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CM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초

ETF의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 (An Emperical Study on the Information Effect of ETFs)

  • 김수경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3호
    • /
    • pp.285-297
    • /
    • 2013
  • 본 연구는 KOSPI200 시장을 대상으로 2003년 1월 1일부터 2013년 6월 30일까지의 일별자료를 이용하여 ETF 시장, KOSPI200 현물시장 그리고 선물시장에서의 가격발견효과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우선 KODEX200(KOSEF200), KOSPI200 현물 그리고 선물은 모두 공적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시장 간에는 예상대로 상호연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VECM을 이용하여 가격발견효과에 대한 분석에서는 ETF시장의 대표종목인 KODEX200이 KOSPI200 현물시장과 선물시장보다 가격발견기능이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KOSEF200의 경우 현물시장에 대해서는 가격발견효과가 없었지만, 선물시장에 대해서는 가격발견효과가 통계적으로 10% 유의수준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Education, and GDP Per Capita in Indonesia

  • HARYANTO, Tri;ERLANDO, Angga;UTOMO, Yog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561-57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ity between GDP per capita, urbanization, and education. This also aims to determine the long-term and short-term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urbanization, education, and GDP per capita by applying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Data was obtained from the World Bank and UNDP from 1990 to 2018. Th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economic growth and education on urbanization have the strongest causality in VECM. Therefore, they are pull factors with a significant effect in the long and the short term. Some suggestions concerning policy implications were stated, and they include: forming area-based urbanization, where cities within one area are integrated, to get the impact of an agglomeration economy. Also, the government needs to accelerate the distribution of infrastructure and public facilities in various regions to avoid population density in one area due to urbanization, and government needs to pay attention to easier access to education and more equitable ones in various regions. On the contrary, after education is evenly distributed in all regions, the government needs to pay attention to transportation access and infrastructure.

The Role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Promoting Economic Growth in the Saudi Economy: A Cointegration and VECM Approach

  • SALLAM, Mohamed A.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21-30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stimulating economic growth in the Saudi economy. Even though the economic literature shows how the manufacturing sector stimulates economic growth, it does not clearly show the role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economic growth. The study employed annual time-series data spanning the 1980-2018 period from the databases of the Saudi Arabian Monetary Authority. Moreover, the cointegration and VECM approache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short- and long-run relationship causality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show a two-way caus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economic growth.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a un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exists, running from the manufacturing sector to the services sector. The study recommends that the determinants of the growth of the Saudi manufacturing sector must be investigated. Moreover, the most productive Saudi manufacturing industries must be identified, and the productivity of other sectors must be increased in a way that contributes to economic plans and policies. Thus, adopting economic policies that stimulate investmen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contributes to increasing non-oil exports to diversify sources of income to achieve vision 2030 of the Kingdom of Saudi Arabia.

The Role of FDI in Economic Development in Vietnam + 5 Nations: Empirical Evidence between 1986-2020

  • Long Ma, LE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0권2호
    • /
    • pp.203-212
    • /
    • 2023
  • This research work aims to investigate the role of FDI in Economic Development by assessing its relationship with GDP per capita in Vietnam +5 from 1986-2020.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correlation matrix analysis, and econometric models, including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and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s (FGLS) estimation methods using Stata 15.1. The VECM estimation method results show that FDI positively impacts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hort run while not finding a long-run relationship.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both the short run and the long run. Meanwhile, CO2 emission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have no clear relationship with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hort run. However, the relationship is reversed in the long run, as the empirical study in Vietnam. The results of the FGLS estimation method show that FDI, CO2 emissions, and Exports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Economic Development in five selected Southeast Asian countries without Employment Opportunities in the long run. From these findings, the author propos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attaching FDI to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in Vietnam next time.

해운선사 주가와 해상 운임지수의 영향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reight Index and Shipping Company's Stock Price Index)

  • 김형호;성기덕;전준우;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157-16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운실물경기 지수가 국내 해운선사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변수는 한국 H회사의 주가와 해운실물경기 지수인 BDI(Baltic Dry Index), CCFI(China Containerized Freight Index), HRCI(Howe Robinson Containership Index)다. 분석기간은 2012년부터 2015년이며, 해운선사 주가지수, BDI, CCFI, HRCI의 4년간의 주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VAR 모형을 이용하여 CCFI와 HRCI가 국내해운선사의 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VECM 모형을이용하여 BDI가 국내해운선사의 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VAR 모형 분석결과, CCFI, HRCI는 주가지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VECM 모형 분석결과, BDI는 주가지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실물경기지수에 부의(-) 영향을 받은 국내 해운선사는 해운실물경기지수에 부의(-) 영향을 받은 국내 해운선사는 해운시황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내 해운기업은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해운시황에 대처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브렉시트(Brexit)의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한 영향 (The influence of Brexit on Container Volume of Korea)

