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inary Nitrogen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on growth performance and nitrogen excretion of dairy heifers

  • Zhang, Bin;Wang, Chong;Liu, He;Liu, Jianxin;Liu, Hongy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3호
    • /
    • pp.386-391
    • /
    • 2017
  • Objective: Protein supplementation is costly and can result in excess nitrogen (N) excre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eding different levels of dietary protein on average daily gain, body size, rumen fermentation, and nitrogen excretion of 8 to 10 month-old Holstein heifers. Methods: Thirty-six Holstein heifers were divided into 12 blocks according to age ($273{\pm}6.2d$)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diets containing a low (10.2% dry matter [DM]), medium (11.9% DM), or high (13.5% DM) level of dietary crude protein (CP). All diets contained approximately 70% roughage and 30% concentrate with similar dietary metabolizable energy (ME) content (2.47 Mcal/kg). Results: Dry matter intake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and average daily gain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dietary protein, 0.79, 0.95, 0.97 kg/d for low, medium, and high group, respectively. Body height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dietary CP but no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dimensions were found among the treatments. The increased ratios of dietary CP improved the rate of rear teat length growth remarkably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rumen pH or ruminal major volatile fatty acid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concentration among the 3 diets, but rumen ammonia-N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the higher dietary CP (p<0.05). Increasing N intake led to increased total N excretion; urinary N excre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ut fecal N excretion was similar among the treatments.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diet containing 11.9% CP (ME 2.47 Mcal/kg) could meet the maintenance and growth requirements of 9 to 11 month-old Holstein heifers gaining approximately 0.9 kg/d.

곡류.야채식이의 영양소 보완이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I) - 단백질 대사를 중심으로 - (Effects of Nutritional Supplementation of Cereal-Vegetable Diet on the Growth of Rats (I) - Especially on Protein Metabolism -)

  • 부미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1-102
    • /
    • 198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nutritional defect of general Korean diet and the effective way of nutritional supplementation. Seventy weanling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51.8$\pm$0.9g were blocked into ten groups and fed ten different diets ad libitum for eight weeks: Standard groups(st gp) was given 72% sugar-20% casein diet: Cereal-vegetable group(c-v gp) was fed cereal-vegetable diet(c-v diet) composed of rice, barley, soybean, spinach and cabbage: the other eight groups were fed c-v diets supplemented with casein, vitamin $B_{2}$, calcium, vitamin A, vitamin B2 and A, vitamin A and calcium, vitamin $B_{2}$ and calcium, vitamin A and $B_{2}$and calcium,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each nutrients content of standard die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od intakes and body weight gains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t gp. Among experimental groups, casein gp and vit B2 gp tended to gain more body weights than c-v gp. 2. Through all the experimental period, F.E.R., pp.E.R., and NDPcal% did nod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nd st gp. 3. The weights of liver, kidney, and gastrocnemiu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with st gp. But brain and sex organ weights did not show differences among all the groups. 4. Nitrogen contents of total carcass, liver, and gastrocnemius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tended to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st gp, and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y tended to be increased by casein supplementation and decreased by ca supplementation. 5. Apparent nitrogen digestibility, urinary and fecal nitrogen excretion, the amount of nitrogen retained, and N.P.U.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groups. 6. Serum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the groups.

  • PDF

Physiology of Small and Large Intestine of Swine - Review -

  • Mosenthin,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5호
    • /
    • pp.608-619
    • /
    • 1998
  • The small and the large intestine of swine represent the organs that extract nutrients from feedstuffs through digestion and fermentation and that allow their absorption and incorporation into the blood circulation. Special attention is directed towards the small intestine of young pigs since the transition to a solid diet at weaning exerts major impacts o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integrity of the small intestine. Dietary factors involved in postweaning changes of gut morphology and biochemistry such as removal of bioactive compounds in sows milk at weaning, anti-nutritional factors in weaner diets, dietary fiber and the role of voluntary feed intake will be elucidated. The microbial function of the large intestine which is carried out by a diverse population of microorganisms is dependent on substrate availability. Short chain fatty acids as main fermentation products contribute to the energy supply of the host but they are also important for the maintenance of the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integrity of the epithelium in the colon. As a result of bacterial nitrogen assimilation in the large intestine, nitrogen is shifted from the urinary to the fecal excretion route thus saving metabolic energy to the pig because less ammonia would become available for conversion to urea.

