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Immersion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2초

VR점포의 생동감이 점포 몰입과 쇼핑경험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R Store Vividness on Immersion and User Satisfaction)

  • 윤남희;이하경;이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559-572
    • /
    • 2021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VR (Virtual Reality) store vividness, which is one of VR shopping environmental features used in previous research, on us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immersion between VR store vividness and user satisfaction is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is also explored since the effects of vividness and immersion on user satisfaction may depend on a consumer's perceived shopping self-efficacy. A total of 58 participants experienced a VR store with the Oculus Go VR headset. To test the hypotheses, model 14 of Process Macro 3.4 is used (95% Confidence Interval). According to the results, immersion mediated between VR store vividness and user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immersion and self-efficacy on user satisfaction. When a consumer experiences high immersion at a VR store, consumers may have a strongly positive experience, especially among those who have a perceived low shopping self-efficacy.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the Reuse Intention of a Chatbot: Focusing on User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Immersion

  • Kim, Minjin;Chang, Bye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4호
    • /
    • pp.1-15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hatbot service quality (process quality, outcome quality, and servicescape quality) on us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r satisfaction, reliability, immersion, and the paths of three variables influencing reuse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f Korean users in their teens and 70s who had experience using chatbot services. A total of 218 convenience samples were extracted and the data analyzed. By the IS success and SERVQUAL model,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the chatbot service quality did not affect us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However, us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the chatbot services were shown to lead to reuse intention, and user satisfaction was shown to affect immersion and immersion in reli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immersion in the chatbot services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hatbot reuse intention. Through the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gained through the service, the users wanted to reuse the chatbot services, especially the chatbot services that gained reliability, which will have a greater impact on reuse intention. We can use these results as marketing information to attract loyal customers by identifying the reuse intention of the chatbot service users.

게임구성요소와 몰입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Interrelations between Game Components and Flow)

  • 박상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9-823
    • /
    • 2006
  • 게임에 있어서의 몰입은 게임을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사용자가 게임에 몰입하지 못한다는 것은 게임에 흥미를 느끼지 못해 결국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을 포기하게 한다. 그러므로 게임이 가지고 있는 몰입 요인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몰입을 유발하는 요소들을 게임개발에 적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는 게임의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게임 개발사에게는 높은 수익창출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초고조의 몰입 상태를 경험하게 하기 위해서 게임 안에 존재하는 몰입의 요인과 게임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 PDF

From Technology to Cont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VR Flow Experience

  • Sang, YuanZi;Kim, KiHong;Pan, Y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93-101
    • /
    • 2022
  • Immersion is a features of VR technology, and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evaluating VR experience. With the improvement of VR technology, including the presentation accuracy of VR content, the degree of interaction is diversified, the user's immersion in VR equipment should not only be improved technically, but researched from the user's perception level. The paper defines two important factors, immersion and presence, in a participant's experience with a VR device. Although the current technology can already simulate the real environment information visually and audibly, the content of the VR environment is not enough for us to achieve a completely real experience. Based on the Flow theory of Csikszentmihalyi and the sensory immersion achieved by current technology, this paper proposes the key factors of how to achieve conscious immersion for users in VR media. We prove that immersion is an indicator of the true degree of sensory simulation of VR equipment and is the basis for the realization of flow experience. What really makes the participant feel a perfect experience is the content provided by the VR environment and gave participants a sense of presence, it is not limited to video or games. On the premise of the Multi-Sensory, Immersion, Interactivity and Imagination experience achieved by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combined with the content creation of flow theory, the interactive immersion achieved by users is an important method to realize the awareness immersion of VR equipment.

그래픽 정보에서의 시각단서 적용에 따른 몰입과 재인 성향 (Tendency of Immersion and Recognition on Application of Visual Cue in Graphic Information)

  • 권효정;이화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74-1183
    • /
    • 2012
  • 본 연구는 다변화된 정보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시각 몰입과 재인 과정에 시각단서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와, 시각정보 구조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리하여 최신 그래픽 정보 사용자 트렌드를 고려하여 과학적인 도구와 주관적 내면 평가를 활용한 평가모형을 설계하고, 보다 체계적인 실험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몰입과 재인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최신의 디바이스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그래픽 정보 사용자의 기초설계모형과 표준 평가 모형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이브리드 센싱 기반 다중참여형 가상현실 이동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User Virtual Reality Moving Platform Based on Hybrid Sensing)

