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BN content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2초

약용 식물을 첨가한 쇠고기 분쇄육의 냉장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Ground Beef with Additions of Medicinal Plants(Cinnamon, Licorice and Bokbunja) during Cold Storage)

  • 정인철;이경수;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4-230
    • /
    • 2009
  • 본 연구는 계피, 감초 및 복분자 추출물의 첨가가 냉장 저장 중 쇠고기 분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물 10% 첨가한 분쇄육(대조구), 계피 추출물 10% 첨가한T-1구, 감초 추출물 10% 첨가한 T-2구 그리고 복분자 추출물 10% 첨가한 T-3구 등 네 종류의 쇠고기 분쇄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냉장 저장 중 표면 색도, 보수력, 가열 감량, 두께, 직경, pH, VBN 함량 및 TBARS 값을 실험하였다. 냉장 저장 중 $L^*$$a^*$값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b^*$값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약용 식물 추출물은 색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수력은 냉장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약용 식물 추출물은 보수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열 감량은 T-1구를 제외한 나머지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두께 및 직경은 냉장 저장 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약용 식물 추출물 첨가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대조구의 pH는 6일까지 낮아지다가 9일째 높아졌으며, 약용 식물 추출물 첨가구는 저장 기간의 경과와 함께 낮아졌다. VBN 함량은 냉장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대조구가 약용 식물 첨가구보다 높았다. TBARS 값은 냉장 저장 중 약용 식물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 PDF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우농가의 축분 특성 조사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Manure in Hanwoo Farms Center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 최성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1-284
    • /
    • 2022
  •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nure in five beef cattle farms and two breeding farms in Hanwoo center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analysis and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H of manure in all the farms in this study was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of 8.81 to 9.45. Second, the dry matter content varied from 44.7% to 70.5% for all the farms. Third, the total nitrogen content in all the farms was 2.05-3.04%, which is higher than the reported range; however, it could play a role as a soil improvement agent when used as compost. Fourth, although the exact range of ammonia-N (VBN) content was not reported, results analyzed in all the farms showed that the level of impact on the environment was insignificant. In conclusion, soil and environment improvement effect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f the manure at Hanwoo farms in the Gyeongbuk area are used as compost through appropriate management.

냉면육수의 보존중 겨자의 첨가효과 (Effects of Mustard Seed (Brassica juncea) during Preservation of Soup for Naengmyon)

  • 서권일;강갑석;심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1-56
    • /
    • 1997
  • 겨자의 항균성 및 식품보존제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겨자의 첨가에 따른 냉면육수의 보존 중 그 효과를 조사하고, 대장균의 형태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겨자를 첨가시킨 냉면육수의 적정산도는 처음에 겨자 무첨가 육수에 비하여 높았으나 24시간 보존 후에는 겨자 무첨가 육수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겨자 첨가 냉면육수의 생균수 및 대장균수는 처음에 겨자 무첨가시보다 감소하였으며, 겨자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폭이 크게 나타났고, VBN 함량은 보존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고, 겨자가 첨가된 냉면육수가 겨자 무첨가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겨자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더욱 낮게 나타났다. 겨자 물추출물로 처리한 대장균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균체표면이 수축되고 표층구조가 허물어져 심한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동해산 가다랑어 훈연조미제품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Seasoned and Smoked Products of Skipjack Tuna (Euthynus pelamis) Captured in the East Sea)

  • 이정민;김상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77-84
    • /
    • 2004
  • The powder and liquid products of seasoned and smoked skipjack tuna (Euthynus pelamis) was manufactured by using small skipjack tuna (1-2 kg, 20-30 cm) captured in the East Sea, Korea. Smoking was done three times at $80^{\circ}C$ for 8 hrs to decrease the moisture content below $15\%.$ The seasoned and smoked skipjack tuna powder with liquid smoke showed the lower pH than the control. The pH, VBN, amino nitrogen content, and TBA value were increased slowly as storage period was increased at room temperature. Liquid smoke decreased the production of animo nitrogen and VBN. Vacuum packaging was efficient for inhibiting the deterioration and the microbial growth of the seasoned and smoked skipjack tuna powder product.

