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ge Needs

검색결과 626건 처리시간 0.024초

해사관계 연구자의 문헌정보 이용에 관한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 이철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38
    • /
    • 1980
  • Nowadays researchers attach a great importance to the problems concerned with scientific information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ere are some reasons for it, that is, ⅰ) the amount of scientific information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ctivitie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so it is difficult to pick up a real valuable information ⅱ)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use a variety of information in proportion to the spread ofthe branch of science ⅲ) since the medium of scientific information is mostly technical papers, it is very difficult to mechanically transact these papers and to keep all documents and scientific informations for a long time. To cope with these difficult situations, many technical skill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data-base, automatic information retrieval, micro-film and so on. But there are comparatively few investigation on the matter how the researchers who are users and producers think about the systematiz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s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hought and information needs of researchers, and proposes a basis of a method for systematiz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The author inspects the actual conditions of scientific information, reconsider the method which has been used and investigates the matter of how researchers whose interest is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of marine affairs think about problems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by thequestionarie of Fuzzy-DEMATEL method. Also, FSM which is method for structuring hierarchy for the several complex problems on the basis of fuzzy sets theory is adopted as a tool of analysis. We can understand the key problems and make a story to solve the systematiz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ose results will be directly applicable to construct a new system for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 PDF

Study on Design Research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Chung, Jaehee;Nah, Ken;Kim, Sungbum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63-581
    • /
    • 2015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sematic network analysis for design research. Background: As HCD (Human-Centered Design) was emphasized, lots of design research methodologies were developed and used in order to find user needs.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discover users' latent needs. This study suggests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complementary means for design research, and proved its potential through the practical application, which compares multi-screen purchase and usage behaviors between America and China. Method: W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32 consumers from USA and China, and analyzed interview text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Cross cultural differences in purchase and usage behaviors were investigated, based on measuring centrality and community modularity of devices, functions, key buying factors and brands. Results: Americans use more services and functions in the multi-screen environment, compared to Chinese. As a device substitutes other devices, traditional boundaries of the devices are disappearing in the USA. Americans consider function to recall Apple, but Chinese consider function, design and brand to recall Apple, Sony and Samsung as an important brand at the time of their purchas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design research through the practical application. Semantic network analysis presents how the concepts regarding a theme are structured in the cognitive map of users with visual images and quantitative data. Therefore, it can complemen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xisting design research. Application: As the design environment becomes more and more complicated like multi-screen environment,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is able to provide design insights in the intuitive and holistic perspective, will be acknowledged as an effective tool for further design research.

운동/피트니스앱 속성이 앱 활용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적 관점에서의 탐구 (The effect of Attributes of Exercise/Fitness Apps on App Usage: A Convergence Perspective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 최정화;박동진;노기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327-339
    • /
    • 2015
  • 본 연구는 1)개인의 운동/피트니스 앱 속성에 대한 인식과 2) 운동/피트니스 행위에 대한 동기가 앱에 대한 유용성 인식 및 앱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운동/피트니스 앱을 이용하는 20-30대 남녀 32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앱의 속성이 이용자들로 하여금 앱의 유용성을 인식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하고 있는 운동/피트니스 앱이 자율성 및 유능성 관련 속성을 갖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해당 앱을 더욱 유용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관계성 관련 속성 인식은 앱 유용성 인식에 주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의 운동에 대한 자율적 동기와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들 기본심리 욕구와 관련된 속성에 대한 인식은 인식된 유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앱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앱이라는 정보기술을 심리 및 보건학의 융복합적 관점에서 연구한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건강앱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사용자 주도형 혁신 모델로서 ICT 리빙랩 사례 분석과 시사점 (ICT Living Lab as User-driven Innovation Model: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

  • 성지은;박인용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245-279
    • /
    • 2015
  • 우리나라 혁신시스템에 탈추격 창조형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면서 '지속가능성', '삶의 질', '사회문제 해결' 등의 의제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혁신모델이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혁신정책에서 ICT 활용의 강화와 함께 사용자 니즈, 개발 성과의 확산, 기술의 사회적 영향을 고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리빙랩은 사용자가 혁신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ICT인프라를 활용하여 직접 개발활동 및 혁신주체 간 연계, 사용자 경험 활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과학기술 ICT 기반 서비스 개발을 수행하는 리빙랩으로 핀란드 Turku Archipelago 리빙랩, 범 유럽 차원에서 리빙랩 방법론 확산을 목표로 하는 EIT ICT Labs와 ELLIOT에 대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리빙랩에서 실현되는 최종 사용자(지역 구성원)의 수요와 경험, 과학기술 ICT의 활용 양태를 분석한 결과 이들 리빙랩에서는 기술의 사용자 현장지향성이 강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혁신활동을 강조하였으며, 거버넌스 다학제 활동에 의한 협업을 중시하였다. 이를 통해 ICT 리빙랩을 국내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지역사회의 역할 강화, 협업구조, R&D 프로세스 등의 설계에 있어 사용자 참여와 숙의가 강조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자치행정PR을 위한 자치행정조직의 SNS 활용이 지역주민과의 관계 및 커뮤니케이션 증진과 행정의 관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자치행정조직과 지역주민간의 견해차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s of SNS Usage on the Relationship and Effectiveness of Local Administration PR: Local Government vs. Residents Perspectives)