  • 장용훈;장민혁;정하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55-372
    • /
    • 2021
  • Recently, high-performance HMDs (Head-Mounted Display) are becoming wireless due to the growth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Accordingly, environmental constraints on the hardware usage are reduced, enabling multiple users to experience virtual reality within a single space simultaneously. Existing multi-user virtual reality platforms use the user's location tracking and motion sensing technology based on vision sensors and active markers. However, there is a decrease in immersion due to the problem of overlapping markers or frequent matching errors due to the reflected light.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user virtual reality moving platform in a single space that can resolve sensing errors and user immersion decreas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hybrid sensing technology was developed, which is the convergence of vision sensor technology for position tracking,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motion capture technology and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based on smart gloves. In addition, integrated safety operation system was developed which does not decrease the immersion but ensures the safety of the users and supports multimodal feedback. A 6 m×6 m×2.4 m test bed was configur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user virtual reality moving platform for four users.

컴퓨터게임에서 유저의 게임플레이 숙련도 측정 방법 (Measurement Method of User's Gameplay Skill Level in a Computer Game)

  • 장희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3-34
    • /
    • 2012
  • 컴퓨터게임은 재미를 위해 유저에게 지속적인 몰입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몰입이론[5]에 따르면 플로우 몰입상태는 유저의 게임숙련도와 게임 난이도가 균형을 유지해야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컴퓨터게임은 게임난이도를 자동조절할 수 있지만 유저의 게임숙련도는 게임의 상황과 개인의 성향 및 경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게임도중에 즉시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게임 자체적으로 유저의 게임플레이 숙련도를 게임 도중에 즉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측정대상 컴퓨터게임이 설계 및 구현단계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되어야만 한다. 제안하는 방법과 게임 난이도의 자동조절 방법을 사용하면 컴퓨터게임은 지속적으로 유저의 플로우 몰입상태가 발생할 수 있도록 게임난이도와 유저의 게임숙련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중국 유학생의 한국 드라마 및 오락 프로그램 몰입 결정 요인 (Determinants of User Immersion for Korean Drama and Entertainment Genre Programs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마사;전범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11-119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TV 드라마에 따른 한국 내 중국 유학생들의 프로그램 몰입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유학생들의 몰입도를 살펴보면, 드라마보다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드라마가 이야기 구조와 스타 등장에 의존하는 콘텐츠라면 오락 프로그램은 보다 역동적이며 즐거움의 정도가 높기 때문에 중국 유학생들의 몰입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둘째,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를 성별, 한국어 능력 수준별, 한국 체류 기간별로 구분해서 평균값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로는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한국어 능력 수준이나 오락 프로그램에 대해 한국 체류 기간별 차이는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드라마 몰입도는 한국 체류 기간이 오래될수록 몰입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드라마 몰입도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독특성, 한국 체류 기간, 드라마 장르 선호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독특성, 스타 출연, 오락 장르 선호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강현실기술이 적용된 3D 인형놀이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hree dimensional paper doll development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김태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97-302
    • /
    • 2014
  • 증강현실이란 실세계의 오브젝트에 가상의 오브젝트를 증강시키는 기술로 현실세계에 디지털 정보를 시각화 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증강현실은 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실시간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사용자와 컴퓨터간 상호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전달은 물론 지각능력에 도움을 주며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여주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VRML로 모델링된 3차원 객체를 프로그래밍을 통해 3차원 데이터가 증강되는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또한, 가상물체들의 조합을 통해 3차원 아바타 및 다양한 가상의 의상들을 증강시키는 응용기술을 제안하였다. 게다가, 사용자가 직접 마커를 움직여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 시킬 수 있었다.

시각적 몰입감 향상에 관한 VR 게임의 사용자 평가 연구 (A Study on User Evaluation of VR Games on Improving Visual Immersion)

  • 이랑구;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07-413
    • /
    • 2022
  • 본 연구는 초기 연구를 통해 제작하고 개발한 'COVID-19 SABER' VR 게임의 기술적, 내용적 구성 요소가 사용자의 시각적 몰입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자 체험과 설문을 통해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먼저, 기술적 구성 요소의 해상도, 시야각, 이펙트, 디자인 품질에 관한 가설은 채택되었고, 프레임 레이트, 조명의 밝기에 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다음으로, 내용적 구성 요소의 가설은 배경, 연출, 색상과 질감, 흥미와 재미에 관한 가설은 채택되었고, 스토리텔링에 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정리하면, VR 게임의 시각적 몰입감 향상을 위해서는 기술적 구성 요소의 해상도, 시야각, 이펙트, 디자인 품질과, 내용적 구성 요소의 배경, 연출, 색상과 질감, 흥미와 재미를 중심으로 설계하고 제작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사용자의 시각적 몰입을 유도하고 향상할 수 있는 VR 게임의 제작 및 개발 분야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