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ization index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4초

Landsat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표면 열섬현상 변화분석 (Analysis of the Surface Urban Heat Island Changes according to Urbanization in Sejong City Using Landsat Imagery)

  • 이경일;임철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5-236
    • /
    • 2022
  • 도시의 인구 증가와 이에 따른 개발로 인한 도시화는 도시 내 열섬현상과 같은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계획적으로 구축되는 신도시의 경우 짧은 기간에 진행되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 기후의 변화를 분석하기에 적절한 연구대상지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Thermal Infrared Sensor (OLI/TIRS)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세종특별자치시 내 행정중심복합도시의 2013년부터 2020년 개발계획에 의한 토지피복 변화와 이에 따른 표면 열섬현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위성영상에서 제공하는 열적외선 밴드값과 방사율을 고려하여 지표면온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면 열섬현상 강도와 Urban Thermal Field Variance Index (UTFVI)의 변화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발이 진행됨에 따른 토지피복 변화 및 피복별 열섬현상 강도의 차이 확인을 위해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의 시가화 면적은 15% 증가하였고 자연식생은 28% 이상 줄어든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에 따른 열섬현상의 확장 및 강도 증가가 관측되었고, 열섬현상이 발생된 지역의 생태적 수준은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열 환경의 정량적 변화 및 생태적 수준을 확인하고, 주거환경의 열 환경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정책의 필요성이 제시될 수 있다.

도시확장강도와 건물침수의 공간적 관계성 (Spatial Relations of the Urban Expansion Intensity and Flooded Buildings)

  • 강상준;권태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759-764
    • /
    • 2017
  • 본 연구는 홍수로 인한 건물침수 발생지역과 시가지 확장현상 사이에 어떠한 공간적 상관성이 존재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강릉시 일대를 대상으로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와 Hotspot Analysis를 이용하여 공간적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지 분석을 통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침수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도시확장강도가 높으며 또한 그러한 확장이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 가도시화 성격이 강할수록 건물침수 발생 강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양호한 도시기반시설이 미흡하다고 여겨지는 구도심지역은 상대적으로 전체 연구대상지의 평균수준으로 건물침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높은 개발강도와 더불어 체계적인 도시기반시설마련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비교적 짧은 기간의 도시개발 또는 가도시화는 주택침수발생현상을 유발한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개연성은 공동주택지와 같은 신규개발지 증가가 신규개발지 인근 기개발지의 홍수취약성을 인접지역 신규개발 이전 상태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인과관계에 대한 향후 실증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국내 하천 기저유출지표 산정 및 도시화에 따른 기저유출 영향 분석 (Regional estimation of baseflow index in Korea and analysis of baseflow effects according to urbanization)

  • 강형식;현윤정;전상묵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2호
    • /
    • pp.97-10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과 PART 방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과 전국 하천을 대상으로 기저유출지표를 산정하고, 도시화에 따른 기저유출 영향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연평균 기저유출은 총유량 대비 약 40-44%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계절별로는 12월과 1월 겨울철에 9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 317개소 관측 유량에 대해 기저유출을 분석한 결과 기저유출이 전국하천 유량에 기여하는 비율은 연평균 약 4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20% 미만~80% 이상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기저유출지표가 적은 지역에서는 주변 생태계 보전을 위해 지하수 이용과 개발을 제한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동일 기상조건에서 1975년과 2000년도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기저유출 감소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도시화율 증가에 의해 하천유지유량의 경우 미달일수가 19일~24일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al Types and Biodiversity in the Sites of Geumgang Riparian Ecological Belts

  • Kang, Hyun-Ky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3-30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and the ecological items in five sites with a high level of artificial use intensity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Geumgang River riparian ecological belts. Methods: The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rest type, cultivated land type and urbanized type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locational types. Ecological items including plant ecology such as proportion, naturalization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of native species were analyzed and animal ecology such as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of wild birds, amphibians and reptiles, mammals, and butterflies and dragonflies, which are indicator insec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wild birds, butterflies and dragonflies found in all the subject lands were computed. Results: Among the plant ecological items, the ratio of native species in the forest type was higher than 90%, which was a satisfactory level, while the naturalization and urbanization indices were less than 10%.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anim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was reduced in the order of forest type, cultivated land type and urbanized type. A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e internal area of the planted are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of individuals. The area of grassland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dragonfly species and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reby illustrating that wet grasslands have positive effects. The area of surrounding forests, as an external environ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urbanization index (UI) but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habitation of butterflies and the total number of species.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e need for more diversified special compositions including planted land, grassland, wetland, bodies of water and waterways within the subject land in the wetland ecological belt along with the need for surrounding forest location and preser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urchase and restoration of land for enhancement of wider biodiversity in the future.

