람길숲을 분석한 결과, 바람 생성숲의 면적은 443.1㎢로 분류되었으며, 대구광역시의 북구 및 남쪽 일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그 중, 1등급 바람 생성숲이 가장 많은 면적(345.59㎢)을 차지하였고, 달성군에서 가장 높은 비율(54.44%)을 나타냈다. 반면 중구는 외곽의 산림지역과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생성숲이 존재하지 않았다. 디딤·확산숲의 면적은 32.4㎢로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도시공원 들이 포함되었으며, 수성구 및 달성군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디딤·확산숲이 분포하였다. 하지만 디딤·확산숲은 대구시 전역에 분산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식생지수가 높지 않았다. 연결숲 조성이 가능한 바람통로 네트워크는 대구광역시의 주요 하천, 도로 주변이 포함되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가 외곽 산림에서 도시공원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대구광역시는 도시 외곽의 바람 생성숲과 도시 내부의 디딤·확산숲을 연결하는 연결숲 조성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체계적인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국가 및 지자체 단위에서 바람길숲 분석에 대한 가이드라인 작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거칠기길이를 이용한 바람통로 네트워크 구축 (Building Wind Corridor Network Using Roughness Length)

  • 안승만;이규석;이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01-113
    • /
    • 2015
  • 본 연구는 바람통로의 세밀도와 편이성을 향상시켜 도시 녹지계획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체역학적 거칠기 특성을 나타내는 거칠기길이($z_0$)로부터 바람통로 네트워크 추출기법을 제안하였다. 지적필지 단위로 산출된 $z_0$에 IDW, Spline, Kriging 내삽기법을 적용해 표면이 연속적인 수치거칠기길이모델(DZoM)을 생성한 후 수계망 추출 기법을 적용해 바람통로 네트워크를 산출하였다. 내삽기법 적용 결과들을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내삽 기법을 정하고 산출된 바람통로와 토지피복 및 지표온도의 공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DZoM 산출기법 중 Kriging 기법의 적용성이 IDW 및 Spline 기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riging 기법을 이용하여 선형 추출한 바람통로 네트워크(Type B)와 Landsat-7 ETM+에서 산출한 여름철과 겨울철 야간 지표온도 분포를 비교한 결과는 공간적 일치도가 높았다. 주목할 부분으로 산출된 바람통로의 흐름이 도시의 야간 열 부하들을 완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추출된 바람통로 네트워크 사상들(features)에 대한 엄밀한 평가와 개선이 수행된다면 녹지계획 실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1) 거칠기길이 개선, (2) 녹지계획 목적에 맞는 바람통로의 해석 및 편집, (3) 분절된 바람통로 네트워크 연결, (4) 관련 자료의 상세한 구축 및 무결성 확보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제안된 바람통로 네트워크의 녹지계획 적용을 위해 향후 연구범위를 수도권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미세먼지 농도의 공간적 현황 및 잠재영향인자를 고려한 환경계획적 대응 방향 (Environmental Planning Contermeasures Considering Spatial Distribution and Potential Factors of Particulate Matters Concentration)

  • 성선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96
    • /
    • 2020
  • Adverse impact of Particulate Matters(PM10, PM2.5; PMs) significantly affects daily lives. Major countermeasures for reducing concentration of PMs were focused on emission source without considering spatial difference of PMs concentration. Thus, this study analyzed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PMs with observation data as well as potential contributing factors on PMs concentration.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PMs have been decreased while the particulate matter warnings and aler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18.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s in spring and winter was higher than the other seasons. Al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Ms were also showed seasonality while concentration of PMs were higher in Seoul-metropolitan areas in all seasons. Climate variables, emission source, spatial structure and potential PM sinks were selected major factors which could affects on ambient concentrations of PMs. This paper suggest that countermeasures for mitigating PM concentration should consider characteristics of area. Climatic variables(temperature, pressure, wind speed etc.) affects concentrations of PMs. The effects of spatial structure of cities(terrain, ventilation corridor) and biological sinks(green infrastructure, urban forests) on concentration of PMs should be analyzed in further studies. Also, seasonality of PMs concentr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establishing effective countermeasures to reduce ambient PMs concentration.

바람길 활용을 위한 정맥의 찬공기 관리 방안 - 낙남정맥을 사례로 - (Management Strategies of Local Cold Air in Jeongmaek for utilizing urban Ventilation Corridor - A Case Study of the Nak-nam Jeongmaek -)