  • 서현식;송인국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37-15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조직의 SNS 활용이 자치행정PR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함에 있다. 오늘날 정보통신의 발달과 함께 SNS 서비스의 활성화로 자치행정PR에서도 SNS를 활용하고자 하는 행정조직이 늘고 있다. SNS의 활용은 과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로 여론을 형성하고 조작하는 관점에서 이제는 시민과의 관계성을 관리하는 관점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렇게 행정PR의 특성은 행정조직과 지역주민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해야 함과 동시에 SNS가 이러한 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SNS의 특성을 확인하는 연구와 자치행정PR에 관한 연구는 별도로 진행되면서 SNS의 활용이 자치행정PR에 어떠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청의 직원과 지역주민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모델을 각각 설정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행정조직의 SNS 활용은 지역주민의 피드백이 부족하였으며, 대다수 지역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주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언택트 연구의 지식구조에 대한 탐색적 분석 (A Exploratory Analysis on Knowledge Structure of Untact Research)

  • 김성묵;차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367-375
    • /
    • 2021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하여 언택트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하고 연구 방향 정립을 위한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2019년부터 2020년 10월까지 발표된 연구 문헌 171편의 서지정보를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 분석하였다. 사용, 서비스, 소비, 영향, 기술 키워드 등의 등장 빈도가 높았고, 등장논문의 수는 코로나19, 기술, 사용, 서비스의 순서였다. 중심성과 구조적 공백 분석 결과 서비스, 사용, 소비, 기술, 온라인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더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토픽 모델링으로 코로나19와 사회기술변화, 교육콘텐츠 필요성 및 활용, 사용자 편의 기술 및 서비스, 제품 마케팅 및 판매, 기업의 서비스 디자인, 사용과 소비 영향요인 등 6개 토픽을 추출하였고 토픽을 잇는 키워드는 기술, 서비스, 사용, 소비, 필요, 요인 등이었다. 지식구조 분석은 언택트 연구와 정책 제안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탐색적 성격을 넘어 양적 축적과 질적 다변화가 필요하다.

아파트 경로당의 공간특성에 대한 노인 평가 및 요구 (Evaluation and Needs of the Elderly f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nior Centers in Apartment Complex)

  • 김선영;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3-41
    • /
    • 2013
  • It is not surprising that senior centers are widely used nationwide as Korea becomes an aging society. This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senior citizens' needs and evaluations of senior center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their usage and spatial composition. A face to face interview using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55 senior citizens who has been using senior centers located in Jangyu new city apartment housing complex.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questions asking characteristics of their usage, evaluations of spatial composition, and respondents' demographic data. Findings are: First, it is found that many respondents visit senior centers everyday and spend 4 to 6 hours a day. Their main activities are meeting friends, taking hobbies, and dining. That is, senior centers play a pivotal role in daily lives of senior citizens. Such characteristic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space design when planning to build a future senior center; Second, it is found that senior centers play a role of auxiliary space for building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familarity. It is found that furnitures in senior centers are worn out and safety measures a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Third, it is found that they highly evaluate flexible spacial composition that could be partitioned or extended depending on occasions even though they prefer independent space; Fourth, it is found that kitchen facilities are not large enough considering the fact that more that half of the respondents have their lunches in senior centers. Even though they do not cook for themselves kitchen space should be large enough for preparing meals simultaneously for a large number people.

이용자 일기 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행동 연구 (Analyzing Usage Behavior of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by Using Diary Method)

  • 김성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5-187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경험을 일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함으로써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이용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이 모바일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이용자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의 발전을 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의 2개 대학도서관을 선정하고 대학생 20명에게 일주일 동안 매일 1회 이상 자관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해보고 이용 과정 및 생각들을 자세하게 일기에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총 137개의 일기는 귀납적 접근의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정보요구, 정보요구 해결여부, 이용 서비스, 모바일 도서관 이용 과정 중에 보이는 정보행동과 장애요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효율적인 전력 소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Power Consumption of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 노재성;김완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6-62
    • /
    • 2013
  • 최근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스마트폰을 시작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음성통화를 목적으로 한 시스템 사용에 비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증가는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고, 시스템의 정해진 전력에 비해 사용 시간을 단축시킴으로 효율적인 전력사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도시 집중화 환경에 의한 음영지역의 출현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 시간 단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망 구조를 살펴보고, 음영지역에서의 불필요한 전력사용을 살펴본 후, 효율적인 전력사용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효율적인 전력사용에 대해 분석했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및 미디어 이용과 N스크린 서비스 수용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Lifestyle, Media Usage, and Adoption of Nscreen Service)

  • 박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43-153
    • /
    • 2014
  • 기존 미디어 서비스의 속성을 복합적으로 보유하면서도 서로 다른 단말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N스크린은 미디어와 콘텐츠, 그리고 소비자 간의 관계를 재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통계조사에서 수집된 8,524명의 미디어 행태 자료 중 N스크린 이용을 중심으로 하여 서비스의 수용과 관련된 소비자 변수들과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우선 N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인구통계변수, 미디어 이용 행태 중의 하나로서 온라인활동 참여, 라이프스타일 관련 활동 정도 및 제품구매성향, 기존 미디어 레퍼토리, 유료 콘텐츠 소비지출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나는지 각각 살펴보고 서비스 수용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의 일부가 되고 있으며 미디어와 콘텐츠 소비 패턴의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N스크린 서비스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서비스 수용과 관련이 있는 소비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사회심리학적 변수들과 미디어 행동 변수들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