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ge motiv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해외직접구매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커뮤니티 이용동기, 가격민감도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유·아동복 구매자를 중심으로 - (Effects of perceived risk, community usage motive and price sensitivity of overseas direct purchase consumers on customer satisfaction - Focus on children's wear customers -)

  • 김기연;황선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6호
    • /
    • pp.951-96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community usage motive, and price sensitivity of customers who purchase children's wear directly from overseas on customer satisfaction. Specifically,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when perceived risk and community usage motive significantly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nsumers who experienced directly purchasing children's wear from overseas and engaging in communities. A total of 41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hich 41 responses were insincere and excluded; thus, 374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how perceived risk and community usage motive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reveal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economic and social psychological risk on customer satisfaction. Moreover, informational, recreational, and social emotional usage motiv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and community usage motive on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different levels of price sensitivity was verified. As a result, delivery and economic risk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for consumers with high price sensitivity. Moreover, recreational usage motiv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for high price sensitive consumers. In conclusion, perceived risk negatively impacts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reduce the perceived risk of consumers who purchase children's wear directly from overseas.

중국 네티즌의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ral Recognition of Blog Activity with China Netizen)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2호
    • /
    • pp.101-110
    • /
    • 2011
  • 본 연구는 블로그 이용경험이 있는 중국 네티즌들을 대상으로 블로그 요인과 블로거의 심리적 특성요인이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 네티즌의 블로그 이용형태는 자아추구적 이용, 사회참여업무적 이용, 타인교류적 이용 및 사적즐거움 이용형태로 나타났으며, 그 중 자아추구적 이용과 사회참여업무적 이용 형태가 블로그활동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네티즌의 블로그 이용동기는 자아표현동기, 자아실현동기, 정보추구동기, 친구관계향상동기, 타인교류동기, 블로거 친구형성동기 및 은폐자아노출동기로 나타났으며, 정보추구동기,친구관계향상동기, 타인교류동기 및 은폐자아노출동기가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티즌 개인의 블로그 관여도와 사회참여 성향이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 네티즌들의 사회적 관계와 타인 교류동기 및 개인 심리적 특성이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소비자혁신성에 따른 이용동기와 이용의도와의 관계 연구 - 디지털사진 인화서비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Usage Motivation and Usage Intentions according to Consumer Innovativeness - Focusing on Digital Photo Printing Service -)

  • 정찬구;정진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02-21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사진의 등장과 더불어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위해 이용충족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소비자혁신성에 따른 디지털사진 이용동기와 디지털사진 인화서비스의 이용의도와의 관계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첫째, 혁신성과 이용동기와의 관계모형에서는 혁신성이 오락성, 사회성, 경제성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성과 이용의도와의 관계모형에서는 혁신성이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동기와 이용의도와의 관계모형에서는 편리성, 오락성, 경제성, 사회성이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직장인의 SNS 이용동기에 따른 사용시간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Determinants of SNS Use Time Depending on SNS Motive in Youth Workers)

  • 옥지호;박용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47-158
    • /
    • 2017
  • SNS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SNS의 이용동기가 복수임을 밝혀내었음에도 불구하고, SNS 이용동기를 결정하는 선행 변수를 규명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의 10차년도 조사(2013년)부터 12차년도 조사(2015)를 통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SNS 이용동기를 정보 교류, 친목/인맥 관리, 재미 추구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결정요인으로 이용자의 직장관련 요인, 인구통계적 요인, 건강 및 심리상태, 성격 요인 등을 구분하여 탐색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용동기가 정보 교류일 때, 성별, 건강 상태, 성격 중 외향성과 성실성이 영향을 주었다. 이용동기가 인맥 관리일 때, 직장 규모, 교육, 건강생태, 주관적 행복, 직무만족도, 신경성, 친화성이 영향을 주었다. 이용동기가 재미 추구일 때, 외국계 기업 여부, 자녀 유무, 직무만족도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 직장인들의 SNS 이용패턴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확장하여 관련 연구 및 유관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셜네트워크 이용동기에 따른 감정적 관여, 인지적 관여의 형성과 만족 (The Affective/Cognitive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sage Motivations of Social Network Services)

  • 천명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2호
    • /
    • pp.21-39
    • /
    • 2012
  • 본 연구는 이용-충족이론의 관점에서 SNS 이용동기에 관해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이용동기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고, 이용과정을 통해 형성된 관여도가 만족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남성과 여성간의 이용동기, 감정적/인지적 관여, 만족의 형성구조를 비교하여 성별 차이에 따른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조방적식모형을 설정하고 SNS 이용경험이 있는 306명의 데이터를 Lisrel로 분석하였다. 정보추구동기와 자아표현동기가 감정적 관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에 추가적으로 성별에 따라 비교해 보기위해 남성집단과 여성집단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는 정보추구동기, 오락적동기, 자아표현동기가 높은 경우에 감정적 관여가 높아지며, 오락적동기가 높은 경우만 인지적 관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에는 사회적동기와 오락적동기가 감정적 관여와 인지적 관여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만족으로 이어졌고, 정보추구동기와 자아표현동기는 감정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나르시시즘 성향, 패션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정보확산 행동 간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Narcissism, Usage Motives, and Information Diffusion of Social Media)

