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BN values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초

약용 식물을 첨가한 쇠고기 분쇄육의 냉장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Ground Beef with Additions of Medicinal Plants(Cinnamon, Licorice and Bokbunja) during Cold Storage)

  • 정인철;이경수;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4-230
    • /
    • 2009
  • 본 연구는 계피, 감초 및 복분자 추출물의 첨가가 냉장 저장 중 쇠고기 분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물 10% 첨가한 분쇄육(대조구), 계피 추출물 10% 첨가한T-1구, 감초 추출물 10% 첨가한 T-2구 그리고 복분자 추출물 10% 첨가한 T-3구 등 네 종류의 쇠고기 분쇄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냉장 저장 중 표면 색도, 보수력, 가열 감량, 두께, 직경, pH, VBN 함량 및 TBARS 값을 실험하였다. 냉장 저장 중 $L^*$$a^*$값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b^*$값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약용 식물 추출물은 색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수력은 냉장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약용 식물 추출물은 보수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열 감량은 T-1구를 제외한 나머지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두께 및 직경은 냉장 저장 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약용 식물 추출물 첨가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대조구의 pH는 6일까지 낮아지다가 9일째 높아졌으며, 약용 식물 추출물 첨가구는 저장 기간의 경과와 함께 낮아졌다. VBN 함량은 냉장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대조구가 약용 식물 첨가구보다 높았다. TBARS 값은 냉장 저장 중 약용 식물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 PDF

냉각방식에 따른 반냉동 돼지고기, 쇠고기와 참치의 신선도 변화 (Effects of Sub-freezing Systems on the Freshness of Pork Loin, Beef Loin and Tuna)

  • 김돈;장영기;박기환;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41-348
    • /
    • 2000
  • 기존 냉장고의 특선실과 새로운 냉각방식의 냉장고에 돼지고기, 쇠고기, 냉동참치를 저장하면서 그들의 품질을 비교하여 각 냉각방식의 차이가 부분 냉동식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냉장고 특선실$(-1^{\circ}C)$, 강제순환식 저장방법$(-5^{\circ}C)$, 그리고 자연대류식 저장방법$(-5^{\circ}C)$으로 저장하면서, 돼지고기와 쇠고기는 VBN, TBA, 및 수분함량을, 냉동참치는 K-value와 VBN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기간 중 모든 시료에 대해서 강제순환식 저장방법에서 수분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VBN의 경우도 수분함량에 영향을 받아서 강제순환방식이 다른 저장방법들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돼지고기의 경우 TBA값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쇠고기의 경우는 VBN에 대하여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TBA값은 일반 특선실과 자연대류식 저장방법에 대하여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반면 포장을 한 경우는 일반 특선실과 강제순환 및 자연대류 저장방법에서 돼지고기의 품질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냉동참치는 VBN과 K-value에 대하여 일반 특선실과 자연대류식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cold chamber의 온도를 $-5^{\circ}C$ 정도인 subfreezing온도로 유지하고, 자연대류 냉각방식을 적용하면 가정용 냉장고를 사용하여 육류 및 어류의 신선도를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생약성분을 첨가한 소시지의 저장성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Medicinal Plants with Additive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Sausage)

  • 임혜경;조은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9-25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cinal plants with additive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sausage. The water activity of the sausage with the additives tended to decrease with the storage time: the highest value was shown in the Angelica added sausage samples, in both cases added with dried powder as well as with extracted powder. The Paeonia extract powder added sausage had the lowest pH value. The herbal plant added sausages showed the lowest cooking and storage losses among all. The values of TBA (thiobarbituric acid value) and VBN (volatile basic nitrogen) increased with storage time, but the values of the sample with the extract powder additiv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freeze-dry powder additive. Total plate counts of bacteria increased with storage time fur all samples, but those for the samples with Pueraria, Platycodon, Angelica, Bupleurum and Paeonia additives exhibited lower values than the control. From the above results, the sausages with medicinal plant additives showed the superior storage safe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 PDF

증제녹차분말 및 생 찻잎분말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Meat Patties Formulated with either Steam-dried Green Tea Powder or Freeze-dried Raw Tea Leaf Powder)

