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ser-Oriented Interface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4초

4단자망을 아용한 고장계산에 관한 연구 (Short-Circuit Calculation Using Tow-Port Network)

  • 김주용;이재용;백영식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3권4호
    • /
    • pp.533-542
    • /
    • 1994
  • This paper presents the new algorithm for fault analysis and this algorithm obtains requisite term for fault analysis by the two-port network technique. Therefore, the fault calculation time is composed of only few fundamental arithmetic calculation. The graphic user environment for fault analysis is implemented in mouse-oriented user interface with window and pull-down menu. The result of the algorithm proved to be identical with the sample system in Ref.[8]. this package can be a useful tool for fault analysis.

4 단자망을 이용한 고장해석 (Fault Analysis, Using Two-Port Network)

  • 김주용;백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124-127
    • /
    • 1993
  • This paper presents the new algorithm for fault analysis and the fault analysis package for executing this algorithm. This algorithm obtains requisite term for fault analysis by the two-port network technique. Therefore, the fault calculation time is minimized because ${Y_{BUS}}^{-1}$ calculation time is removed. And, the graphic user environment for fault analysis is implemented in mouse-oriented user interface with window and pull-down menu. Therefore, this package can be a useful tool for fault analysis.

  • PDF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앱 개발 및 만족도 연구 (Development and User Satisfaction of a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Image-based Dietary Assessment)

  • 김서윤;정상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85-494
    • /
    • 2017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image-based dietary assessment and evaluate satisfaction regarding respondent's use of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Methods: We developed a mobile phone application to assess dietary intakes using 24 hour dietary recall. After initial development, application was reviewed by ten adults and revised based on their comments. We recruited 192 volunteers (92 males, 100 females) to use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and to respond to a satisfaction survey.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use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with fiducial marker five centimeter in width, length and two centimeter height at each eating occasion during designated 4 days, capturing $45^{\circ}$ angle and $90^{\circ}$ angle images of all food and beverage items before and after consumption. After using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4 day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n online questionnaire on the satisfaction of the mobile phone app. User satisfaction items composed of 12 questions of application user interface, 8 questions of emotional response, 9 questions of eating behavior in 5 likert scale.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provide additional open-ended comments on the use of mobile phone applic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Results: The average user interface score was $2.82{\pm}1.08$, which was close to the 'normal' response. Responses for emotion and eating behavior also were borderline to the 'normal'.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using 24-hour recall was acceptable to be used to assess dietary intakes for several days. However, there should be a need for such technology to be user-oriented instead of researcher-oriented. Easy and cost-effective new technology is needed for estimating the amounts of food eaten automatically when the photos are taken.

A Two Layered Approach for Animation Sketching

  • Sohn, Ei-Sung;Jeon, Jae-Woong;Park, Tae-Jin;Sohn, Won-Sung;Lim, Soon-Bum;Choy, Yoon-Chul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736-1744
    • /
    • 2009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nimation sketching system using a two layered approach. Animation sketching is a popular technique to create informal animations but it is often suffered by the low-quality output due to a trade-off between convenience and complexity. Our aim is to support sketching practical animation scenes easily and fast while not complicating the simple sketching interface. The key idea is to combine two conceptual stop motion layers, a whiteboard and cutout animation layer, in a seamless interface. As a background, the whiteboard animation layer handles stroke-oriented objects, while the cutout animation layer takes charge of transform-oriented objects. We found that this approach enables users to express more complicated animation fast while still maintaining a concise sketching interface. We demonstrate the usability and flexibility through resulting animations from user experiments.

  • PDF

PSS 기반 4D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한 시니어를 위한 비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Bidet Product-Service Design for Seniors by PSS-based 4D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Model)

  • 서홍석
    • 감성과학
    • /
    • 제25권1호
    • /
    • pp.29-4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데를 아이템으로 선정해 시니어의 특성과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하였다. 최근 초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나 시니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시니어를 위한 PSS 개념의 서비스디자인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4D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활용하여 시니어의 특성과 니즈를 반영한 '시니어 중심의 비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PSS 개념에 기반하여 '4단계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시니어 대상 질적 리서치를 수행하여 시니어의 특성과 니즈에 따른 사용자 가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품서비스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실무 전문가 그룹의 유용성 리뷰를 반영한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용자 맞춤 기능 설정 가이드 스마트 앱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비데와 스마트 폰이 연동되어 사용자 특성 정보와 비데 제품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해석하여 맞춤 기능을 가이드해주는 앱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둘째, '사용자 중심의 제품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조작부 및 리모컨 UI를 제안하였다. 시니어의 사용성 및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주 기능 중심의 구성과 과업(Task) 순서에 따른 버튼 배치, 터치 화면형 리모컨 등 단순하고 직관적인 Physical UI를 제안하였다. 셋째, 정기적인 제품 점검뿐만 아니라 사용자 건강 및 사용 공간의 위생, 청결 등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과 헬스/위생 케어가 연계된 비데 케어서비스'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용자(시니어)의 비데 제품 사용 과정(사용 전-중-후)에서의 페인포인트(Pain Point) 및 요구를 발견하고 개선하여 사용자 경험과 관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일련 자료 처리를 위한 시각적 객체 기반 모델러 개발 (Development of a Graphical Modeler for Manipulating Series Data Based on Object-Oriented Technique)

