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tilago maydi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7초

Molecu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stilago maydis Virus Isolated in Korea

  • Won, Yie-Se;Choi, Hyoung-Tae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7-180
    • /
    • 1992
  • Among 120 U. maydis strains isolated in Korea 14 different strains containing specific viral dsRNA segments were analyzed for the distribution of dsRNA and the production of toxin protein. Several distinctive dsRNA patterns were identified, 9 cases of P type with typical H, M and L ds RNA and one case of non-P-type, the frequency of a specific isolat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dsRNA segments. The presence of dsRNA had no effect on the cultural or morphological phenotype of the host. Two isolates containing P type dsRNA segments appeared to produce toxin protein (killer strains) which inhibited the growth of 4 isolates (sensitive strain) with different susceptibility. Two killer strains contain unique M dsRNA segment which may code for toxin protein. However, the presence of toxin-sensitive strains among dsRNA-free isolates was similar to that of ds RNA containing strains.

  • PDF

Ustilago maydis의 Mating 과정에 따른 Virus 유전자의 변이에 관한 연구 (Genomic Variation and Toxin Specificity of Ustilago maydis Viruses from Progeny Strains as a Result of Artificial Mating)

  • 강인식;이세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5-110
    • /
    • 1997
  • 한국에서 분리한 U. maydis에서 바이러스 혹은 dsRNA를 가지고 있는 A series와 SH series를 조합하여 옥수수에서 인위적으로 mating시켜 A45, A23, A211, A310, SH614, SH24의 6개 교배형 균주를 분리하였다. 새로운 교배형 균주에서 바이러스 dsRNA를 비교 분석하여 본 결과, mating전 양친형 균주에서 보이고 있는 H, M, L strand의 dsRNA 양상을 모두 가지고 있고 균주간 특별한 molecular exclusion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교배형 6개으 균주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바이러스로부터 dsRNA를 분석한 결과 균주간 mating시 dsRNA 재조합을 통한 새로운 encapsidation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oxin test 결과, SH614는 SH9, SH10, SH11 균주에 대해서, A310과 SH24의 2종은 SH11 균주에 대해 특이적 성장억제 현상을 보였다. 이는 mating에 따른 dsRNA의 재조합이 toxin gene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옥수수 깜부기병균에 대한 살균제 활성검정시 실내와 생체검정 결과와의 상관 (Correlations Between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for Screening Fungicides Against Corn Disease)

  • 김충회;박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7-301
    • /
    • 1996
  • 옥수수 깜부기병균에 대한 살균제 활성검정시 실내 검정과 온실 유묘검정과의 상관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5가지 살균제를 공시하여 실내와 온실에서 깜부기병균에 대한 억제효과를 비교하였다. 실내검정방법으로 사용한 최소생육억제농도법, 저지원법, 소생자발아검정법의 결과는 모두 온실유묘검정에서 얻어진 결과와 상관이 높았으며 특히 저지원법은 유묘검정결과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저지원법과 같은 실내검정방법은 대량의 활성검정시 간이검정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소금 종류 및 농도에 따른 김치 효모균의 생육특성 (Effects of Blinds and Concentration of Salts on the Growth of Yeasts Isolated from Kimchi)

  • 한영숙;권민경;현영희;송주은;오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93-399
    • /
    • 2001
  • 본 연구는 김치를 제조한 후 2$0^{\circ}C$에서 발효, 숙성시키면서 발효기간별로 효모를 순수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동정된 10종의 균주에 대해서 4종의 소금과 3가지 소금 농도(0, 3.0 및 5.0%)에서 효모의 생육도를 조사하였다. 동정된 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 Sporobolomyces albo-rubescens, Issatchenkia orientalis Cryptococcus luteolous, Ustilago maydis, Candida humilis, Pichia onychis, Cadida nitratophila, and Pichia jadinii. 이었으며, 김치 숙성 10일 이후에는 산막효모로 알려진 Pichia, Candida 등이 주를 이루었다. 소금 농도에 따른 효모의 생육도에서는 염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이 저하되었으나, 발효 초기에 분리된 Issatchenkia orientals는 내염성 효모로 5% 염농도에서도 생육이 크게 저해되지 않았다. 효모 균종에서는 Cryptococcus sp. 와 Candida sp.가 소금 농도의 증가에 따라 생육이 크게 저해되었다. 4종류의 소금 모두 발효 초기에 분리된 균주의 경우 유도기가 짧았고, 균의 증식이 빠르게 진행된 반면, 김치 숙성 10일 이후에 분리된 균주는 염농도가 증가되면서 유도기가 연장되었으며, 또한 소금 종류 중 죽염이 효모의 생육을 가장 크게 저해하였고, 그 다음으로 재제염이었다.

  • PDF

GzRUM1, Encoding an Ortholog of Human Retinoblastoma Binding Protein 2, is Required for Ascospore Development in Gibberella zeae

  • Kim, Hee-Kyoung;Lee, Yin-Won;Yun, Su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20-25
    • /
    • 2011
  • Gibberella zeae (anamorph: Fusarium graminearum), a homothallic (self-ferile) ascomycete with ubiquitous geographic distribution, causes serious diseases in several cereal crops. Ascospores (sexual spores) produced by this fungal pathogen have been suggested as the main source of primary inoculum in disease development. Here, we report the function of a gene designated GzRUM1, which is essential for ascospore formation in G. zeae. The deduced product of GzRUM1 showed significant similarities to the human retinoblastoma (tumor suppressor) binding protein 2 and a transcriptional repressor, Rum1 in the corn smut fungus (Ustilago maydis). The transcript of GzRUM1 was detected during the both vegetative and sexual stages, but was more highly accumulated during the latter stage. In addition, no GzRUM1 transcript was detected in a G. zeae strain lacking a mating-type gene (MAT1-2), a master regulator for sexual development in G. zeae. Targeted deletion of GzRUM1 caused no dramatic changes in several traits except ascospore formation. The ${\Delta}$GzRUM1 strain produced perithecia (sexual fruit bodies) but not asci nor ascospores within them. This specific defect leading to an arrest in ascospore development suggests that GzRUM1, as Rum1 in U. maydis, functions as a transcriptional regulator during sexual reproduction in G. ze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