성주지역 문화재 지정(보호)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 (Status of Exotic Plant Species with in the Cultural Properties in Seongju-gun, Gyeongsangbuk-do)

  • 신현탁;김용식;이명훈;윤정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1호
    • /
    • pp.162-181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성주군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문화재 지정(보호) 구역을 중심으로 식물상 조사 결과를 토대로 외래식물 및 귀화식물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전통문화공간의 정체성을 알리고 이에 따른 보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관속식물상은 세종대왕자태실의 경우 50과 93속 94종 16변종 4품종으로 114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15분류군, 귀화식물은 16분류군으로 귀화율 14.04%, 도시화지수 5.90%를 나타냈다. 성주향교는 40과 64속 57종 8종 4품종으로 68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17분류군, 귀화식물은 30분류군으로 귀화율 44.12%, 도시화지수 11.07%로 나타났다. 성밖숲은 34과 58속 55종 5변종 1품종으로 61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10분류군, 귀화식물은 17분류군으로 귀화율 27.87%, 도시화지수 6.27%로 나타났다. 한개마을은 92과 183속 182종 1아종 32변종 14품종으로 230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28분류군, 귀화식물은 85분류군으로 귀화율 37.12%, 도시화지수 31.37%로 나타냈다. 성산고분군은 55과 107속 106종 19변종 6품종으로 131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18분류군, 귀화식물은 22분류군으로 귀화율 16.79%, 도시화지수 8.12%로 나타났다. 성주향교의 경우 귀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한개마을의 경우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에서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5개 지역 모두 외래식물 및 귀화식물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며 특히 한개마을의 경우 마을 전체에 대한 관리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성주향교 및 한개마을 지역에서 모두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중 하나인 돼지풀의 출현을 확인한바 이에 따른 관리대책이 요구된다.

춘천시 도심하천(태백천)과 도시림에 있어서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and Urban Forest of Chuncheon City)

  • 손호준;안치호;안승일;김남영;김영설;박완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184-201
    • /
    • 2011
  • 본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 춘천시를 도심하천, 하천상류 및 임연부, 도시림지역으로 나누어 귀화 식물 분포현황과 침입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한 결과 춘천시 내의 태백천유역과 도시림의 식물상은 81과 234속 295종 2아종 66변종 18품종 총 381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귀화식물은 가시박, 유럽나도냉이, 말냉이, 족제비싸리, 붉은토끼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 등 총 41종류가 나타났다. 춘천시 내의 태백천유역과 도시림의 귀화율(NI)과 도시화지수(UI)는 각각 10.79%, 15.30%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침입지수(II)는 도심하천지역이 63.41%, 하천상류 및 임연부지역이 97.56%, 도시림지역이 19.51%로 확인되었다.

도시화 정도에 따른 포천천과 영평천의 돌 부착규조 군집 변화 (Change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according to Urbanization Influence in the Pocheon and Youngpyeong Streams)