  • 김태곤;이정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2호
    • /
    • pp.43-49
    • /
    • 2009
  • Many researcher uses simulation techniques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and expecting the response. Simulation techniques have many advantages which is less time-consuming, easy to control constraints, and cheaper than experimental study. However Researches usually are not good at programming the model, it's hard to implement simulation model using computer language. They use spreadsheet program like Microsoft $excel^{TM}$ Although a spreadsheet program is good for modeling, it's cumbersome to describe expressions which consist of not variable name but location indicator. This study suggests the program which helps researcher developing model using graphical interface and variable name. For verifying usability, the model which is implemented by developed modeler were compared with by spreadsheet program.

사용자 경험을 위한 인터랙션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Interaction Space Design for User Experience - Focusing on the Digital Media -)

  • 김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8-56
    • /
    • 2012
  • Digital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is entering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and ubiquitous computing, and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Based on new media method's 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a wide range of forms as digital design is made possible. A large part of our living such as information sharing, collaboration, production, recreation, working and various social activities has been realized from the space that digital media offer. As we see a much broader range, the digital media's diverse expressions affect, in interactive ways,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ings, between each individual human, and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but also even emotional purification and realm of educational, cultural, and social aspect. In this study, the aim is to discuss the user-centered design considered for integration into the interaction space design method and is to concentrate on research on. Focusing on digital media, user-friendly interface features of the space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have been applied to try to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 of space that is created for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various applications and will seek ways. Thus, various case-studies have been explored where interface space is developed, creating virtual reality through cognitive basis and 3-D interface space. For example, emotional expressions are embedded for the space of commerce, education and exhibition, enabling intercommunication through haptic interface, with changing sound and visual effects which are caused by the movement of people in a certain space. With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objects, interactive design should be achieved by providing a human oriented interface based on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 PDF

사용자 경험을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디자인 (Flexible display interface design for user experience)

  • 이영주;강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287-292
    • /
    • 2018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기술이 중심이 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환경은 우리의 상상을 현실의 다양한 경험으로 바꾸어주었다. 고도의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과 기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탄생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시장을 다변화시키고, 사물인터넷등과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내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는 입력 또는 출력의 결과로 물리적 형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의 연구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물리적 변형과 특성에 대해 문헌과 사례조사를 통해 연구했다. 연구 결과 사용자 경험을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둘째, 인터페이스를 활용함에 있어서 다중 사용자의 시야각에 방해 요소는 제거되어야 한다. 셋째 터치와 접촉 이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가능한 사용자의 모든 조작행위가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가변적 상황에 따라 사용자 경험을 위한 인터페이스디자인도 달라져야 한다. 위 가이드라인은 향후 다양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출시된 후, 실증적인 사용자 경험에 대한 분석과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화기 숫자 자판을 이용한 대화형 한글 문자 입력 방법 (An Interactive Hangul Text Entry Method Using The Numeric Phone Keypad)

  • 박재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5호
    • /
    • pp.391-400
    • /
    • 2007
  • 휴대용 단말기의 숫자 자판을 이용해서 보다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형 방식을 제시하였다.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의 해당 자소가 있는 키를 한 번씩 눌러 키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 시퀀스에 대해 조합 가능한 모든 글자를 발생 시키고 사용자는 발생된 글자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방법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수동적이고 일차원적인 자소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상호 작용이 가능한 입체적인 글자 중심의 방법으로 개선 가능하다. 이 방법은 최종 글자의 입력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글자 선택의 과정이 부가적으로 필요하지만, 기존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인 멀티탭과 불분명한 음소의 결정을 위한 키 조작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다. 또한 모든 글자의 입력이 필기 순서와 동일하게 기본 자소에 의해 입력이 가능함으로 사용자의 문자입력에 대한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장단점을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자동차 내비게이션 개발을 위한 페르소나 모델 연구 (A Study on Personas Models for Car Navigation Developing)

  • 오세형;김정희;최학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63-171
    • /
    • 2010
  • 본 연구는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로 각광받고 있는 알랜 쿠퍼의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 근거한 페르소나모델 설정의 실제 과정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심층 인터뷰와 FGI를 진행하여 사용자 집단의 내비게이션 사용 특성과 동기를 추출하고, 사용자 집단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페르소나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집단을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는 빈도와 내비게이션의 기능 이해도에 따라 3가지 타입의 사용자층으로 나누었다. 이 3가지 유형은 활용도가 낮고 기능이해도가 낮은 모델, 활용도가 중간이고 기능이해도가 높은 모델, 활용도가 높고 기능 이해도가 높은 모델의 3가지 유형의 페르소나를 설정하는 기반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출된 3가지 유형의 페르소나는 추후 진행된 사용자 중심 정보구조의 설계에 기반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