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s' convenience

검색결과 1,096건 처리시간 0.033초

모바일 앱 서비스 특성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ffects of Mobile App Service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 김병곤;김기원;서홍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3호
    • /
    • pp.99-12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new strategy for customer service improvement by deriving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mobile app service user characteristics, system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liability, innovation, familiarity, convenience, and self-efficac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 are analyzed as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user's perceived usefulness. Second, convenience, mobility, and visibility are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 service. Third, identity, security, and expectation agreement among mobile app servic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s negative factors that do not affect users' perceived usefulness. Fourth, interactivity, familiarity, and self-efficac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 service were analyzed as positiv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effect on user's perceived ease of use. Fifth, reliability, mobility, visibility, and convenience among mobile app servic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s factors that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ease of use of app users. Sixth, identity, innovation, and secur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 service are negatively influenced by mobile app users' perceived ease of use. Sevent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obile app users is analyzed as a factor that has a very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Eighth,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mobile app users is analyzed as a factor affecting perceived usefulness positively. Ninth, the perceived ease and expectation of mobile app users are positively influenced on user satisfaction. The tent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mobile app users was analyzed as a factor having a very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sistent intention to use. For the eleventh,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mobile app users was analyzed as a factor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istent intention to use. The twelfth, mobile app user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factor having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persistent intention to use.

모바일 쇼핑 AR기술의 편리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매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R Technology's Convenience on Purchasing Intentions in Mobile Shopping: Focusing on the Regulation Effect of Purchase Satisfaction)

  • 이사정;경성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1-46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로 인해 언텍트 환경이 조성되면서 모바일 쇼핑환경에서 AR기술의 편의성이 사용자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매만족도의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SPSS에 의한 가설점증 결과, 편리성은 구매의도와 구매만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구매만족도는 편리성과 구매의도 간에 부분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는 모바일 쇼핑에서 사용자에게 AR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여 소비자들의 신뢰를 높이고, 즐거움을 제공해 사용자들이 구매의도를 유발할 수 있으며, 언택트 마케팅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들의 편의식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강릉지역을 중심으로) (Dietar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Kangreung Area on Convenience food)

  • 김혜영;정수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0-447
    • /
    • 2002
  • The usage status of convenience food, convenience food restaurants and satisfaction level was surveyed from local college students in Kangreung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more appropriate convenience food. The subjects (80.4%) answered that they are quite aware of convenience food or to some degree. They normally consumed convenience food in the convenience food restaurants (48.85%). In many cases they took it as a snack (69.6%), and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item was ramyun (45.8%). The main reason for consuming convenience food was to save time (44.8%). Regarding the price and sanitation level of convenience food, only 17.2% and 22% were satisfie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usage status an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convenience food by gender and housing status showed that the highest rate of people (46.0%) answered that, "because it is convenient" was the main reason for using convenience food restaurants. Female students (P$\leq$0.014) and the students staying away from home used convenience food restaurants more often than male students and the students staying in their own homes. Especially the students who have to cook for themselves fell into the high rate of convenience food restaurant users (P$\leq$0.001). The convenience food restaurant with the highest usage rate was hamburger restaurant (38.8%).

문헌분류방식에 따른 도서탐색용이성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과 대형서점의 분류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venience in Finding Books According to Classifications: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s in Public Libraries and Bookstores)

  • 오경은;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42
    • /
    • 200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과 대형서점 이용자의 요구 및 이용행태가 유사하다는 가정 하에 두 기관의 분류방식의 분석을 통해 이용자의 도서탐색을 용이하게 해주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형서점의 방식으로 공공도서관의 장서를 분류하는 것을 제안하기보다는 공공도서관과 대형서점 분류방식의 어떤 특징이 탐색을 용이하게 하는지를 알아보아, 공공도서관에서 보다 편리한 분류를 제공하기 위해 고려할 점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도서탐색의 특징과 공공도서관과 대형서점의 분류방식을 조사 분석한 후 설문지법을 통해 이용자의 도서탐색목적과 탐색영역, 탐색기준을 알아보고, 공공도서관과 대형서점의 분류표를 바탕으로 탐색에 더 편리한 분류방식과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용자들은 대형서점의 분류방식이 도서탐색에 더 편리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사용자 질의패턴 분석을 이용한 효율적인 확장검색어 추천시스템 (An Efficient Extended Query Suggestion System Using the Analysis of Users' Query Patterns)

  • 김영안;박건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7C호
    • /
    • pp.619-626
    • /
    • 2012
  • 주요 검색엔진들은 확장 및 연관검색어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질의어 확장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수의 사용자가 많이 찾는 검색어 즉, 대중성을 근거하여 제공되는 확장 및 연관검색어 추천 서비스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마다 생각하는 차이가 존재하며 선호하는 질의 및 관심 분야도 다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정보요구에 적합한 효율적인 확장검색어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 웹 사용자의 정보검색 과정에서 최초 질의어 입력 후 질의어 확장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평가결과 제안시스템은 검색엔진에서 추천하지 못한 구글 41% 및 야후 48%의 확장검색어를 추천할 수 있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대중성 기반으로 추천되고 있는 확장 및 연관검색어 추천 서비스의 한계를 보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중국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품질 특성이 이용자의 지속이용의 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hinese Live Commerce Service Quality Characteristics on Users' Continuous Use Intention)

  • 왕금암;이승배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433-448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users' continuous use intention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in China. Design/methodology/approach - Social presence, influence of information source (Wang Hong), convenience, marketability, reliability,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ocial influence were selected as elements that affect the perceived value of users, and an assumption that perceived value would affect continuous use intention was set. 515 samples were obtained from Chinese consumers through a Chinese online questionaire survey. IBM SPSS 26 and AMOS was used for statistical testing. Findings - First, social presence, Wang Hong, convenience, marketability, and reliability, which 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services, affect the perceived value of users and user's continuous use intention. Second, the perceived value of user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service and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Third, personal innovativeness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live commerce service quality on the perceived value of e-commerce users. Fourth, among the relativ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relative effect of reliability is the greatest followed by that of convenience, marketability, and Wang Hong, in order of precedence, and the effect of social presence is the smalles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South Korean government's plan to support for advancing into live commerce in China were presented as strategic implications for exporting South Korean products to China through online services including live commerce.