  • 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68-480
    • /
    • 2007
  • 도시화는 하천의 수리, 수질 및 수로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수생태계의 조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 포천천과 영평천 주변에 많은 인구와 소규모의 공장 등이 유입되어 도시화됨으로써 오, 폐수의 방류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화의 정도에 따라 하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돌 부착규조 군집의 조성이 다른 것에 기초로 하여 돌 부착규조 군집의 조성, 우점종 및 생태군 별 종 조성과 생물지수(DAIpo)에 의한 수 환경을 평가하였다. 두 하천의 도시화 지수는 포천천의 정점 P-3와 P-5에서 각각 85와 91로 매우 높은 반면에 영평천 주변의 도시화지수는 약 20 이하였다. 본 조사에서 돌 부착규조는 총 141종류로써 2목, 8과, 30속, 128종, 12변종, 1미동정종으로 구성되었다. 출현 종수는 포천천에서$11{\sim}36$종류의 범위였고, 영평천에서 $14{\sim}45$종류의 범위였다. 우점종은 포천천에서 Navicular saprophila, N.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Gomphonema pseudoaugur 등이었으며, 영평천에서 Achnanthes alteragracillima, A. convergens, A. minutissima, N. minima, N. fonticola, N. frustulum와 Cymbella minuta var. silesiaca 등으로써 두 하천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도시화 지수와 EC, BOC, COD, TN, TP. 및 DAIpo 등은 높은 상관관계 $(r^2>0.8)$를 나타내었다. 도시화에 따라 유기오염의 정도가 매우 다르며, 이에 따라 돌 부착 규조의 생태군이 포천천에서는 호오탁성종의 종수 및 상대빈도가 매우 높은 반면 영평천에서는 호청수종의 종수 및 상대빈도가 높았다. 생물지수(DAIpo)에 의한 두 하천의 수질은 포천천에서 조사 동안 강부수성(P-3, 4, 5)을 나타내었고, 영평천에서는 빈부수성(Y-1)에서 강부수성(Y-4)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지난 40년간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in Korea Peninsular During the Past 40 Years)

  • 김남신;김경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38
    • /
    • 2013
  • 본 연구는 한반도 기온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대의 변화와 도시지역에서의 기온분포의 시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74년부터 2007년까지 34년간 남북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온은 고도와 선형관계를 갖기 때문에 고도별 월별 기온단열감율을 계산하여 역거리가중법으로 500m 해상도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도시화 지역에서의 자료는 연도별 인구변화와 기온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온량지수로 구분한 기후대는 남부기후구가 90년대 이후 위도가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지역의 평균기온상승은 80년대와 90년대에 $0.5{\sim}1.2^{\circ}C$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온 상승은 서울과 광역시 그리고 시단위 지역에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은 80년대와 90년대에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시화와 산업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 지역이다. 북한의 경우는 평양, 안주시, 개천시, 혜산시에서도 인구증가와 더불어 기온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xonomic Study on the Plant Resources in Gasado (Jindo)

  • Kim, Ha-Song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114-119
    • /
    • 2003
  • In this study, a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around Gasado island at Jodo-myeon, Jindo-gun, Jeonnam during July 2 to 25, 2002. The naturalized plants investigated in the surveyed sites were revealed 15 families and 39 species, including Althaea rosea and Oxalis articulata, which are ornamental plants. Only 10 species appeared in Imjado island among the surveyed sites the surveyed sites and Imjado Island, including Elymus sibiricus, Lolium perenne, Chenopodium album, Oxalis articulata, Oxalis corymbosa, Oenothera odorata, Xanthium strumarium, Bidens frondosa, Ambrosia artemisiaefolia var. elatior, and Taraxacum officinale. 6 species were distributed only in Gasado island, Jindo-gun, which included include Festuca myuros, Chenopodium ambrosioides, Amorpha fruiticosa, Malva neglecta, Calendula arvensis, and Carthamus tinctorius. 18 species were showed in Soheuksan island.; Yeosu area, 29 species; Imja Island in Sinan-gun, 34 species, and Gasado Island in Jindo-gun revealed 39 species. It is believed that the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have been expanded compared to the other areas because of close location to the inland and large population fastiy. The Urbanization Index(UI) of this area was found to be 19.5. The naturalized plant communites in these surveyed sites were classified into Rumex crispus, Elymus sibiricus, and Lolium perenne community according to the vegetation table. Furthermore, they formed a community around areas that received great artificial influence from human dwellings or roa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pecies distribution

  • PDF

천관산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Cheongwan)

  • 김동철;정영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3-266
    • /
    • 2011
  • 천관산의 관속식물은 89과 221속 270종 47변종 6품종의 총 323분류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기할 식물로는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인 히어리 1종이 분포하였고, 한국특산식물은 6과 6속 5종 1품종 총 6분류군이 생육하며,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등급 29종, II등급 2종, III등급 6종, IV등급 2종, V등급 1종으로 총 40종의 식물이 분포하였다. 귀화율은 3.72%, 도시화지수는 4.14%로 확인되어 비교적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