  • 조상훈;정장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67-574
    • /
    • 2010
  • Pork patties were formulated with either steam-dried green tea power or freeze-dried raw tea leaf powder,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se products were monitored. Proximate analysis of tea powder contained 17.80~19.85%, 4.70~5.73%, and 5.60~5.77% (as is)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ce differences in pH among the samples. Chromaticity tended to decrease brightness ($L^*$) and redness ($a^*$),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yellowness ($b^*$) as the added amount of tea power was increased. For texture, hardness increased as more green tea powder was adde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s increased after storage for 12 days, whereas samples formulated with green tea powder showed lower TBARS and VBN values compared to control groups. Sensory panelists showed preference for samples with green tea powder add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미나리과 산채의 성분분석 및 육가공품에 대한 항산화 효과 - 참당귀.돌미나리.고수 - (Analysis of Umbelliferaeceae Wild Pla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k Meat Products Added with Wild Plants -Angelica gigas NAKAI., Ostericum sieboldii NAKAI. and Coriandrum sativum LINNAEUS.-)

  • 허수진;양미옥;조은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56-463
    • /
    • 2001
  •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3 kinds of Umbelliferaeceae Wild Plants (Angelica gigas NAKAI., Ostericum sieboldii NAKAI. and Coriandrum sativum LINNAEUS) were analyzed and used for making pork sausage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crud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Ostericum sieboldii, 37.87%, and crude lipid and crude ash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Coriandrum sativum. Vitamin C was contained in Angelica gigas at 0.30mg%. but was not detected in Ostericum sieboldii and Coriandrum sativum. $\beta$-carotene content in Angelica gigas was the highest at 19.96%, but selenium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m. Total phenol content in Coriandrum sativum was the highest as 1107.43mg%. TBA and VBN values of all sausages with wild plants increased gradually during four-week-storage and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Coriandrum sativum-added sausage had the lowest TBA as well as VBN valuew. During the four-week-storage at 4$\^{C}$, TBA value and VBN value were in the very safe range at all sample. Total phenol contents in sausages appeared to have more antioxidative activity than vitamin C, $\beta$-carotene and selenium, and consequently decreased the TBA values of sausages.

  • PDF

쑥 분말 첨가 소시지의 이화학적 및 저장 특성 (The Physicochemical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Sausage added Mugwort Powder)

  • 한규호;최일신;이치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56-361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sausages added mugwort powder at $4^{\circ}C$ during 13 days. The composition of fresh sausages was as the following : meat 60 % (w/w), lard 20 %, ice 20 %, salt 1.5 %, sugar 0.5 %, phosphate 0.25 %, mugwort 2 % or 5 %. Sausag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mugwort 0 %, Treatment I mugwort 2 % and Treatment II mugwort 5 %. The pH, TBA(thiobarbituric aid) value, VBN(volatile basic nitrogen), rheology, and sensory evaluation were measured. The changes of pH of all groups were sligh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days.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H changes were not shown between mugwort 2 % (Treatment I) and mugwort 5 % (Treatment II) groups. The changes of TBA values of all treatments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s. TBA values of Treatment I and Treatment II group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change of VBN showed trends to increase during storage periods. The change of VBN of Treatment I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Treatment II. Hardness and brittleness of 2 % and mugwort 5 % group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Elasticity and cohesiveness of 2 % and Treatment II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lso, Treatment I was superior to the other groups by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possible to manufacture sausages added 2 % mugwort powder which can help to increase storage periods, and improve quality of sausage.

열풍 건조 토마토 분말 첨가가 돈육 패티의 냉동저장 중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Hot-Air Dried Tomato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Meat Patties During Freezing Storage)

  • 민훈식;진상근;김일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61-68
    • /
    • 2009
  • 돈육 패티에 열풍 건조 토마토 분말을 각각 0.00% (C), 0.25% (T1), 0.50% (T2), 0.75 (T3) 및 1.00% (T4) 첨가하여 제품을 제조한 후 냉동 저장 중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제품에 있어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가열감량, TBARS, VBN, $L^*$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a^*$,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T4의 pH와 가열감량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 20일 동안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a^*$$b^*$값은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VBN은 저장 20일차에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관능검사 면에서 냉동 15일까지 육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T3 및 T4가 다른 시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열풍건조 토마토 분말을 첨가한 돈육 패티는 냉동 저장 중 무첨가 제품에 비해 적색도와 황색도가 높아 기호도가 양호하였고 또한 지방산화 안전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수 충진 포장온도 차이에 따른 레토르트 삼계탕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Retorted Samgyetang during Storage depending on the Different Filling and Packaging Temperatures of Meat Broth)

