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2X

검색결과 3,738건 처리시간 0.044초

V2X 통신 기술 동향 (V2X Communication Technology Trends)

  • Han-gyun Jung;Seong-keun Jin;Jae-min Kwak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61-864
    • /
    • 2023
  • Recently, V2X (vehicle-to-everyting) communic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essential technology for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V2X communication currently includes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is a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base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V2X (cellular-V2X)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is a Cellular-based communication technology. Since these two communication methods are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various studies and experiments are being conducted to select one of the two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case of C-V2X communication, there are LTE-V2X (long term evolutionV2X)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is an initial version, and 5G-V2X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is a next-generation version. 5G-V2X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completed only until standardization, so LTE-V2X communication technology is mainly us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trends related to various issues in V2X communication, including communication method decisions.

상엽수확고 측정에 관한 연구 제 4보 추기상수각형질의 측정에 의한 익춘 상엽량의 예측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Leaf Production in Mulberry Trees IV. Estimation of Spring Leaf Yield by the Measurement of Some Characters)

  • 한경수;장권열;안정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0권
    • /
    • pp.35-40
    • /
    • 1969
  • 익춘상엽의 수확고를 예측하기 위하여 전년에 낙엽후의 상수에 대하여 수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지조장(X$_1$), 절간수(X$_2$), 지조직경(X$_3$), 주당지수(X$_4$)의 4개 형질을 측정하여 이들 형질의 수량에 영향하는 가중치를 다중회귀방정식에 의하여 수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식을 유도하였다. 그 중 몇가지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지조장(X$_1$)과 절간수(X$_2$)를 측정하여 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는 개량서반(V$_1$)에 있어서는Y$_1$v$_1$= -26.8939+50.3950X$_1$+1.1403X$_2$ 일지뢰(V$_2$)에 있어서는 $Y_1$v$_2$= -372.1091+116.6371X$_1$+0.1984X$_2$ 노상(V$_3$)에 있어서는 $Y_1$v$_3$= 149.8203+90.5125X$_1$-0.9775X$_2$ 수원상 4호(V$_4$)에 있어서는 $Y_1$v$_4$= 108,1496+59.4533X$_1$+1.4965X$_2$ 의 식에 지조장(X$_1$)과 절간수(X$_2$)의 측정치를 대입하면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2. 지조장(X$_1$), 절간수(X$_2$), 지조직경(X$_3$)의 3개형질을 측정하여 수량을 예측하는데는 각품종별로 각각 $Y_{7}$v$_1$= -54.4411+32.9869c1.1127X$_2$+21.7600X$_3$ $Y_{7}$v$_2$= -494.1480-1.8756X$_1$+0.9788X$_2$+110.0039X$_3$ $Y_{7}$v$_3$= 143.2836+29.1779X$_1$+0.1644X$_2$+48.4135X$_3$ $Y_{7}$v$_4$= 1243.2549+1.9454X$_1$+2.7118X$_2$-75.6669X$_3$ 3. 지조장(X$_1$), 절간수(X$_2$), 지조직경(X$_3$), 주당지수(X$_4$)의 4개 형질을 측정하여 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는 각품종별로 각각 $Y_{11}$v$_1$=233.4780+74.3713X$_1$+1.2912X$_2$+39.0420X$_3$-148.9300X$_4$ $Y_{11}$v$_2$=-317.0150+15.l524X$_1$+1.0861X$_2$+156.7973X$_3$-148.3742X$_4$ $Y_{11}$v$_3$=178.7011+29.8664X$_1$-0.2562X$_2$+102.4632X$_3$-83.2693X$_4$ $Y_{11}$v$_4$= 264.0062+47.7742X$_1$+2.6996X$_2$+92.8882X$_3$-192.3464X$_4$ 등의 식에 의하여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무선 통신 가능 범위와 V2X 차량 비율에 관한 경험적 분석 (Empirical Analysis on Radio Communication Range and Vehicle Ratio in V2X Environment)