  • 엄정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4-167
    • /
    • 2019
  • 기후변화에 따른 각종 환경문제가 발생하는 가운데, 도시에서는 폭염, 열대야와 같은 도시 열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은 찬공기 생성에 유리한 산림지역이 국토면적의 약 63%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산줄기인 정맥은 도시지역과 밀접하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찬공기를 활용하는 것은 도시 열환경 완화에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남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 위치한 도시들의 바람길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맥의 찬공기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낙남정맥의 찬공기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낙남정맥에 위치한 진주시와 산청군을 대상으로 상세분석을 수행하여,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인근 도시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지역에서 찬공기를 활용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활용하였으며,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뚜렷해지고, 찬공기층의 높이는 증가하였다. 찬공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흐름을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산림지역 일대를 '찬공기 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원활한 찬공기 흐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찬공기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남정맥에 위치한 도시지역의 쾌적한 열환경 조성을 위한 바람길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stimating Door Open Time Distributions for Occupants Escaping from Apartments

  • Hopkin, Charlie;Spearpoint, Michael;Hopkin, Danny;Wang, Yong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73-83
    • /
    • 2021
  • The door open time, resulting from occupants evacuating from apartments, is an important parameter when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smoke ventilation systems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However, the values recommended in UK design guidance appear to have limited substantiation. Monte Carlo simulations have been carried out considering variabilities in door swing time, flow rate and number of occupan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door open time can be represented by a lognormal distribution with a mean of 6.6, 8.7 and 11.1 s and a standard deviation of 1.7, 3.2 and 4.7 s for one, two and three-bedroom apartments, respectively. For deterministic analyses, it is proposed that the 95th percentile values may be adopted in line with recommended practice for other fire safety design parameters such as fuel load density and soot yield, giving door open times of 10 s to 19 s, depending on the number of bedrooms.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취약지역 선정 및 바람길 조성 방안: 창원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Wind Corridor Construction forImproving Urban Thermal Environment: A Case study of Changwon, South Korea)

  • 김종성;강정은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4호
    • /
    • pp.187-202
    • /
    • 2021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열환경 개선을 위해 열환경, 찬공기의 생성·유동성 및 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 맞춤형 바람길 조성 방안을 검토하였다. 공간분석(spatial analysis), 원격탐사(remote sensing) 기법을 활용하여 창원시의 지표면온도, 토지피복 및 토지이용, 바람장, 경사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바람길 분석모형을 구성하였다. 2020년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창원시는 전반적으로 찬공기 생성에 유리한 토지피복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도심지 지역의 기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북창원 생활권, 진북면, 웅동, 웅천동 등 지역의 기온이 비교적 높으며, 산지지역에서 평균 풍속이 높고, 시가지에서 평균 풍속이 낮은 전형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북창원 생활권, 구 창원 도심지, 호계리·평성리 지역, 창포만 지역을 열환경 개선지역으로 도출하고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 내 찬공기 유입 및 주변 산지, 저수지, 공원 지역 등과의 바람 유동성 확보를 통해 기온저감 및 대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지하 노래방 화재 시 배연차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 Exhaust Engine in Basement Karaoke Fires)

  • 이성룡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4호
    • /
    • pp.277-2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에서 화재 발생 시 배연장비의 연기배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연장비로는 일선 관서에서 사용 중인 배연차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재개발 예정 지하 노래방에서 수행되었다. 배연차의 가동에 따라 실내 온도분포 및 연기농도를 측정하였다. 배연차를 가동함으로 인하여 복도에서 온도가 $50^{\circ}C$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가시도 또한 향상되었다.

아동보호시설의 거주실태 및 개선방향을 위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 and Improvements of Children Shelters)

  • 유수훈
    • 교육시설
    • /
    • 제14권1호
    • /
    • pp.23-3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of facilities improvement and plan at children shelters. To this purpose, the researcher visited and interviewed users of three children shelters. To achieve a concrete goal of the study, (1) property room size per admitted children, (2) space satisfaction as bedroom, living room in a establishment, (3) facilities satisfaction as corridor, sanitation fixture. furniture (4) environment satisfaction as electricity, cooling and heating, ventilation, (5) exterior satisfaction as building image, color, landscape was analysed by interview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improvement for children shelters was presented.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SANAA 작품의 비위계적 공간구성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hierachical Arrangement of SANAA's Work by Space Syntax)

  • 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735-744
    • /
    • 2016
  • 본 논문은 알미르 슈타트 극장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는 공간의 비위계적 구성(non-hierachical arrangement)으로 평면계획이 이루어진 SANAA의 작품들을 선정하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의한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외형적으로 보여지는 평면구성의 비위계성이 정량적 수치값으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외형상 보여지는 비위계적 평면구성을 보이는 SANAA의 각 공간들은 정량적 수치값의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공간의 위계 차이가 분명히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통합도(Integration)값이 높은 공간들은 연결도(Connectivity)값도 대부분 함께 높음을 알 수 있었는데, 비위계적 평면구성의 위계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공간의 출입구 개수를 늘리거나, 실의 크기와 위치조정을 통해 숨겨진 위계성을 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SANAA는 그리드 형태의 평면구성에서 내부 복도 대신에 외곽부 복도를 이용하여 접근성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고 있으며, 방과 방 사이의 오픈 코트 공간은 자연채광과 환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간의 숨겨진 위계성을 조절하는 장치로 채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