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ization Index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5초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habitat on the coastal sand dune ecosystem

  • Lee, Jeom-Sook;Jeon, Ji-Young;Ihm, Byung-Sun;Myeong, Hye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3호
    • /
    • pp.167-175
    • /
    • 2012
  • Coastal sand dune systems are particularly fragile and threaten the environment. However, these systems provide fundamental ecosystem services to the nearby urban areas, acting, for example, as protective buffers against erosion. In this paper, we attempt to classify the biotope types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s and select an index for the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value. The types of biotope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vegetation map; floras are examined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s of hinterlands on coastal sand dunes. In addition, a naturalization rate and an urbanization index for each biotope type in hinterlands are analyzed. In the ecosystem of coastal sand dunes,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shows a higher value in sand dunes with areas of road, residential, and idle land in farm villages, rice fields, and fields. On the contrary, a lower value in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is present when typical biotope types, such as sand dune vegetation and natural Pinus thunbergii forests, are widely distributed. Based on these results,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should be used as critical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the ecosystem of costal sand dunes.

일최저기온을 이용한 부산의 도시화효과와 도시화 원인과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Cause of Urbanization and Urbanization Effect of Busan by Using Daily Minimum Temperatures)

  • 박명희;이준수;안지숙;서영상;한인성;김해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477-1485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urbanization effects and the causes of urbanization, urban population growth, increase of the city scale, land cover change, and human cultures and economic activities, using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s of the past 50 years (1961-2010) with the subject of Busan and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urbanization effects and the causes of urbanization. Thereby, this paper drew a conclusion as below: 1) Due to the urbanization effects, the average annual daily minimum temperature increased as about $1.2^{\circ}C$; however, except for the factor of urbanization, the increase was shown as about $0.2^{\circ}C$. The occupancy of urbanization effects in the total temperature increase was quite high as about 83%. 2) Just like other cities experiencing urbanization, Busan, too, sees population growth and the expansion of city area as well as increased urbanization effects. First of all, correlation between population growth and urbanization effect was high as 0.96 before 1985 while it was lowered as 0.19 after 1985. Also,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of city area and urbanization effect was high as 0.64 and 0.79 before and after 1985. 3)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long-term land use change and urbanization effect, urbanization effect was affected greatly by the increase of city area (0.97) and reduction of green area (0.92). 4) Concerning human activities possible to affect the climatic factors of a city, this paper found the following factors: road length, car increase, power use, and the consumer price index, etc. An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factors and urbanization effect, the correlation was higher in the consumer price index (0.97), the number of registered cars (0.89), power use (0.75), and road length (0.58) in order.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y in Rural Village of Korea)

  • 김한수;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89-403
    • /
    • 2011
  • 인간 활동이 생태계의 훼손과 생물다양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35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자연생태계의 교란정도를 알 수 있는 귀화식물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대상지에 대한 토지이용 현황도를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경관생태학적특성을 정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의 경관지수와 귀화식물 분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경관지수는 공간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은 Urbanization Index와 Naturalization Inde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귀화율과 패치밀도, 귀화율과 가장자리밀도, 귀화율과 면적가중평균형태지수 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귀화율과 핵심면적백분율, 귀화율과 평균핵심지역 등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Landsat 영상을 활용한 북한 주요도시의 도시화 지수 분석 (Urbanization Analysis of Major City in North Korea Using Landsat Imagery)

  • 김준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7-286
    • /
    • 2015
  • 본 연구는 Landsat 영상을 활용하여 북한 주요도시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NDVI와 NDBI를 구하고 이를 차분화한 UI지수를 통한 공간성(LISA)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성과 평양 모두 도시화의 정도는 커졌으나, 공간적 성향은 서로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핵심지역인 평양의 도시화 지수는 1994년부터 개성보다 더 빠른 추세로 진행되고 있었고 기존 도심에서 주변으로 점차 확장되어 도시 전반적으로 시가화 개발이 이뤄지고 있었다. 반면 개성의 경우 NDVI 수치의 변화폭이 많은 점 등으로 미뤄볼 때 기존의 산림과 같은 식생지역을 개발하여 시가지로 확장되는 패턴으로 하나의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도시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UI와 LISA 분석만으로도 북한의 도시화 정도와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자료의 추출이 가능함과 동시에 향후 북한의 도시변화와 정치적 영향력이 어떠한 형태로 변화되는지 등의 공간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계적 변화 분석(gradient analysis)을 적용한 도시화의 공간적 평가 (The use of Gradient Analysis in Spatial Understanding of Urbanization)

  • 이동근;최혜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6호
    • /
    • pp.357-366
    • /
    • 2008
  • It is certain that urbanization has transformed the ecological consequences severely, but urban ecosystem is not fully understood yet. Urban growth is not like a static form and it spreads spatially and temporally. Therefore in studying urban ecosystem, it is important to relate the spatial pattern of urbanization to ecological processes. Using gradient analysis, we attempted to quantify the urbanization's spatial impacts in Daejeon-city and Cheonan-city, Chungcheong-province, Korea. Because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Planning (MACP), a lot of development projects are planned in Chungcheong-province, Korea. It's important to study about original cities' patterns and impacts. These results can be adopted to future city planning. So several measures such as fragmentation, vegetation index, surface temperature, population density, and income rate were computed along a 75km long and 3km wide transect. The results showed that Daejeon-city has a wider urban center, lower vegetation indexes, and higher surface temperature than Cheonan-city. Therefore in the perspective of urban environments and sustainable urbanism, it seems that Cheonan-city is better than Daejeon-city. The changes along the transect have important ecological implications, and quantifying the urbanization gradient is an important step in understanding urban ecology.