  • 박상웅;김주영;나성용;이승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41
    • /
    • 2016
  • V2X 환경은 C-ITS 분야에서도 최신 기술을 토대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런 최신 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통신가능범위와 V2X 차량의 시장 점유율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적절한 파라미터와 V2X 차량 속도 전달 알고리즘을 적용한 미시적 교통시뮬레이션 VISSIM을 사용해 V2X 환경에서의 통신가능 범위와 V2X 차량의 시장점유율이 교통류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V2X 환경은 차량의 교통량에 의한 혼잡을 줄여주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로 용량에 근접한 혼잡상황일 시에는 V2X 환경 역시 도로 상태를 개선할 수 없었다. 또한 통신가능 범위가 길수록 효율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과 낮은 시장점유율을 가지고도 V2X환경의 효과를 볼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논문은 V2X 환경을 더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만드는 하나의 기반이 될 것이다.

상엽수확고 측정에 관한 연구 제3보 각형질 가중치(Weight)에 의한 수량의 규정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Leaf production in Mulberry Trees III Estimation of the Leaf production by the Measurement of Some Characters)

  • 한경수;장권열;안정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9권
    • /
    • pp.21-25
    • /
    • 1969
  • 상엽의 수확고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엽의 수량과 높음 상관관계가 있는 형질중 상전에서 쉽게 측정할수 있는 기조장(X$_1$), 기조직경(X$_2$), 엽수(X$_3$), 엽면적(X$_4$)의 4 개형질을 측정하여 이들 형질의 수량에 영향하는 가중치를 다중회분방정식에 의하여 계출하여 수량을 측정할수 있도록 여러가지 식을 유도하였다. 1. 기조장(X$_1$)과 기조직경(X$_2$)을 측정하여 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개량서반에 었어서는 y$_1$v$_1$=-115.760+0.068X$_1$+165.756X$_2$(g) 일지뢰에 있어서는 y$_1$v$_2$=-221.500+1.768X$_1$+38.152X$_2$(g) 노상에 있어서는 y$_1$v$_3$=-253.826-0.116X$_1$+289.507X$_2$(g) 수원상 4호에 있어서는 y$_1$v$_4$= -157.559+1.063X$_1$+106.088X$_2$(g)의 식에 의해서 기조장(X$_1$)과 기조직경(X$_2$)의 측정치를 대입하면 수량을 견적할수 있다. 2. 기조장(X$_1$), 기조직경(X$_2$), 엽수(X$_3$)의 3 개형질을 측정하여 수량을 견적하는 데는 각품종별로 각각 y$_{7}$v$_1$=-118.478-0.665X$_1$+184.445X$_2$+2.346X$_3$ y$_{7}$v$_2$=-217.432+2.062X$_1$+35.668X$_2$-1.058X$_3$ y$_{7}$v$_3$=-206. 249-0.739X$_1$+268.08X$_2$+2.770X$_3$ y$_{7}$v$_4$=-153.383+0.009X$_1$+2.024X$_2$+0.171X$_3$ 의 식에 의하여 수량을 견적할수 있다. 3. 기조장(X$_1$), 기조직경(X$_2$), 엽수(X$_3$), 엽면적(X$_4$)의 4개형질을 측정하고 수량을 견적하기 위하여는 각품종별로 각각 y$_{11}$v$_1$=82. 567-1.283X$_1$+15.501X$_2$+0.640X$_3$+3.511X$_4$ y$_{11}$v$_2$=136.411+0.311X$_1$+1.921X$_2$-0. 217X$_3$+0.214X$_4$ y$_{11}$v$_3$=150.2Z7-0.139X$_1$+11.788X$_2$+0.143X$_3$+0.381X$_4$ y$_{11}$v$_4$=160.850+0.323X$_1$+66.076X$_2$-0.794X$_3$+2..614X$_4$등의 식에 의하여 수량을 견적할수 있다.의하여 수량을 견적할수 있다.

