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 Zon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2초

An extension plan of Yakushima Biosphere Reserve as a case study of consensus building of islanders

  • Matsuda, Hiroyuki;Yumoto, Takakazu;Okano, Takahiro;Tetsuka, Kenshi;Fujimaki, Aomi;Shioya, Katsunor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241-247
    • /
    • 2015
  • A participatory approach of local stakeholders is important to create a balance between nature protection and the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in a nature reserve and its vicinity area. The zoning and management policy of biosphere reserves (BRs) is a good example of this idea, especially for island reserves. Yakushima was inscribed as a World Natural Heritage (WH) in 1993. Almost all of its residents did not remember that Yakushima was a BR. In addition, Yakushima has some problems in nature reserve management. Overabundance of the deer population is a critical threat to both agriculture and natural vegetation in the world heritage site. There are too many tourists visiting the WH site and Nagata-hama beach. The beach is a Ramsar site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spawning grounds of sea turtles in the north Pacific. Now, residents and the municipality have decided to reactivate the Yakushima BR. Although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of Japan has an initiative to manage the WH and the Ramsar site, the BR is managed by the municipality and local stakeholders. Local activities of both nature conservation and the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are encouraged in the BR site. The islanders willingly included all areas of the island into the BR site. Scientis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ociety of Yakushimaology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build trust between local stakeholders and to seek feasible policies on the nature reserves. The concept of the "Yakushima Environmental Culture Village" is a good model for the extension plan of the Yakushima and Kuchinoerabujima BRs.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30년 도시 확장 예측 (Urban Sprawl prediction in 2030 using decision tree)

  • 김근한;최희선;김동범;정예림;진대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25-135
    • /
    • 2020
  • The uncontrolled urban expansion causes various social, economic problems and natural/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ecast urban expansion by identifyi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urban expansion. This study aims to forecast it using a decision tree that is widely used in various areas. The study used geographic data such as the area of use, geographical data like elevation and slope,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and population density data for 2006 and 2018. It extracted the new urban expansion areas by comparing the residential, industrial, and commercial zones of the zoning in 2006 and 2018 and derived a decision tree using the 2006 data as independent variables. It is intended to forecast urban expansion in 2030 by applying the data for 2018 to the derived decision tree. The analysis result confirmed that the distance from the green area, the elevation, the grade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and the distance from the industrial area were important factors in forecasting the urban area expansion. The AUC of 0.95051 showed excellent explanatory power in the ROC analysis performed to verify the accuracy. However, the forecast of the urban area expansion for 2018 using the decision tree was 15,459.98㎢,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ctual urban area of 4,144.93㎢ for 2018. Since many regions use decision tree to forecast urban expansion, they can be useful for identifying which factors affect urban expansion, although they are not suitable for forecasting the expansion of urban region in detail. Identifying such important factors for urban expansion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future land,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공간사용 규제가 택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간가중회귀분석 - 장유 신도시지역을 대상으로-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on the Effect of Regulation of Space Use on the Residential Land Price - Evidence from Jangyu New Town -)