  • 최봉호;이기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7-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렉시트로 인한 세계 거시경제환경의 변화, 특히 당사국인 영국과 EU의 경기 및 환율의 변화가 한국의 컨테이너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하여 2000-2016년의 월별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고 장기적 관계를 위한 공적분 검정과 장기 및 단기 동학적 분석을 위한 VECM모형과 인과성 검정을 위한 VECM인과성 검정을 도입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은 장기적으로는 EU의 경기와 환율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영국의 경기와 환율은 한국의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만 한정하여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 단기적으로는 EU의 거시경제환경 변수 중 경기 상황보다는 유로화 환율이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에 미친 영향 관계가 더욱 의미가 있는데, 이는 특히 수출컨테이너물동량의 경우 더욱 명확하다. 영국도 마찬가지로 경기의 영향은 유의성이 없지만 환율은 한국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한 영향관계의 유의성이 커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VECM인과성 검증에서도 잘 나타나 한국 총컨테이너물동량과 수출컨테이너물동량은 EU의 유로화환율에, 그리고 영국의 파운드화 환율은 한국의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대해서 인과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영국의 브렉시트로 인한 영국 및 EU의 경기 및 환율 변화에 의한 한국 컨테이너물동량의 영향은 경기 변화보다는 환율변화에 의한 것이 더 크고 주로 수출컨테이너물동량에 집중하는 등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브렉시트 당사국인 영국보다는 EU의 경기 및 환율변화에 의한 영향이 좀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VAR과 VECM 모형을 이용한 해운시장 분석 (Analysis of Shipping Markets Using VAR and VECM Models)

  • 고병욱
    • 무역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69-88
    • /
    • 2023
  • 본 연구는 VAR 및 VECM 모형을 활용해 컨테이너선, 건화물선, VLCC(유조선) 해운시장의 물동량(수요), 선박량(공급), 운임(가격)의 동태적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시장 참여자들이 실제 업무에서 인지한 시장 특성을 통계적 패턴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 가지 해운시장 모두에서 나타나는 통계적 패턴은 다음과 같다: 1) 그란저 인과성 분석 결과, 전기에 선박량이 증가하면 다음기에는 운임이 하락한다. 2) 충격-반응 분석 결과, 물동량 충격은 운임을 상승시키고, 선박량 충격은 운임을 하락시킨다. 3) 물동량 충격, 선박량 충격, 운임 충격 중에서 운임 충격이 압도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조정결정계수(adjR2)의 비교 결과, 선박량이 해운시장의 자체 변수(물동량, 선박량, 운임)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된다. 5) 공적분 벡터의 추정 결과, 물동량 증가는 운임을 상승시키고, 선박량 증가는 운임을 하락시킨다. 6) 교정 계수 추정 결과, 전기에 운임이 장기 균형보다 높으면 다음기에 하락 압력이 존재한다.

지역R&D투자와 지역경제지표 간 인과관계 분석 (Multivariate Granger Causality between Regional R&D Investment and Regional Economic Variables)

  • 박창대;안승구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9-20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지역R&D투자와 지역경제지표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패널VECM을 사용하여 1995~2014년 국내 17개 시 도별 정부 및 민간R&D투자, 고정자본과 고용, 지역내총생산의 상호 간 장 단기 인과관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단기적으로 GRDP의 원인변수는 고정자본, 고용, 그리고 민간R&D투자로 나타났다. 고정자본의 원인변수는 고용, 민간R&D투자로 나타났으며, 고용의 원인변수로는 GRDP와 고정자본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 고용, 고정자본, 정부R&D투자가 다른 변수들의 장기균형관계로부터 각각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목적과 대상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역R&D투자의 직 간접적 효과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 PDF

Cointegration Analysis with Mixed-Frequency Data of Quarterly GDP and Monthly Coincident Indicators

  • Seong, Byeongchan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6호
    • /
    • pp.925-932
    • /
    • 2012
  • The article introduces a method to estimate a cointegrated vector autoregressive model, using mixed-frequency data, in terms of a state-space representation of the vector error correction(VECM) of the model. The method directly estimates the parameters of the model, in a state-space form of its VECM representation, using the available data in its mixed-frequency form. Then it allows one to compute in-sample smoothed estimates and out-of-sample forecasts at their high-frequency intervals using the estimated model. The method is applied to a mixed-frequency data set that consists of the quarterly real gross domestic product and three monthly coincident indicators. The result shows that the method produces accurate smoothed and forecasted estimates in comparison to a method based on single-frequency data.

재고-신규주택 상대가격이 주택공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tock-to-Flow Price Ratio on Housing Starts)

  • 지규현;최성호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1호
    • /
    • pp.59-66
    • /
    • 2020
  • This thesis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Stock-to-Flow price and housing starts in Seoul metropolitan form 2008 year to 2019 year. The paper tests the relationship through two time-series models such as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nd Dynamic Panel regression model. The model results show evidence of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ock-to-Flow price and housing starts in the long run. By transforming the regional data into a panel data set and running a fixed effects model, we test the explanatory power of PBR on housing starts. The result of VECM confirms that one unit uprising PBR raises up apartment construction by 7.4%. This result supports that PBR is a major factor in choosing a start of housing construct. Base on the result of empirical model, We also suggest that the market self-regulation function of housing providers is operating in the entire metropolitan area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