병아리에서 단백질의 생물적 이용성과 요중질소 화합물의 배설에 미치는 비단백태질소의 영향 (Effect of Non- Protein Nitrogen on the Biological Utilization of Protein and the Excretion of Nitrogenous Compounds in Chicks)

  • 고태송;김영범;서인준;남기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4
    • /
    • 1985
  • 비단백태질소가 단백질의 생물적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단백 혹은 단백질사료에 0, 0.5, 1.0 및 1.5%의 요소가 각각 첨가되었다. 갓 부화한 단관백색 레그혼 숫병아리에 8주간 병아리용 시판사료를 급여하고 6일간을 무단백사료 다음 6일간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무단백사료 급여시에는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료섭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체중감소량은 서로 비슷하였다. 단백질사료를 급여하였을 때는 증체량과 사료소비량은 요소첨가에 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사료요구율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이용효율(PER)과 정미단백가(NPR)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단백사료를 급여한 것에서 증가하나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것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요산태질소의 배설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단백사료를 급여하면 특별한 경향은 없었으나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것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크레아틴태질소의 배설은 요소첨가의 경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암모니아태질소의 배설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단백사료를 급여했을 때는 증가하는 경향이, 단백질사료를 급여했을대는 특별한 경향이 없었다. 한편 요소태질소의 배설은 무단밸 및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것에서 요소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무단백사료를 급여한 병아리의 질소밸런스는 부의 값이었으나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것의 질소밸런스와 요중질소배설량은 요소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분중 배설량질소량은 특별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무단백사료에 첨가된 요소질소의 소화율은 요소첨가률이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생물가(BV)와 정미단백질이용율(NPC)은 1.5%의 요소가 첨가되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단백질사료를 급여한 병아리에서는 단백질의 소화율, BV 및 VPU가 0.5%의 요소가 첨가되었을 때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난소절제 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II. 칼슘, 인 및 질소대사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ombined Estrogen/calcium Therapy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II. A Study on Metabolism of calcium, Phosphorus and Nitrogen in Ovariectomized Rats)

  • 이경화;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06-1015
    • /
    • 1996
  •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에게 식이 칼슘염 형태, 에스트로겐 및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칼슘, 인 및 질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난소절제쥐를 이용한 총 9군으로 분류하여 6주간 사육한 후,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고, 이로부터 흡수율과 평형상태를 구하였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칼슘 섭취량은 비슷하였으나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이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estrogen투여 및 estrogen/칼슘 혼합 투여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난소절제 후 estrogen을 투여한 결과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감소하였다.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 모두에서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이 현저히 높았다. 칼슘의 외견적 흡수율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에 비해 난소절제 후 estrogen을 투여한 군이 난소절제 군에 비해 외견적 흡수율이 증가하였다. 칼슘 평형은 난소절제 후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에서 난소를 절제한 군 보다 유의하게 높은 양의 칼슘 평형상태를 보였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인 배설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다소 증가하였다. 난소절제 후에 고칼슘 투여, estrogen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투여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인 배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대변으로 인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많았으며 난소절제 후 estrogen 투여군에서는 대변으로의 인 배설량이 다른 군 보다 적었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군에서는 대변으로의 인 배설이 다소 증가한 경향이었다. 인의 평형상태도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 estrogen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투여 및 estrogen점진적 감소와 고칼슘 투여에 의한 효과로는 인의 평형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 비해서는 평형이 현저히 낮았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 소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 하게 높았으며 난소절제 후 estrogen, estrogen/칼슘 혼합 투여, estrogen 점진적 감소와 칼슘 점진적 증가군에서 각각 배설량이 감소하였다.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strogen투여에 의해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이 감소하였다. 고칼슘 투여군들은 대변으로의 질소배설이 높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난소절제로 인해 칼슘, 인, 질소 평형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낮아졌다. 난소를 절제한 군에 비해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estrogen 점진적 감소와 칼슘 점진적 증가군에서 칼슘 평형을 증가 시켰다. 그러나 인과 질소 평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꽃사슴에 있어서 육림부산물 사일리지, 칡 사일리지 및 갈잎건초 급여에 따른 건물채식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의 비교 (Comparison of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Arrowroot (Pueraria thunvegiana) Silage and Oak Browse (Quercus aliena) Hay)