부산광역시 낙동강 생태공원의 귀화식물상과 특성 - 을숙도생태공원, 맥도생태공원, 삼락생태공원을 중심으로 -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Nakdong River Ecological Park in Busan Metropolitan City - Focused on Eulsukdo, Maekdo and Samnak ecological parks -)

  • 곽수빈;정재현;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9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to establish management solutions and to improve biodiversity by calculating similarity index, urbanization index (UI), and disturbed index (DI)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and invasive alien plants in Eulsukdo, Maekdo and Samnak ecological parks in Busan, South Korea.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identified in these parks were 76 taxa; 20 families, 53 genera, and 76 species. As a result of the similarity index analysis, the most similarity level (83.0%) was obtained at Eulsukdo and Maekdo parks. The numbers of invasive plants identified in the two parks were 11 taxa; Rumex acetosella L.,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mbrosia trifida L., Hypochaeris radicata L., Lactuca serriola L., Solidago altissima L.,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Paspalum distichum L., and Humulus scandens (Lour.) Merr. Overall, UI and DI were 28.6% and 66.7%,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ecosystem disruption was serious.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의 식물상 및 출현빈도 비교-불광천을 사례로- (The Comparison of Plants and Vegetation Transect in a Straight and a Restoration Section-A Case Study of Bulgwang Stream in Seoul, Korea-)

  • 정진아;김혜주;이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74
    • /
    • 2004
  • 본 연구는 2000년 일부 구간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된 불광천을 대상으로 하여 한 하천 내에 정비방식이 다른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으로 구분하여 식물상 및 식물종의 출현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는 2003년 5월과 8-9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식물상은 하천의 양안에 출현한 모든 식물을 동정하여 정리하였고. 식생은 200m를 기준으로 하여 Belt-transect 방법을 이용하였다. 2003년 5월 및 8-9월은 직강화 하천구간에서는 33과 73속 88종의 식물이 출현하였고.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은 36과 76속 90종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율 (Naturalized Index:Nl)은 직강화 하천구간은 22.7%,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은 21.1%였고, 도시화지수 (Urbanization Index:Ul)는 직강화 하천구간이 7.8%.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이 74%로 직강화 하천구간이 자연형 하천복원구간보다 약간 높았다. Belt-transect 조사법에 의한 식물종 출현빈도 결과는 직강화 하천구간에서는 하안에는 여뀌와 환삼덩굴이 제방에는 망초와 큰비짜루국화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이에 반해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에서는 하안에는 갯버들, 여뀌, 소리쟁이. 환삼덩굴이, 제방에는 망초와 큰비짜루국화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즉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 구간은 제방에는 구간에 따른 차이가 없고, 하안의 경우에는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에 도입된 갯버들이 출현하여 차별을 보였다.

전남 북부지역의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Northern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Korea)

  • 임동옥;김하송;박문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06-515
    • /
    • 2009
  • 본 논문은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북부지역 7개 시 군 지역에서 각 2곳을 선택하여 총 14개 조사 지역에서 외래식물과 귀화식물의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은 26과 79속 105종 6변종 111종류로 확인되었다. 도시화지수는 함평군이 21.95%로 가장 높았으며 곡성군이 16.38%로 가장 낮았다. 귀화식물 과별 출현종류는 국화과가 36종류(32.43%)로 가장 많았고, 벼과 17종류(15.31%), 콩과 7종류(6.31%) 순이었다. 주요 귀화식물군락은 군락조성표에 따라서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군락, 개망초군락 및 망초군락 등 21개 군락이 확인 되었다. 생태계 위해귀화식물은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애기수영, 도깨비가지,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및 단풍잎돼지풀 등 7종이었다. 국가 차원에서 외래종의 통합관리방안이 필요하지만 외래종분포를 확인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 자생종의 보전과 보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전라남도 동부지역의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Eastern Area of Jeollanamdo, Korea)

  • 박문수;임동옥;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89-498
    • /
    • 2011
  • 본 조사는 2006년 3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전라남도 동부지역 7개 시 군 14개 지역의 귀화식물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은 총 22과 75속 118종 5변종 123종류가 조사되었다. 조사지역별로는 순천시 시가지가 83종으로 가장 많았고, 여수시 산업단지 66종, 여수시 시가지와 고흥군 도로변이 각각 52종이었다. 낮게 나타난 지역은 순천시 쓰레기매립장과 장흥군 농공단지가 각각 21종, 구례군 지리산국립공원 구례지역이 27종이었다. 도시화지수는 순천시가 30.31%로 가장 높았고, 구례군이 18.12%로 가장 낮았다. 과별 출현 종류는 국화과 37종류(30.1%)로 가장 많았고, 벼과 17종(13.8%), 콩과 14종(11.4%), 십자화과 8종(6.5%), 마디풀과 7종(5.7%), 메꽃과 5종(4.1%) 순이었다. 주요 귀화식물군락은 아까시나무군락, 족제비싸리군락, 원추천인국군락, 털물참새피군락, 서양민들레군락, 미국자리 공군락, 양미역취군락, 소리쟁이군락, 개망초군락, 망초군락, 달맞이꽃군락, 미국가막사리군락, 기생초군락, 돼지풀군락, 만수국아재비군락, 울산도깨비바늘군락, 노랑코스모스군락, 애기땅빈대군락, 미국개기장군락, 비짜루국화군락 등 총 20개 군락이 확인되었다. 생태계 위해 귀화식물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등 5종이었다. 생육지별 특성에 따라 시 군 읍 지역, 국립공원지역, 농공단지 지역, 강 및 하천지역, 쓰레기매립장 지역, 항만 및 산업단지 지역 등 6개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분포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한 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