  • 장민준;이근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21-25
    • /
    • 2012
  • 본 연구는 레토르트 삼계탕 제품에서 육수의 충진 포장온도가 저장 중 품질과 저장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 레토르트 삼계탕은 육수 충진 온도를 $50^{\circ}C$(T1)와 $85^{\circ}C$(T2)로 달리하여 포장한 후 $120^{\circ}C$에서 65분간 F값 약 8.0의 조건으로 멸균하여 제조되었다. 시료들은 $25^{\circ}C$에서 6개월간 저장하며 0, 1, 3과 6개월차에 pH, 육수 내 용존산소량, 포장의 헤드스페이스 내 산소농도 비율, 산가, VBN, 점도, 관능검사와 퍼짐성에 대하여 분석되었다. 저장기간 중 T2는 T1에 비하여 VBN, 육수 내 용존산소량과 산가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pH와 육수 내 용존산소는 저장 초기부터, VBN값, 그리고 헤드스페이스 산소농도 비율과 산가는 3개월 후부터 양 처리구간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반면, 저장기간 중 두 시료 간 점도, 퍼짐성과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결과, 레토르트 삼계탕에서 육수의 충진온도 차이는 관능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6개월까지 저장하는 동안 통계학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본 실험이 6개월간 비교적 단기간 이루어진 동안에도 T2에서 T1보다 산가와 VBN값의 증가를 지연시키고 용존산소량을 낮추는 효과가 확인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레토르트 삼계탕의 품질 변화 최소화 및 장기 저장을 위해서는 육수 충진 시 $85^{\circ}C$ 이상 높여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 PDF

뽕잎과 감잎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지방산화, 아질산염, 염기태질소화합물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mulsion-type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Leaf and Persimmon Leaf Powder on Lipid Oxidation, Nitrite, VBN and Fatty Acid Composition)

  • 이제룡;정재두;이정일;송영민;진상근;김일석;김회윤;이진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03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에 뽕잎 및 감잎분말을 각각 0.04와 0.08% 수준으로 첨가하여 지방산화, 잔존 아질산염 함량, 휘발성 염기태질소(VBN)함량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지방산화도를 나타내는 TB-ARS는 저장 45일까지 대조구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저장 60일에는 뽕잎 및 감잎분 말 0.04% 첨가한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나타내었다. 잔존 아질산염 함량은 뽕잎 및 감잎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낮게 나타났다. 휘발성 염기태질소 ;VBN)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 모두 증가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PUFA/SFA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뽕잎과 감잎분말을 첨가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였을 때 휘발성 염기태질소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소시지의 지방산화를 감소시키면서 잔존 아질산 염을 낮추는 기능성 있는 제품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온도별 저장중 축육 소시지의 이화학적 변화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Meat Sausag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 김수민;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3-288
    • /
    • 1989
  • 저장온도가 축육소시지의 품질에 미지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온도별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장 온도별 VBN 함량의 변화는 온도의 영향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는데 $10^{\circ}C$, $20^{\circ}C$에 비해 $40^{\circ}C$ 저장이 VBN 함량이 급격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변온저장 $(10/40^{\circ}C)$인 경우에는 $10^{\circ}C$$20^{\circ}C$에 비해 VBN 함량변화가 빠르나 $40^{\circ}C$에 비해서는 변화가 느린 경향이었다. 저장온도별 VBN 함량, 총균수의 변화는 저장기간의 경과와 저장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TBA 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변화 경향은 일정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40^{\circ}C$$10^{\circ}C$, $20^{\circ}C$ 및 변온저장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Aw와 수분함량은 저장온도별 큰 변화는 없었지만 저장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소시지 색깔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두워지는 경향이었다. 전반적인 slime형성의 기준인 관능평가 2.0을 기준으로 저장기간을 예측해 본 결과 $10^{\circ}C$는 40일 이상, $20^{\circ}C$는 40일 미만, $40^{\circ}C$는 30일 미만, 변온저장의 경우는 20일 정도로 산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