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teractive Hangul Text Entry Method Using The Numeric Phone Keypad

전화기 숫자 자판을 이용한 대화형 한글 문자 입력 방법

  • 박재화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An interactiv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numeric phone keypad, which is applicable for mobile devices is introduced. In the proposed method, user only selects the corresponding keys by single tapping, for the alphabet of Korean letter which is desired to enter. The interface generates the subset of eligible letters for the key sequence, t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letter in the set. Such an interactive approach transforms the text entry interface into a multi-level interactive letter-oriented style, from the preexisting passive and single-level alphabet-oriented interface. The annoyance of key-operations, the major disadvantage of the previous methods, derived from multi-tap to clear the ambiguity of multi-assigned alphabets for the Hangul automata, can be eliminated permanently, while the additional letter selection procedure to finalize the desired letter is essential. Also the complexity of Hangul text entry is reduced since all letters can be compounded from basic alphabet selection of the writing sequence order.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the proposed method are analyzed through comparing with pre-existing method by experiments.

휴대용 단말기의 숫자 자판을 이용해서 보다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형 방식을 제시하였다.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의 해당 자소가 있는 키를 한 번씩 눌러 키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 시퀀스에 대해 조합 가능한 모든 글자를 발생 시키고 사용자는 발생된 글자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방법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수동적이고 일차원적인 자소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상호 작용이 가능한 입체적인 글자 중심의 방법으로 개선 가능하다. 이 방법은 최종 글자의 입력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글자 선택의 과정이 부가적으로 필요하지만, 기존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인 멀티탭과 불분명한 음소의 결정을 위한 키 조작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다. 또한 모든 글자의 입력이 필기 순서와 동일하게 기본 자소에 의해 입력이 가능함으로 사용자의 문자입력에 대한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장단점을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수영, '이동 전화 이용에 관한 연구 ; 음성통화 서비스와 문자 서비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 언론 학회, 제47권, 5호, 2003
  2. 최재혁, 정재열,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한국어 별명 생성을 위한 전화기 한글 자판과 생성 방안', 한국 정보처리 학회 논문지, 제9권, 2호, 2002
  3. 구민모, 이만경, '전화기 자판의 한글 입력 효율성 평가 모형',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지, 8권, 3호, pp. 295-304, 2001
  4. 김상환, 김경희, 명노해, '이동전화 한글입력시스템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평가에 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28권, 2호, pp 193-200, 2002
  5. 이남식, 김호성, 신찬수, '전화기 버튼을 이용한 한글입력방식에 대한 고찰',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권, pp. 326-332, 1997
  6. 조찬식, '인터넷상에서 언어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권 4호 pp. 177-196, 2001
  7. 임규홍, '컴퓨터 통신언어에 대하여', 배달말 27집 배달말 학회, 2000
  8. M.D. Dunlop and A. Crossan, 'Predictive text entry methods for mobile phones', Personal and Ubiquitous Computing, Vol 4 No 2-3, pp. 134-143, Springer, June 2000 https://doi.org/10.1007/BF01324120
  9. T Stocky, A Faaborg and H Lieberman, 'A Commonsense Approach to Predictive Text Entry', Proc. Conf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163-1166, 2004 https://doi.org/10.1145/985921.986014
  10. R. Myung, 'Keystroke-level Analysis of Korean text entry methods on mobile phones', Int J. Human Computer Studies, 60 pp. 543-563 Elsevier, 2004
  11. http://www.t9.com
  12. http://www.motorola.com
  13. http://www.zicorp.com

Cited by

  1. An Effective Hangul Modification System Using Jamo Modification Window vol.8, pp.10, 2013, https://doi.org/10.13067/JKIECS.2013.8.10.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