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ge of smartphone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9초

스마트폰 사용 특성과 근골격계질환 관련 자각 증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smart usage and symptoms of MSDs)

  • 김경인;최서연;박동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9-129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symptoms of MSDs(Musculokeletal Disorders)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usage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also tried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from questionnaire survey. A total of 943 subjects participated for the survey. The results in terms of symptoms associated with smartphone usage were as follows; 1) 49.8% of respondents experienced symptoms associated with MSDs, 2) 35.9%, 34.0%, 22.1%, 21.7% and 20.9% of respondents had symptoms at shoulder, neck, elbow, wrist, and fingers respectively, 3) The effect of 'daily time of data use', 'monthly costs' for MSDs of respondents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is study has some significance since it tri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SDs symptoms and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usag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good basis for better design and user guidelines of smartphone to prevent MSDs associated with smartphone usage.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대한 부모의 걱정 탐색 (An Exploration of Parental Concern about Infant's Smartphone Usage Experience)

  • 모아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91-698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영아기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대한 부모의 걱정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 6명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경험]에 관한 주제군에서는 <일상 생활화>, <육아 보조역할>로, [부모의 걱정]에 관한 주제군에서는 <막연한 교육적 기대 >, <발달과정상의 문제>, <중독 성향>으로 주제를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영아기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스마트폰을 포함한 디지털 기기 사용의 올바른 지도방법에 대한 부모교육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과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s Smartphone Usage Time)

  • 김반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3-30
    • /
    • 2022
  • 이 연구는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과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1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부모가 스마트폰을 오래 이용하는 경우 자녀 역시 스마트폰을 오래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적 상관관계는 스마트폰 전체 이용 시간과 게임 이용시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 양식이 가족 이라는 단일 체계 내 구성원으로서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개인의 미디어 이용을 가족, 미디어 이용 환경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고령자의 스마트폰 활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Usage of Elderly People's Smartphones: Based on UTAUT Model)

  • 장현용;고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3-169
    • /
    • 2017
  • Purpose With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growth of its information system related market is increasing. However, empirical studies for the usage of elderly people's smartphones are still limit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niors' smartphone usage behavi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First,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with targeting seniors who have visited Gwangju Senior Technology Center(GSTC)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utilizing smartphones. Next,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s including the UTAUT model,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were considered for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usage of elderly people's smartphones. Also, the moderate effects of personal innovativeness and usage function were discuss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81 seniors visiting GSTC was analyzed to empirically test the research model. Findings By the empirical tests, the performance expectancy and the effort expectancy of the senior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smartphone usage behavior.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was not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usage fun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and the smartphone usag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to excavate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the niche market targeting the elderly people.

스마트폰 이용 유형별 스마트폰 과의존과 생활만족도 분석 (Analysis of Problemic Smartphone Use and Life Satisfaction by Smartphone Usage Type)

  • 김유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3-32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 유형별 스마트폰 과의존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총 25,465명이었고, R(3.6.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은 여가 추구형과 정보 추구형에서 발생하였다. 반면, 커뮤니케이션형은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시켰다.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스마트폰 이용 유형은 커뮤니케이션형이었다. 스마폰 이용시간이 길고 스마트폰 과의존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과 MBTI 사용자 특성간의 관계 평가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BTI User Personality and Smartphone Usage)

  • 라저스리 소카세인;김경백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3-39
    • /
    • 2016
  • 최근 스마트폰 사용 형태의 도움을 받아 사용자 특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주의를 사로잡는 연주 주제이다. 현재 몇몇 연구들은 사용자의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전화 사용 기록, 문자 메시지 사용 기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기록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MBTI 사용자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로그 간의 관계를 평가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사용 기록에서 부터 몇몇 특징들을 추출하고 이를 Naive Bayes와 SVM등의 분류기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특성을 구분하였다. 사용자 특성 분석 결과의 분석을 통해 facebook사용 기록이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사람을 가장 잘 구분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SVM 분류기가 Naive Bayes보다 사용자의 특성을 잘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Posture on Neck Flexion Angle While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Duration

  • Lee, Sang-Yong;Lee, Dae-Hee;Han, Seul-Ki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3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the neck flexion angle according to posture while using a smartphone and the duration of smartphone usage.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 healthy young students in their 20s. The subjects wore a cervical range of motion instrument. They were instructed to use a smartphone while standing, sitting on a chair, and sitting on the floor. In all postures, they could use the smartphone and use their arms freely while keeping their back connected to the wall or the back of the chair. When sitting on the floor, they assumed a cross-legged position. The neck flexion angle was measured at zero, three, six, and nine minutes for each posture. RESULTS: Neck flexion is affected by the posture while using a smartphone (p<.05). Neck flexion in the standing position is larger than that in the sitting on the floor position. Neck flexion was affected by smartphone usage duration (p<.05). In general, as usage time increases, the neck flexion angle increases as well.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smartphone in the standing position and for a short period of time is a method to reduce the neck flexion angle.

간호대학생 수면의 질 영향요인 - 우울,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행태, 학업 성적을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Nursing Students - Focusing on Depression, Smartphone Usage before Sleep and Academic Score -)

  • 김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640-64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우울,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행태 및 학업 성적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2개 대학 3, 4학년 간호학과 학생 중 임의 표출 방식으로 선정한 대상자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의 질 도구(PSQI-K), 우울 도구(한국판 Beck의 우울척도-II),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행태 도구를 활용하여 2021년 4월에서 7월까지 자료 수집하였고,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은 우울과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행태 2개의 변수가 39.0%를 설명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행태 수준이 높을수록 수면의 질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성적은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우울과 관련된 수면 양상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수면 전 스마트폰 사용행태를 줄이는 생활 습관 교정이 필요하다.

모바일 앱 사용행태 분석을 위한 역컴파일 및 역어셈블 데이터 로깅 (Disassembly and De-Compilation Based Data Logging for Mobile App Usage Analysis)

  • 김명준;남양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4호
    • /
    • pp.127-139
    • /
    • 2014
  • This study presents a logging method to trace the usage patterns of existing smartphone apps. The actual smartphone app itself, not a specially developed similar app with usage logging, would be used best for the experiment of observing the usage patterns. For this purpose, we used a method of injecting logging codes into existing smartphone app. Using this method,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trace usage patterns of a commercial IPTV app, and found that the method is very useful for acquiring detail usage log without influencing participants.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스트레칭이 근경직도 및 집중력과 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ng-Term Smartphone Usage Time and of Stretching on Stiffness, Concentration, and Visual Acuity)

  • 고민균;송창호;유진호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1호
    • /
    • pp.57-6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long-term smart phone usage and of stretching on muscle stiffness, concentration, and visual acuity. Methods: Forty healthy young adul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measured for muscle stiffness, concentration, and visual acuity before smartphone usage and after 30 minutes, 60 minutes, and 90 minutes of smartphone usage.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intervention group (n=20) and the control group (n=20). Five minutes after the stretching exercise and eye exercis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were remeasured. Results: After long-term smartphone usage, increases in muscle stiffness and concentr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whereas decreases in visual acu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fter the stretching exercise and eye exercise intervention, muscle stiffnes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nd visual acuity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stretching exercise and eye exercise intervention, showed no significant pre- or post-test difference.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long-term smartphone usage effectively improved concentration but increased muscle stiffness and decreased visual acuity. Appropriate stretching and eye movement during long-term smartphones usage should mitigate the effects on muscle stiffness and visual acuity. Furthermore, smartphones should be considered an effective tool for concentration training when coupled with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