  • 전병태;김언현;이상무;김경훈;문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87-94
    • /
    • 2002
  • 본 실험은 육림부산물 발효사료의 사슴용 사료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꽃사슴에게 육림부산물 사일리지(FBS), 칡 사일리지(ARS) 및 수입 갈잎건초(OLH)를 급여하여 건물채식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을 상호 비교하였다. 건물소화율은 ARS가 가장 높았고 OLH가 가장 낮아 처리구간에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조단백질 소화율의 경우는 OLH구가 FBS와 ARS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P$<$0.05) 소화율을 나타냈다. 조섬유 소화율의 경우는 FBS가 가장 높고 OLH가 가장 낮았다. 건물채식량은 OLH가 가장 높아 ARS와의 사이에는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으나 FBS와의 사이에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체내에서 이용 가능한 가소화 건물채식량으로 환산했을 경우 차이가 거의 없었다. 체내에 축적된 질소와 섭취질소에 대한 축적질소의 비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FBS가 가장 높아 체내 질소의 이용효율이 가장 좋았던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육림부산물 사일리지는 다양한 사료자원으로 구성되어 사슴의 기호성이 양호하고 높은 소화율과 건물채식량 및 영양소의 체내 이용성을 나타내고 있어 사슴용 사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갖고 있는 사료자원으로 평가되었다.

A Study on the Seasonal Comparison of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and Feeding Behavio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s Silage and Corn Silage

  • Moon, S.H.;Jeon, B.T.;Kang, S.K.;Sung, S.H.;Hudson, R.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80-8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assess seasonal variation of feed utilization by feed sources an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use of feed resources by comparing seasonal changes of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and feeding behavio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FBS) and corn silage (CS). Dry matter intake (DMI) of FBS was higher than that of CS in both winter and summer. While DMI of both diets was higher in summer, this was not significant at the 5% level. In contrast to DMI, digestible dry matter intake (DDMI) was higher for CS than for FBS in both season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for CS than for FBS, whereas digestibility of crude fiber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for FBS than for CS in both seasons. Seasonal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crude fiber for FBS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1) in summer than in winter: In summer, seasonal digestibility was 57.2% for dry matter and 55.5% for crude fiber, and in winter, 50.8% for dry matter and 30.7% for crude fiber. On the other hand, seasonal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was higher (p<0.01) in winter (42.1%) than in summer (32.3%).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found between the two seasons and diets for nitrogen intake (NI), 18.7 g/d in summer and 19.4 g/d in winter for FBS, 17.7 g/d in summer and 17.7 g/d in winter for CS. Fecal nitrogen was higher (p<0.01) for FBS than for CS and varied little season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two seasons in urinary nitrogen, which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diets. Retained nitrogen (RN) was different significantly (p<0.01) between two diets in both seasons,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seasons. Deer usually spent longer time on eating FBS than eating CS. Eating FBS took 221 min in summer and 187 min in winter, whereas eating CS took 113 min in summer and 109 min in winter. Deer spent less time on eating food in winter than in summer. Time spent on rumination was longer for FBS than for CS: for FBS, 504 min in summer and 456 min in winter, for CS, 423 min in summer and 279 min in winter. Time varied seasonally with both diets.

곡식 혼식이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Grain Diets on the Growth of Albino Rats)

  • 김숙희;김경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4호
    • /
    • pp.177-187
    • /
    • 1972
  • 곡식의 혼합비율은 백미에 보리쌀과 밀쌀을 각각 15%, 30%, 45%의 비례로 혼합하였고 비교군으로써 순백미군과 20% sugar casein diet를 두어서 총 8 group 으로 나누었다. 흰쥐 생후 $45{\pm}5$ 일(日) 된 albino rat로써 initial body weight 가 male이 $58{\pm}2\;g$, female이 $62{\pm}2\;g$ 이 되는 80 마리의 쥐를 8 군으로 하여서 한 군에(female 5, male 5)씩 나누어서 총 14주일 사육하였다. 성장율, 식이섭취량, F.E.R. P.E.R. 를 비교하여 보면 순백미 또는 백미에 보리를 혼합한 군보다 백미에 밀쌀을 섞은 군이 더 좋은 성장율과 F.E.R. 및 P.E.R. 을 나타내 주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male군인 경우 female군보다 더 현저하나 nitrogen retention 에 역시 밀쌀 혼합군이 백미군이나 백미에 보리쌀을 혼합한 군보다 현저히 우수함을 볼 수 있으며 몸무게 증가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곡류 diet 에서 배설된 nitrogen 중 $10{\sim}20%$가 변으로 배설되는 반면 표준군인 경우 nitrogen 이 거의 urine 으로 배설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곡류식인 경우는 함유된 단백질이 동물성 단백질식이에 비해 소화흡수되는 율이 저조하다. 혈청내 glucose 는 몸무게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cholesterol 은 표준군이 곡류 diet 보다 total cholesterol 함량이 감소했으나 esterified cholesterol 과 free cholesterol 의 비에서 보면 곡류식이군이 표준군보다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nitrogen 의 배설 상태 및 몸무게증가현상으로 미루어 밀쌀 혼합군이 보리쌀 혼합군보다는 우수하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