자건 멸치의 품질 개선에 대한 산성 전해수의 영향 (Effect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boiled-dried anchovy)

  • 이수정;성낙주;강신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7-364
    • /
    • 2014
  • 자건 멸치의 제조 시 산성 전해수로 자숙함으로써 멸치의 품질 개선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멸치의 표면색은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명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전체적인 색차(${\Delta}E$)에서 전해수 처리 멸치는 대조구에 비해 5.08의 차이를 보였다. 추출물의 갈색도는 지용성 추출물이 수용성 추출물에 비해 훨씬 높았다. In vitro에서 칼슘 흡수율은 대조구에서 10.77%였으며, 전해수 처리 멸치는 12.61%였다. 저장 온도($20^{\circ}C$, $4^{\circ}C$$-20^{\circ}C$) 및 기간(5주, 10주 및 5개월)을 달리하여 멸치를 저장하는 동안, 멸치 추출물의 지용성 갈색도는 $20^{\circ}C$$4^{\circ}C$ 저장 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20^{\circ}C$ 저장 시에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휘발성 염기질소(VB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20^{\circ}C$ 저장 시에 전해수 처리 멸치는 대조구에 비해 VBN의 함량이 작았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되었는데, 전반적으로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함량 증가가 작았다. 따라서 멸치의 가공과정에서 산성 전해수 처리는 멸치의 색택 개선, VBN 및 지질과산화물의 함량 변화를 감소시켜 품질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녹차분말 첨가 소시지의 아질산염 잔유량과 저장성 (Nitrite Contents and Storage Properties of Sausage Added with Green Tea Powder)

  • 최성희;권혁추;안덕준;박정로;오동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9-308
    • /
    • 2003
  • 돈육소시지에 녹차의 다양한 생리 기능성을 부여하고 소시지의 저장성과 품질을 유지하면서 아질산염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녹차 분말을 첨가하여 돈육 소시지를 제조하여 저장 중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아질산염(50, 100, 150 ppm)과 녹차(0, 0.5, 1.0%)를 첨가한 총 9개 시험군의 소시지를 제조하여 1$0^{\circ}C$와 2$0^{\circ}C$에 나누어 저장하면서 아질산염, TBARS와 VBN 등 저장성을 검사하였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등 일반성분은 녹차와 아질산염 첨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색깔은 녹차 첨가량이 많을수록 밝기와 적색도가 감소한 반면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소시지의 아질산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아질산염 첨가량이 동일한 경우 녹차 첨가량이 많을수록 아질산 잔류량이 적어 녹차 첨가가 아질산 잔유량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의 첨가는 소시지 제조 초기 및 저장 중 TBARS 값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녹차의 TBARS 감소 효과는 낮은 농도의 아질산염을 사용한 경우에 더욱 감소효과가 컸다. 저장 중 휘발성 염기태질소(VBN) 함량도 녹차와 아질산염을 첨가한 군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돈육소시지에 녹차를 첨가함으로써 아질산 잔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장성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 아질산염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Effects of Whey Protein Injection as a Curing Solution on Chicken Breast Meat

  • Ha, Jung-Heun;Lee, Ju-Ho;Lee, Jae-Joon;Choi, Yang-Il;Lee, Hyun-J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94-502
    • /
    • 2019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chicken breast meat (CBM) was investigated following the injection of whey protein (WP) as a curing ingredient. The moisture content of CBM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WP.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WP (7%) resulted in the lowest moisture and fat content and the highest protein content of CBM. Injection of WP elevated the pH and water holding capacity (WHC) of CBM. The cooking loss of CB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WP injections of 3% and higher. All WP injections increased the $L^*$ of the CBM but decreased the $a^*$ and $b^*$. WP injection increased the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and decreased the hardness of the CBM. WP injection increase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fter 3 and 7 days of storage.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of the CBM increased with increased concentrations of WP. The total microbial count (TMC) of CBM injected with WP was higher initially and after 3 days of storage. Our results showed WP injection improved the WHC of CBM but decreased the storage stability by increasing TBARS, VBN and TMC.

