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27s Selec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한 숲놀이 활동 및 공간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duction of the Forest Play Activity and Space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 강태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9-81
    • /
    • 2018
  • 최근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된 조경공간계획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워크숍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유아숲체험원의 조성에 대한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기본적인 필요와 요구를 담은 계획요소(숲놀이 활동과 공간)를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해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아발달상의 요구가 충족된 유아 참여디자인 주요 도구를 선정하고, 단계별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사전 워크숍단계에서 유아참여(K유치원 6, 7세 통합반 41명) 결과를 통해 계획요소의 표준유형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본 워크숍단계에서 대상지(송산물빛유아숲체험원)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참여유아(사전워크숍 참여유아)들의 선택을 통해 도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 참여과정에서 사용된 도구는 사전워크숍에서 '그림그리기', 본 워크숍에서 계획요소 표준유형 차트(숲놀이활동 픽토그램 차트, 숲놀이공간 실사이미지 차트)이다. 그 결과, 첫 번째 도출된 숲놀이 활동의 표준유형은 38개이다. 인지놀이 27개(기능 16, 구성 4, 상징 4, 규칙 있는 게임 3), 기타 놀이 9개(감각(탐색) 5, 기타 4), 사회놀이 2개(혼자, 집단) 유형으로 구성된다. 숲놀이 공간의 표준유형은 21개이다. 놀이시설 공간 8개(시설 5개, 자연 3개), 수공간 2개 외 5 공간 11개로 구성된다. 두 번째, 대상지에 적용한 결과,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활동은 전체적으로는 기능놀이가, 단위활동으로는 오르기와 물놀이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또한 유아발달놀이 측면에서는 기능, 구성, 상징, 규칙 있는 게임, 기타 놀이가 고르게 선택되었다.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공간의 경우, 유아의 성별 나이별 선택결과는 유아의 전체 선택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남아는 여아보다 신체, 모험 등의 기능놀이공간을, 여아는 남아보다 쉼터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유아의 숲놀이 행태에 대하여 직접 관찰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유아들이 대상지를 인지하고, 대상지 내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참여디자인 워크숍 과정과 과정별 도구들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축 적용된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유아숲체험원 조성계획 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로서 가치가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환경에 기초한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사례연구-P 대학의 종합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the Client/Server System)

  • 한용호;류영태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0권1호
    • /
    • pp.27-5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m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with today's fast-paced, ever-changing, and exciting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 Especially, it was focused to investigate current information technology related to develop information systems, to find some important problems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o suggest solutions for the problems. Cas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because a natural setting was needed and a focus was on contemporary events for this study. Similarly, research phenomena was not supported by a strong theoretical base. The case was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in a specific university. Multiple-case designs were desirable, but single-case study was used because of limitations of site selection. Multiple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such as documentation, interviews, and direct observation. Some major problems were found during the system development. First, the schedule to complete a project was delayed over six months. Second, the system did not ensure to align organizational goals and information systems goals based on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Third, there was a difficulty in evaluating request for proposal (RPR) returns and choosing a vendor. Finally, information technology is changing too fast. So, it was very difficult to get the transparency of new technology The study has suggested a few solutions: top management support, matching If planning with business planning, complete project plan and control, user participation, and training Finally, joint application development (JAD) is strongly recommended, which is a workshop that unites management, IT specialists, and knowledge workers to define and specify the logical requirements and technical alternatives for a proposed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