  • 강순덕;박세운;정태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27-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의존성을 반영한 공간가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용도지역과 같은 공간사용규제가 택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로는 도로접면, 토지의 형상, 면적 및 경과연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신도시지역인 경남 김해시 장유지역의 토지거래 실거래가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통적인 회귀분석의 결과와 공간가중회귀분석의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공간가중회귀모형의 분석 잔차의 Moran's Index가 OLS모형의 잔차보다 26% 감소하여 잔차의 자기상관이 상당히 개선되었고 설명력도 약간 높아졌다. 전통적 회귀분석 및 공간가중회귀분석에서 점포 겸용 택지 더미변수는 음의 부호를 나타내 기준변수인 주거전용지역 택지보다 택지가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점포 겸용 택지는 용적률과 건폐율이 높아서 토지의 공간적 활용성은 높지만 평지에 위치해 있어 택지로서의 메리트가 크지 못한 반면에, 전용주거지역은 산자락의 완만한 언덕에 위치하여 좋은 경관과 깨끗한 공기를 누릴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결과로 볼 때 단순히 용적률과 건폐율을 높이는 것보다는 녹지와 공원을 확충시키는 것이 택지의 가치 상승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지방자치단체와 건설회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근린생활시설용지 더미변수는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를 나타내, 다른 용도지역에 비하여 택지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근린생활시설용지가 용적률이 점포 겸용 택지와 전용주거지역보다 훨씬 높고 5층까지 건축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예상과 같이 택지 구매자는 중로에 접한 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로한면은 소음 및 매연으로 인해 주거환경이 좋지 않고 차량출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좁은 도로는 소음 및 매연이 적고 사생활이 보호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도로 양쪽에 차량이 주차되면, 통행에 많은 장애가 발행하여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경과연수는 음의 부호를 보여 시간에 따라 택지가격이 하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장유지역의 택지가격이 김해의 다른 지역에 비하여 하락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오피스텔의 생활형 숙박업 용도변경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Legal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Revitalization of Change in Building use Officetel to Lifestyle Lodging Industry)

  • 호한철;송호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55-465
    • /
    • 2014
  • 본 연구는 오피스텔의 생활형 숙박업으로의 용도전환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어떠한 제도적 개선방안이 필요한지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오피스텔의 생활형 숙박업 용도 전환 저해요소를 정립하였다. 둘째, AHP방식을 이용하여 향후 오피스텔을 생활형 숙박업으로 용도 전환하는 것을 활성화할 목적에서 제도적 혹은 운영적 측면에서 개선이 시급한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오피스텔의 생활형숙박업 용도변경 저해요인으로 4개 항목 13개의 세부지표가 도출되었다. AHP 결과, '기존 분양계약자 100% 동의 요건'이 1위, '용도지역지구 중 상업/준주거지역' 2위, '전문 위탁운영업체 부족' 3위, '상대정화구역' 4위, '복잡한 인허가 절차로 용도변경 지연' 5위, '위탁운영사 운영 리스크' 6위, '시설물 관리 부담' 7위, '관련 제도 홍보부족' 8위, '건축법 내 생활형 숙박시설 개념 미비' 9위, '주차장, 하수도, 소방시설 등 기본 건축 요건' 10위, '환기시설 설치' 11위, '객실별 욕실 또는 샤워실 설치' 12위, '취사시설 설치' 13위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 골프장의 환경친화성 평가 (Environmental Friendliness Assessment of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 김광두;방광자;강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0-30
    • /
    • 2003
  •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the categories and items for ecological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The categories and items for the assessment have been deriv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golf experts. This study covers 32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that are available in terms of data and on-site surveys. In order to conduct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the golf courses, the assessment area was divided into 4 categories that include a total of 14 sub-categories. The 4 categories encompass 1) location, 2) topography, 3) vegetation, and 4) construction. As its sub-categories, the location category includes current land use and zoning in the National Land Use Management Law. Topography has 2 sub-categories in the damage ratio of existing topography, gradient, cut area, and slope height. The assessment of vegetation is largely based on site surveys in the categories of preservation of the existing vegetation, the use of natural resources and existing trees, the component ratio of native tree species,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vegetation, and the utilization of water purification plants. In the aspect of construction, afforestation on tile slopes and the utilization of existing surface soil were evaluated. The examination of comparative analysis among the 10 items as a ratio measure showed that the scores were low in the sub-categories of current land we, the use of existing trees, and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vegetation. However, the rating results were satisfactory in the 2 sub-categories including cut area, and the utilization of native tree species. Those proved to be contributing factors in the ecological health of the golf courses.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of the 10 items to the overall ecological rating of each golf course, the sizes of the 32 golf courses were mainly affected by the damage ratio of existing topography, gradient, preservation of vegetation and slope height. This study has the initiative to conduct an ecological assessment of golf courses in the country based on site survey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location factors such as current land use, damage ratio of topography and gradient and topographical factors wer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golf courses. This indicates indicating the significance of these factors in the future construction practices of golf courses. Furthermore,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o establish more detailed assessment criteria and to develop assessment techniques for areas such as slope afforestation and water purification plants that need a qualitative approach.