다양한 온도와 포장방법이 한우 안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Temperatures and Packaging Methods on the Storage Properties of Hanwoo Tenderloin)

  • 김종희;이은선;오미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9-126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indicators (total bacterial count and coliform count) and physicochemical quality indicators (pH, rednes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of meat according to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20~15℃) and packaging methods (wrap, vacuum).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a safe consumption period. Redness, pH, and VBN content were not considered appropriate for setting the expiration date, as the redness and pH of the meat after spoilage were better than the standard values for both vacuum and wrap packaging (p<0.05). Additionally, the VBN content at 2 and 4℃ increased slightly (fresh level) until the initial time of spoilage (1.0×106 colony-forming unit [CFU]/cm2) and then increased rapidly thereafter. Therefore, th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with microbial spoilage. When the decay point was evaluated based on the presence of microorganisms, vacuum packaging extended the storage period approximately 2.5-fold when compared with wrap packaging, and the meat could be stored at 2 or 4℃ for 40 or 23 days, respectively. Therefore, to evaluate meat quality, microbial indicato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safety management during the distribution of meat. However, to ensure meat safety,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appropriate indicators of freshness must be conducted.

시판젓갈류의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 이경행;김재훈;차보숙;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27-1433
    • /
    • 1999
  • 시판 젓갈류의 품질표준화 및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품질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현재 국내에서 수요가 많은 새우젓, 오징어젓 및 조개젓을 대상으로 미생물적, 관능적 및 화학적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시판 새우젓의 관능검사 결과와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상관계수가 0.91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약 $150{\sim}300\;mg%$ 범위에서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았다. VBN 함량은 약 $25{\sim}70\;mg%$ 정도로 함량이 많을수록 기호도가 높았고 관능검사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0.7607)가 있어 새우젓 제품의 품질평가에 적합하였다. 시판 오징어젓은 pH가 6.0이상이었을 때 기호도가 높아 관능검사와의 상관계수가 0.8467로 나타나 단순히 pH만으로도 오징어젓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으며 VBN 함량은 30 mg%이하의 제품에서 기호도가 높았으며 상관계수도 0.9581로 가장 높게 나타나 pH와 함께 품질평가에 적합한 실험항목이었다. 시판 조개젓은 VBN의 함량이 40 mg% 미만이었으며 함량이 낮을수록 관능검사 결과가 높아 관능검사와의 회귀분석에 의한 상관계수는 0.9497로 높게 나타나 조개젓의 품질평가에 적합하였다.

  • PDF

포장방법이 칼치제품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 on the Storage Stability of Hair Tail Products)

  • 조길석;김현구;강통삼;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1
    • /
    • 1988
  • 포장방법이 칼치 Chunk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를 염장 혹은 무염처리 상태로 진공포장, 탈산소제 포장 및 대조구로 하여 $0^{\circ}C$ 또는 $5^{\circ}C$에 저장하면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염장 칼치의 적정 염농도를 4% 내외로 하였을때 적정 식염수의 농도는 15%였고 염장기간은 24시간 이었다. 염장 혹은 무염 처리구의 VBN, TMA, 생균수는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TBA 값은 $5{\sim}15$일 경에 최고값에 달한후 감소하였다. 칼치 Chunk의 품질 유효지표 성분은 VBN 이었으며 그 함량의 상한선은 29mg%였다. 칼치 Chunk의 간이 품질 평가방법을 도출하였다. $0^{\circ}C$에 저장한 무염처리 칼치의 진공포장, 탈산소제 포장 및 대조구의 경우, 저장 가능기간은 14, 10 및 6일 이었으며, $5^{\circ}C$의 경우는 7, 6 및 4일 이었다. 또한 염장한 칼치를 $5^{\circ}C$에 저장할 경우는 각각 14, 13 및 10일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