  • PDF

한국산 나비나물속(콩과)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A cytotaxonomic study of Vicia L. (Fabaceae) in Korea)

  • 남보미;박명순;오병운;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5
    • /
    • 2012
  • 한국산 나비나물속(Vicia)에 속하는 10분류군의 체세포 염색체수와 그 중 6분류군에 대한 핵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나비나물속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2n = 12, 14 또는 24로서, 기본 염색체수 x = 6 또는 7의 이배체와 사배체로 밝혀졌다. 한국특산식물인 나래완두(V. hirticalycina, 2n = 2x = 12)의 염색체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가는살갈퀴(V. angustifolia, 2n = 2x = 12), 등갈퀴나물(V. cracca, 2n = 4x = 24), 새완두(V. hirsuta, 2n = 2x = 14), 얼치기완두(V. tetrasperma, 2n = 2x = 14 + 2B), 벌완두(V. amurensis, 2n = 2x = 12), 노랑갈퀴(V. chosenensis, 2n = 2x = 12, 12 + 2B), 나비나물(V. unijuga, 2n = 4x = 24), 애기나비나물(V. unijuga f. minor, 2n = 4x = 24), 광릉갈퀴(V. venosa var. cuspidata, 2n = 4x = 24)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기존의 보고들과 일치하였다. 핵형분석 결과, 등갈퀴나물은 2 m + 8 sm+ 2 st, 벌완두는 2 m + 2 sm + 2st, 나래완두는 3 m + 1 sm+ 2 st, 나비나물과 애기나비나물은 4 m + 6 sm + 2 st, 광릉갈퀴는 4 m + 8 sm로 각각 조사되었다.

LINEAR MAPPINGS ON LINEAR 2-NORMED SPACES

  • White Jr. Albert;Cho, Yeol-Je
    • 대한수학회보
    • /
    • 제21권1호
    • /
    • pp.1-5
    • /
    • 1984
  • The notion of linear 2-normed spaces was introduced by S. Gahler ([8,9,10,11]), and these space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y C. Diminnie, R. Ehret, S. Gahler, K. Iseki, A. White, Jr, and others. For nonzero vectors x,y in X, let V(x,y) denote the subspace of X generated by x and y. A linear 2-normed space (X,v) is said to be strictly convex ([3]) if v(x+y,z)=v(x,z)+v(y+z) and z not.mem.V(x,y) imply that y=ax for some a>0. Some characterizations of strict convexity for linear 2-normed spaces are given in [1,3,4,5,12]. Also, a linear 2-normed space (X,v) is said to be strictly 2-convex ([6]) if v(x,y)=v(x,z)=v(y,z)=1/3v(x+z, y+z)=1 implies that z=x+y. These space have been studied in [2,4,6,13]. It is easy to see that every strictly convex linear 2-normed space is always strictly 2-convex but the converse is not necessarily true. Throughout this paper, let (X,v) denote a linear 2-normed space.

  • PDF

자동차 V2X 통신성능 평가를 위한 제어 보드 프로토타입 구현 (Prototype Implementation of Control Board for Vehicle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 김유원;조병찬;정혁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34
    • /
    • 2023
  • The Republic of Korea aims to complete the commercialisation of Level 4+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in 2027. It also plans to include V2X OBU in the K-NCAP evaluation items. Therefore, communication performance safety evaluation criteria for V2X OBU need to be established, and an OBU with necessary functions is needed to develop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safety evaluation technology for vehicles.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 V2X OBU control board prototype that can be used to develop a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safety evaluation technology for Level 4+ autonomous vehicles, and confirmed that the control board prototype works normally.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기술을 이용한 e-Call 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Call Services Using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Technology)