전동 보행보조기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제어기 설계 (Design of the control Algorithm for Improvement of the Convenience the Active-type Walking Aid)

  • 이동광;공정식;고민수;강성재;이석민;이응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7-25
    • /
    • 2011
  • 본 논문은 전동 보행보조기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제어 이득을 찾고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최근 노인의 인구가 의료 기술의 발달로 급속히 증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이동형 보행보조기구는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형 제품 중 수동형 보행보조기는 노인의 보행의 힘을 도와주는 전동모터를 가지고 있지 않아 노인들이 충분한 근력이 없기 때문에 경사로 및 문의 문턱 등 고르지 않는 지형에서 이동하는데 제안사항이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전동타입의 보행보조기를 개발하였다. 전동형 보행보조기는 수동형과 다르게 사용자가 조작을 해야 모터가 구동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조작을 잘못 하였을 경우 상당한 불편함을 사용자에게 준다. 이러한 전동형 보행보조기를 수동형 보행보조기와 비교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판단하고 기준을 만들어 사용자의 편의성에 대하여 제어 값을 변경하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의지를 인식하고 편의성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인 햅틱 센서를 소개하며 편의를 개선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편의성의 평가는 COV(Center of Vehicle)와 사용자의 COP(Center of Position)과의 차이의 변화를 통해 상대적인 편의성을 평가하였다. 전동 타입 보행보조기와 새로운 측정방법을 도입하여 모든 과정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 하였다.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Standardized Operation Criteria for Enhancement of Safety and Convenience of Mobile Electronic Notice Service

  • JongBae,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547-554
    • /
    • 2022
  • Due to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the demand for user identification for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Recently, mobile resident registration cards, mobile driver's licenses, etc. are installed in mobile phones and used for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services. In order to identify a user onlin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user is required. In particular,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ly to online user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eliver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owned by the user. To make this service possible, it was realized with the advent of mobile electronic notice service.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online service users and information on mobile devices owned or subscribed by the relevant users require safe management as personal information, and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online service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erating standard for providing a mobile electronic notice service that sends electronic notice using a mobile device owned by the user. The mobile electronic notice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notices expressed in electronic information to the recipient's cell phone, mobile app, e-mail, etc. Therefore, as the use of mobile electronic notification service increases and the provision and use of connecting information to identify users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obile electronic notification service while safely protect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SERA Web-Viewer :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웹 브라우저 설계 및 구현 (Sera Web-Viewer : a Convenience-Featured Web Browser)

  • 조영석;김재훈;장익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61-72
    • /
    • 2007
  • 우리는 웹 브라우저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목표로 4가지 편의 기능이 통합된 브라우저인 SERA Web-Viewer를 개발하였다. 편의 기능으로는 VPV(Visited Page Viewer), APV(Aligned Page Viewer), USC(User Specified Capture)등이 추가되었으며 UCC(User Created Content)의 핵심 기술인 FLV(FLash Video file) 변환을 위한 VAC(Video and Audio Converter)를 부가기능으로 통합하였다. 편의 기능들은 사용자들이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며 가장 필요로 하는 기능들로 웹브라우저의 사용 빈도가 잦고 사용 시간이 긴 고급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바에 따랐다. 위의 네 가지 통합 기능에 대한 구현 상의 알고리즘과 기술을 제안하였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6.0의 렌더링(rendering) 기술을 이용한 MDI application 기반의 구현 방법을 코드를 통해 설명한다. 구현된 결과를 134명의 컴퓨터학 또는 멀티미디어 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와 비교하여 통합된 편의 기능들이 웹 브라우저 사용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 PDF

웹툰 서비스의 사용편리성과 상호작용적 행위가 서비스 만족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ebtoon User's Perceived Usability and Interactivity on Service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Pay)

  • 채정화;한창완;이영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8호
    • /
    • pp.259-286
    • /
    • 2015
  • 오늘날 미디어 세대는 양방향 소통이 일상적인 행위로 콘텐츠를 이용할 때 수동적으로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기표현의 욕구를 표출한다. 스마트 미디어 환경의 도래로 수많은 인터넷 기반의 콘텐츠들 가운데 웹툰이 급부상하였으며, 웹툰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호작용 행위는 웹툰 시장의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웹툰 서비스의 이용 동기와 서비스의 특성(사용 편리성)이 플랫폼에서의 상호작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웹툰 서비스의 이용 만족도와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웹툰 서비스 이용 동기는 정보 획득 동기와 오락 및 접근 수월성 동기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동기 요인은 웹툰 서비스 이용시 콘텐츠와 이용자 간 상호작용 행위와 이용자들 간 상호작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며, 정보 획득 동기보다는 오락 및 접근 수월성 동기가 상호작용 행위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서비스의 사용 편의성은 정보검색 편의성과 서비스 이용 편의성으로 구분되는데, 이 가운데 이용자들이 댓글을 달고, 웹툰을 공유하는 행위를 수월하게 만드는 서비스 편의성이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웹툰 이용 만족도와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이용 만족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정보검색과 서비스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수록, 그리고 이용자들 간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지불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웹툰 서비스의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웹툰의 공유와 추천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서비스 환경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웹툰 이용자들의 상호작용 행위가 확대되고 웹툰에 대한 지불의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