토지이용계획에 있어 GSIS를 이용한 적지분석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nd Suitability Analysis System using GSIS in the Landuse Planning)

  • 임승현;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3-61
    • /
    • 1995
  • 전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국토이용계획이나 도시 또는 도시의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도시계획은 현재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들 계획속에 포함된 토지이용계획의 중요성은 아주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기본계획의 근간이 되는 토지이용계획의 용도지역적지분식 및 배정에 관한 GSIS활용 방안을 검토해 보고, 이런 검토과정에서 정리된 여러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대상지역에 적용하며, 구체적인 구현시스템인 토지이용적지분석시스템 개발을 시도해 보았다. 시스템개발에 사용한 언어는 ARC/INFO의 AML이였고,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토지이용적지분석시스템을 개발하여 복잡한 분석과정을 단순화 자동화할 수 있었고 추후에 이 시스템은 토지이용적합성 분석을 실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계획지역 밖의 주변환경인자를 분석에 고려하므로서 분석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이를 통해 더욱 포괄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었다. 셋째, 도시특성 및 도시공간구조론에 근거한 우선순위의 개념 및 법적인 제한요소를 적용하여 용도지역의 배정방법에 대한 전산적인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방향에서 용도지역을 배정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석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앞으로 용도지역별 적지기준과 자료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후속연구들이 절실히 요망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Practical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 조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9-118
    • /
    • 2010
  •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도시재생적 실천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특히,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산업사회를 넘어 지식정보산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나타나는 도시화의 새로운 특성과 양상, 또 산업화시대의 신도시 이상을 넘어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도시 이상과의 상관성 맥락에서 도시재생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서의 랜드스케이프의 의미가 도시를 대상으로 시각적, 장식적 차원의 정태적 풍경이 아니라, 변화, 진화 등의 맥락에서 동태적 과정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지식정보산업사회가 지식 정보의 흐름 등 가속적 변화와 과정적 특징을 보이며, 이러한 사회적 특징에 따라 도시화도 형태와 기능 중심에서 흐름, 네트워킹, 중심성과 결절성, 지표면 등의 개념으로 구성되는 가치지향의 과정적, 동태적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 3자간에는 그 본질적 개념에 있어 상호 관통되고 소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화시대의 도시화에 대한 반성으로서 21세기 새로운 도시이상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도시재생은 본질적으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점유된 도시 경관판을 그린 인프라 구축과 디자인이라는 맥락에서 생태판에 문화를 도입한 문화판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일정의 괘를 같이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8개의 도시재생전략으로는 도시가 자연과 역동적으로 소통하고 진화할 수 있는 생태판의 구축, 생태와 도시민과의 소통을 위한 생태판의 문화판으로의 전환, 주택 및 상업지역에서의 그린 인프라 구축 등의 관점에서, 건폐율 규제, 높이 규제 완화 등의 필요성이 제시 되었다. 또한, 도시이전적지의 공원화, 하천 등 도시워터프론트의 공원화 등의 전략에서 공원의 도시적 관입 및 확산과 더불어 공원혼합용도에 대한 도입이 논의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경관판을 형성하기 위한 실행전략으로 사회의 변화에 역동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전략계획제의 도입이 논의되었고, 특히, 이미지니어링을 통한 가치계획을 추구함으로써 기능중심의 도시화에서 가치창출과 브랜드형성 차원의 도시화로 진화시켜 나아가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 모든 전략을 위해 기존의 경관, 토지이용 등 건축 및 도시개발 관련 각종 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경관유형의 특성분석 (An Analysis of Landscape Type Characteristics using the Technology of GIS and Remote Sensing)