  • 최수민;신용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1-324
    • /
    • 2018
  • 최근 차량과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의 진화가 빨라지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C-V2X(Cellular V2X) 기술과 이와 결합된 서비스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교통사고 부상자 긴급 구난(e-Call, emergency Call) 서비스 분야에서 발전한 통신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볼 수 있으며, 사고 후 골든아워 내 구조차량의 도착비율도 현저히 낮고, 보행자 사고 비율도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C-V2X 통신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적용한 통신 아키텍처를 설계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통신을 이용하여 기존 e-Call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역스피넬 Fe3O4 박막의 바나듐 도핑에 따르는 자기적 성질 변화 (Effects of Vanadium Doping on Magnetic Properties of Inverse Spinel Fe3O4 Thin Films)

  • 김광주;최승리;박영란;박재윤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22
    • /
    • 2006
  • 바나듐(V)도핑이 $Fe_3O_4$의 자기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졸-겔 방법을 이용하여 $V_xFe_{3-x}O_4$ 박막들을 제작하고, x-ray diffraction(XR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conversion electron Mossbauer spectroscopy(CEMS), vibrating sample magnetometry(VSM) 등을 이용하여 그 구조적, 자기적 특성들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XRD 측정 결과에 따르면 $V_xFe_{3-x}O_4$ x=1.0까지 입방(cubic)구조를 유지하며, 그 격자 상수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바나듐의 2p 및 철의 2p 준위들에 대한 XPS 측정 및 분석 결과, 바나듐은 화합물 내에서 주로 +3가의 상태로 존재하며, 성분비 x가 증가함에 따라 +2가 이온의 농도가 증가함이 나타났다. CEMS측정 결과 $V^{3+}$이온들은 사면체 $Fe^{3+}$자리를 주로 치환하며, $Fe^{2+}$이온들은 팔면체 $Fe^{2+}$자리를 치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막들에 대한 상온에서의 VSM측정 결과, 바나듐을 작은 양 도핑 할 경우(x=0.14) $V_xFe_{3-x}O_4$의 포화자화량(saturation magnetization)은 $Fe_3O_4$ 비하여 증가함이 나타났으며, 다량 도핑 할 경우$(x\geq0.5) Fe_3O_4$에 비하여 점차적으로 감소함이 나타났다. $V_xFe_{3-x}O_4$의 보자력(coercivity)은 x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이 나타났는데, $V^{2+}(d^3)$ 이온의 팔면체 자리 치환에 의한 비등방성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EXISTENCE OF SOLUTIONS FOR FRACTIONAL p&q-KIRCHHOFF SYSTEM IN UNBOUNDED DOMAIN

  • Bao, Jinfeng;Chen, Caishe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5권5호
    • /
    • pp.1441-1462
    • /
    • 2018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fractional p&q-Kirchhoff type system $$\{M_1([u]^p_{s,p})(-{\Delta})^s_pu+V_1(x){\mid}u{\mid}^{p-2}u\\{\hfill{10}}={\ell}k^{-1}F_u(x,\;u,\;v)+{\lambda}{\alpha}(x){\mid}u{\mid}^{m-2}u,\;x{\in}{\Omega}\\M_2([u]^q_{s,q})(-{\Delta})^s_qv+V_2(x){\mid}v{\mid}^{q-2}v\\{\hfill{10}}={\ell}k^{-1}F_v(x,u,v)+{\mu}{\alpha}(x){\mid}v{\mid}^{m-2}v,\;x{\in}{\Omega},\\u=v=0,\;x{\in}{\partial}{\Omega},$$ where ${\Omega}{\subset}{\mathbb{R}}^N$ is an unbounded domain with smooth boundary ${\partial}{\Omega}$, and $0<s<1<p{\leq}q$ and sq < N, ${\lambda},{\mu}>0$, $1<m{\leq}k<p^*_s$, ${\ell}{\in}R$, while $[u]^t_{s,t}$ denotes the Gagliardo semi-norm given in (1.2) below. $V_1(x)$, $V_2(x)$, $a(x):{\mathbb{R}}^N{\rightarrow}(0,\;{\infty})$ are three positive weights, $M_1$, $M_2$ are continuous and positive functions in ${\mathbb{R}}^+$. Using variational methods, we prove existence of infinitely many high-energy solutions for the abov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