  • 김내은;송광석;김미숙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호
    • /
    • pp.99-110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narcissism, usage motives, usage behaviors, satisfaction with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fashion social media.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after conducting a pilot test. Based on the reliability test of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used for the pilot test,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The final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38 fashion social media users and 216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se measur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ve factors of the usage motivation of fashion social media were extracted: information-seeking, relationship-seeking, practicality-seeking, enjoyment-seeking and self-expression motives. Th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the influence of the narcissism tendency on all of the usage motives of fashion social media, three of the fashion social media usage motives influencing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the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on user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fashion social media. Narcissism exerted the highest influences on self-expression motive followed by information-seeking, enjoyment-seeking, relationship-seeking and practicality-seeking motives in order. Factors affecting fashion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s are practicality-seeking motive, self-expression motive, and relationship-seeking motive. The greater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using fashion social media. The consumers with higher satisfaction intended to use fashion social media and share information more frequently.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 that narcissism is an important factor in fashion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The main motives for narcissistic people to spread information is for the practical purpose at the most, and then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tyle, and to buil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satisfaction through active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seems to play a key role to lead high continuance intention of fashion social media. These implies that marketing strategies to satisfy consumers' narcissism and motives to use social media, and to stimulate the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s can be used to meet their needs for higher satisfaction with fashion social media.

웹사이트 이용의도에 대한 동기적 요인의 영향 : 인터넷 쇼핑몰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Motive Factors Towards the Intended Use of the Website: Perspectives of Internet Shopping Mall)

  • 손달호
    • 경영과학
    • /
    • 제21권1호
    • /
    • pp.1-17
    • /
    • 2004
  • A separate and distinct interaction with both the actual e-vendor and with its IT web site interface is at the heart of online shopping. Previous research has established, accordingly, that online purchase intention is the product of customer assessments of IT itself, specifically it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TAM). Sinc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re such a fundamental driver of usage intentio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is construct and how their influence changes over the voluntariness towards the usage intention. The reason for voluntari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is that it had the serious effect to the motivating in the making willingness of the internet shopping-mall usag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terminan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to the usage intention would enable us to design web site interventions that would increase user acceptance and usage of internet shopping-mall. Therefore, the goal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extend TAM to include additional key determinants of TAM and to understand how the effects of these determinants change with the voluntariness of the usage intention of the internet shopping-mall.

TikTok 이용동기가 사용자 밀착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ikTok Motivation on Users Stickiness)

  • 왕자선;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17-2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만족 이론을 바탕으로, TikTok 이용 동기(오락추구, 정보추구, 상호작용, 자기표현, 도피)의 강도와 각 동기가 사용자의 밀착도(이용 빈도, 이용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국인 TikTok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101건의 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kTok 이용 동기의 강도는 오락추구, 정보추구, 상호작용, 자기표현, 도피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 중 오락추구와 도피의 동기는 여성의 경우가 남성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둘째, 사용자 밀착도 중 이용 빈도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오락추구, 상호작용, 도피 등 동기의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높았다. 셋째, 이용 시간에 대해서는 오락추구, 도피 등 동기의 영향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락추구, 상호작용, 그리고 현실을 도피하고 싶을 때에 TikTok을 자주 이용하게 되고, 오락추구나 현실을 도피를 하고 싶을 때 TikTok 이용 시간도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패션 브랜드 앱 내용이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rt phone usage motive and fashion brand app factors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fashion brand applications)

  • 최예슬;김미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4호
    • /
    • pp.149-163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mart phone usage motives and fashion brand app factors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fashion brand applic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220 reliabl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OVA,, Duncan test, paired t-test, chi-square analysis,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he'use of time'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motive factors driving consumer's smart phone usage. Secondly, the motives underpinning smart phone user's intention to accept a fashion brand application were 'social relationships',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acquisition'. Thirdly, the frequently used factors during the usage of fashion brand application could be classified in order of frequency as follows: 'product information provision', 'store information provision', 'coordinated information provision', 'fashion information provision', 'entertainment provision', 'hobbies and life information provision', virtual wearing provision', 'SNS provision', and, 'events and coupons provision'. Fourthly, a factor analysis of these nin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basic information type', and 'additional information type'. The influences of basic information typ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type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the fashion brand application showed the following significant result: The basic information type had a greater influence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the fashion brand app.

캐릭터 패션에 관한 연구(硏究) - 캐릭터 모티프의 의복(衣服)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Character Fashion - Concentrating on the Motive of the Character Appeared on Apparel -)

  • 김성희;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권2호
    • /
    • pp.31-4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character fashion which is worn everyday by people regardless of their sex, class, and age after the 1960's, and to look at its significance. Under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V, film, comic and popular music exercised its power over the modern living after the 1960's. Such culture has its character in youth, aspiration of wide spread and overflow of the visual image. While active life style and increase of time spent on sports and leisure created the casual trend in fashion. In addition to Pop Art leads to the usage of sign and symbol on clothes, and this created a trend called 'character fashion'. Character fashion can be divided into 'motive' and 'expression'. Motive then is segmented by the 'person' that includes an impersonated figure and 'symbol' of picture or figure with a special meaning. However, expression can be classified by 'one's belonging' which can be a sports team, school or a group. Also, by the 'message' of the phrase or letter. The meaning contained in character fashion by the various motive and expression can be classified as unisex, ego screaming, and escap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