  • 한갑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17-128
    • /
    • 2003
  • 본 연구는 춘천시를 대상으로 수치표고모델, 토지이용 데이터 및 토지피복분류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토지이용 CG(computer graphics)화상과 토지피복 CG화상의 작성과 가시권분석을 통해 광역적 도시경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토지피복분석의 결과, 1989년에서 2000년까지 시가지는 $7.7km^2$ 증가하였으며, 녹지는 $12.7km^2$가 감소하였다. 용도지역상 시가지, 개발제한구역, 녹지지역 등에서 녹지의 감소와 시가지의 증가가 나타났다. 춘천시의 도시경관은 3개의 유형으로 대분할 수 있었다. 유형1은 개발제한구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경관, 유형2는 자연녹지, 생산녹지 등의 녹지를 중심으로 한 경관, 그리고 유형3은 시가지와 수역을 중심으로 한 경관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토지피복 CG화상은 모든 유형에서 녹지의 감소와 시가지의 증가가 나타났다. 가시권 분석의 결과, 경관적 중요도가 높은 영역에서도 녹지감소의 경향이 동일하게 나타나 이 영역에서 녹지경관의 보전 및 관리가 요구되었다.

  • PDF

어업관리 휴어제의 이론체계와 도입 타당성 및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retical Frameworks and the Implementation Effects of the Fishery Closures as Multi-strategical Measures of Fisheries Management)

  • 이상고
    • 수산경영론집
    • /
    • 제37권2호
    • /
    • pp.33-59
    • /
    • 2006
  • This study describes approaches to fisheries management that restrict access by fishers to an area in some way. When fishery closure is established as a technical conservation measure it is a form of input control as a Korea fisheries management system. There are many compelling reasons why a fisheries manager should seriously consider closed areas and/or time restrictions, either as a complement to other measures or as the primary facet of the Korean fisheries management strategy. Fishery closure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many fisheries and are an important tool in the management armoury. In many respects justifications for their use and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are likely to be relatively straightforward compared to permanent area closures. From a Korean fisheries management perspective, the benefits that flow from fishery closures are usually less easy to predict than for other management measures. Moreover, even if one accepts that implementation of fisherg clossures will provide higher production levels in adjacent fished areas, the potential benefits may often be in danger of being largely dissipated. If, for example, the fishery remains open access, the increased production is likely to attract new entrants into the fishery, thereby driving it back towards bioeconomic equilibrium. From a Korean wider fisheries conservation perspective, however, fishery closures have important and clearly defensible roles to play and some form of zoning arrangement will often effectively serve conservation values. Given the increasing trend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networks of fisherg closures, it seems likely that fisheries managers throughout the world will need to ensure that they are familiar with the issues surrounding these approaches. The importance of being explicit about the goals for fishery closures in Korea have been continually emphasised throughout this study. There may, of course, be multiple justifications for the measure, in which case it is important to try and specify them in order of priority.

  • PDF

격자단위 분석기법을 적용한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Grid Unit Based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Vulnerability in Urban Area)

  • 홍재주;임호종;함영한;이병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67-75
    • /
    • 2015
  • 오늘날 인간의 정주공간이 도시로 집중화되면서 도시 생활공간의 복잡화, 다양화, 고도화 되는 상황을 고려한 도시계획 관리기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는 기후변화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재해 취약성에 대한 분석에 근거한 토지이용, 기반시설 등을 계획하는 도시계획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입된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UC-VAS)제도는 현재 집계구단위 분석방식으로 운영됨으로 도시계획활용을 위한 세부적인 구역검토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분석단위를 격자방식으로 변경하고 2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해당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집계구 단위보다 세부적인 결과도출이 가능하며, 항공영상과의 현황비교결과 세부적인 구역설정이 가능한 결과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비교검토결과와 더불어 분석지표에 따라 격자단위 결과 활용에 문제점이 발생됨을 발견함으로써 향후 도시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제도의 과학성과 객관성을 추가 확보하는 전문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제도운영의 효율성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