The Role of Protozoa in Feed Digestion - Review -

  • Jouany, J.P.;Ushid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113-128
    • /
    • 1999
  • Protozoa can represent as half of the total rumen microbial biomass. Around 10 genera are generally present on the same time in the rumen. Based on nutritional aspects they can be divided in large entodiniomorphs, small entodiniomorphs and isotrichs. Their feeding behaviour and their enzymatic activities differ considerably. Many comparisons between defaunated and refaunated animals were carried out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o explain the global role of protozoa at the ruminal or animal levels. It is now generally considered that a presence of an abundant protozoal population in the rume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amino acid (AA) supply to ruminants and contribute to generate more methane but, nevertheless, protozoa must not be considered as parasites. They are useful for numerous reasons. They stabilise rumen pH when animal are fed diets rich in available starch and decrease the redox potential of rumen digesta. Because cellulolytic bacteria are very sensitive to these two parameters, protozoa indirectly stimulate the bacterial cellulolytic activity and supply their own activity to the rumen microbial ecosystem. They could also supply some peptides in the rumen medium which can stimulate the growth of the rumen microbiota, but this aspect has never been considered in the past. Their high contribution to ammonia production has bad consequences on the urinary nitrogen excretion but means also that less dietary soluble nitrogen is necessary when protozoa are present. Changes in the molar percentages of VFA and gases from rumen fermentations are not so large that they could alter significantly the use of energy by animals. The answer of animals to elimination of protozoa (defaunation) depends on the balance between energy and protein needs of animals and the supply of nutrients supplied through the diet. Defaunation is useful in case of diets short in protein nitrogen but not limited in energy supply for animals having high needs of proteins.

한국인 일부 아동에서 식이성 단백질의 흡수 및 평형 (Protein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Korean Children)

  • 오승호;이성숙;이경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5-231
    • /
    • 1996
  • 본 연구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식이성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 체내 평형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국민학교 남자아동 8명, 여자아동 7명을 대상으로 4주간 평상시와 유사한 식단과 생활양식을 유지시키면서 각 대상자들이 섭취하는 동량의 모든 음식물과 배설한 대변 및 소변을 수거하여 질소 함량을 측정하므로서 1일 1인당 단백질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고 이로부터 외견적 소화흡수율과 체내 평형상태를 구하였다. 단백질 섭취량은 남자아동은 43.6~61.6g 범위로 평균 $52.3\pm1.2g이었으며$ 여자아동은 34.6~50.6g 범위로 평균 $43.1\pm1.3g이었다.$ 대변중 단백질 배설량은 남자아동은 7.3~11.1g 범위로 평균 $9.2\pm0.3g이었으며$ 여자아동은 6.7~8.9g 범위로 평균 $7.8\pm0.2g이었다.$ 단백질 흡수율은 남자아동은 79.2~85.6%범위로 평균 $81.9\pm0.6%이었으며$ 여자아동은 79.6~84.5% 범위로 평균 $81.3\pm0.4%로$ 상호 유사하였으며 이들은 다른 연령층을 대상으로한 단백질 흡수율(80~85%)과 비슷하였다. 소변으로의 1일 질소 배설량은 남자아동은 4.4~5.0g 범위로 평균 $5.3\pm0.1g이었으며,$ 여자아동은 3.1~5.3g 범위로 평균 $3.9\pm0.2g이었으며$ 대변 및 소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을 감안한 질소 평형 상태는 남자아동은 +1.0~2.6g의 범위로 $1.60\pm0.1g의$ 양의 평형이었으며 여자아동은 1.4~2.1g의 범위로 평균 $1.7\pm0.1g의$ 양의 평형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