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배드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리브편 조직과 펄편 조직을 이용한 입체 니트 구조의 개발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Knit Models through Rib & Purl Structures)

  • 최원석;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1호
    • /
    • pp.109-117
    • /
    • 2010
  • 편성물은 여러 가지 형태의 편성 조직을 얻기 위해서 횡편기나 환편기 등의 다양한 니트 편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니트 편환과 조건에 의해서 편성을 하게 된다. 입체적인 형태의 니트 편지는 각기 다른 니트 편환 조직의 병용, 다양한 편사의 이용, 또는 여러 가지 가공공정 등을 거쳐서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컴퓨터화된 자동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조직인 리브편과 펄편의 편성조직을 효과적으로 혼합 편성하여 새로운 형태의 입체 니트구조를 갖는 편지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입체 니트조직을 바탕으로 하여 몇 가지 다른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는 편성물을 개발하고, 새로운 형태의 니트 패션 의복을 제작한다. 또한 리브편과 펄편에 의한 입체 편성조직의 원리와 특성 등에 대하여 논한다.

표적이 규칙적으로 움직일 때 생기는 4DCT 영상의 모션 아티팩트(Motion Artifact) 관련된 원인분석 (Analysis of Acquisition Parameters That Caused Artifacts in Four-dimensional (4D) CT Images of Targets Undergoing Regular Motion)

  • 신희순;한영이;신은혁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4호
    • /
    • pp.243-252
    • /
    • 2013
  • 본 연구는 표적이 규칙적으로 움직일 때 생기는 4DCT 영상의 모션 아티팩트(motion artifact) 관련된 원인들인 partial volume effect (PVE), partial projection effect (PPE), 각각의 프레임의 시작점 사이에 불일치(MMimph)의 원인들은 조사 및 분석을 목적으로 했다. 본 기관에서 제작된 흉부팬텀과 아크릴의 두개의 원기둥팬텀(반지름: 2 cm, 길이: 0.5 cm/ 반지름: 2 cm, 길이: 10 cm)이 규칙적인 움직이는 동안 CT을 이용하여 4D 영상을 획득했다. 촬영은 자동시작과 각각의 프레임의 시작점을 일치시키기 위해 매뉴얼로 두 가지 방법으로 시작하였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CT 캔트리 rotation time은 5초와 8초가 이용되었다. 각 프레임은 다른 위상으로 시작되었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각 프레임에서 같은 위상으로 시작되게 하기 위해 매뉴얼로 시작했다. 세번째 실험에서는 원기둥팬텀을 2초와 6초를 주기로 움직였다. 각각의 4DCT의 영상에서 표적의 부피를 구했다. 영상으로부터 구한 표적의 부피와 표적의 실제 부피와 비교를 통해 관계를 분석했다. 흉부팬텀 실험에서는 CT의 갠트리 속도가 팬텀의 움직임보다 빠를수록 PVE와 PPE의 영향이 적어짐에 따라 영상에서 얻은 표적부피는 실제에 근접했다. 각각의 프레임의 시작점이 일치할수록 움직임의 속도와 표적의 부피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원기둥팬텀에서는 흉부팬텀의 경우와 같이 갠트리 속도가 팬텀의 움직임보다 빠를수록 영상으로부터 구한 표적부피는 실제 표적부피에 근접했다. 특히 한 slice의 두께가 2.5 mm을 고려 할 때 axial방향의 PVE, PPE, 각각의 프레임의 시작점이 일치가 되는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길이 10 cm의 원기둥팬텀 실험에서는 영상에서 얻은 표적부피는 표적이 정지되었을 때 영상에서 얻은 부피와 거의 일치했다. 팬텀이 느리게 움직일수록, CT 갠트리의 rotation 시간이 짧을수록 영상에서 얻은 표적부피는 실제 부피에 근접했다. CT 촬영 시 각각의 프레임의 시작점이 같을수록 표적의 속도와 영상에서 의한 표적의 부피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CT 갠트리의 rotation 속도를 팬텀의 움직임보다 빠르게 하고, CT 촬영시 각의 프레임의 시작점을 일치시킬수록 실제의 팬텀부피에 근접하리라고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