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runoff monitoring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8초

유역의 불투수성에 따른 강우유출특성 비교 (The Watershed Imperviousness Impact for the characteristic of stormwater runoff)

  • 함광준;김준현;허범녕;최지용;김영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2호
    • /
    • pp.157-16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mperviousness impact for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and water temperature. The land-use map was used to estimate the watershed imperviousness(percent of impermeable area) and the RMS(Remote Monitoring System) was used to evaluate the stormwater runoff of watershed.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wo streams(Jiam and Gongji) in Chunchon City. The detailed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The imperviousness(%) of two watersheds(Jiam and Gongji) estimated by spatial analysis which is main function of GIS were 0.24% and 24.16%. So, Gongji watershed as urban area was about 100 times than jiam watershed as forest area. In case of rainfall of low intensity, stormwater runoff flowrate in higher imperviousness area(Gongji) was more than it in forest area(jiam). Also, The time to peak flowrate(Tp) was short in Gongji stream and the water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Gongji and Jiam stream was about $4.4^{\circ}C$ in summer.

시험유역 운영을 통한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 (Assessment of the Wetland Soil Development of Constructed Wetlands using Soil Properties of a Reference Wetland)

  • 이주헌;김창주;박민재;신정수;장호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1-192
    • /
    • 2012
  • 대동천 유역은 2007년부터 UNESCO IHP(International Hydrologic Programme)의 대표시험 유역으로 선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대동천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방재 시험유역으로서의 모니터링 계획이 수립되어 강수량, 유출량 및 수질 등과 같은 수문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도에 측정된 유량 및 수질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하천 유역에서의 강우-유출수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유역 운영결과로서 판암교 지점과 철갑교 지점의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작성 하였으며, 강우량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10개의 수질항목에 대한 유량가중평균농도(EMC)를 산정하여, 강우량, 선행강우량 및 토지이용 상태에 따른 관측지점별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에 대해 분석 하였다.

도시유출해석을 위한 도시수문 모니터링 기법 적용 (Application of Urban Hydrologic Monitoring System for Urban Runoff Analysis)

  • 서규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37-44
    • /
    • 2005
  •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동의대 시험유역은 공간적으로 주위가 산의 능선으로 둘러싸여 유역내의 유출은 거의 대부분 단일 유출구로만 유출이 이루어지며, 부산지방의 도시유역의 특징인 경사지형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유역기초자료 및 기상관측장비(EMS)와 자동수위관측장비(AWS)를 통해 수집된 각종 수문자료들과 유역상세자료들을 조사하여 ILLUDAS 모형과 SWMM 모형, HEC-HMS 모형의 기본입력자료로 사용하여 시험유역 유출특성을 검토하고, HEC-HMS 모형에 대한 검정 및 검증을 통해 시험유역 저류지설계에 사용한다. HEC-HMS 모형에 소하천 설계기준인 30년 설계강우를 설정하고 불투수율의 변화양상에 따라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고, 유출누가곡선상에서 저류지의 용량을 결정하였다. 시험유역의 최종 유출부 상류에 $54,000m^3$의 가상 저류지를 설계하였고, 저류지 설계 후 유출양상을 검토해본 결과 유출의 첨두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저류지설계로 도시지역의 유출이 감소됨으로서 도시홍수방재에 있어서 적용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에 따른 서낙동강 시험유역에서의 수질영향 분석 (Effe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Quality in Seonakdong River Experimental Catchment)

  • 강지윤;김정민;김영도;강부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7-206
    • /
    • 2013
  • Recently, climate change causes climatic anomaly such as global warming, the typhoon and severe rain storm etc. and it brings damage frequently.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are prevalent all over the world in this century and many researchers including hydrologists have studied on the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Seonakdong river watersh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was selected as a study area. Real-time monitoring system was used to draw the rating curves, which has 0.78 to 0.96 of $R^2$. To predict runoff change in Seonakdong river watershed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change in hydrologic runoff were predicted using the watershed model, SWAT. As a result, the runoff from the Seonakdong river watershed was increased by up to 45 % in summer. Because of the non-point sources from the farmland and the urban area, the water quality will be affected by the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operating plan of the water gates in Seonakdong river will be sugges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runoff due to the climate change. The optimal watergate opening plan will solve the water pollution problems in the reservoir-like river.

도시 및 도로 조경공간을 활용한 소규모 인공습지 조성 기술 (Development of small constructed wetland for urban and roadside areas)

  • 강창국;;손영규;조혜진;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1-242
    • /
    • 2011
  •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건물의 옥상 및 교통관련 시설물 또한 증가하여, 녹지공간은 감소하고 불투수면은 증가하게 된다. 불투수면이 증가함에 따라, 도시내 자연적 물순환 시스템 파괴, 비점오염물질 증가, 생태축 단절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수리학적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최근 들어 국민들의 생활 및 의식수준이 향상되면서, 도시의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측면, 환경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강우유출수 관리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면서 Low Impact Development(LID) 관련 기술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 환경에 적합한 가이드라인, 설계기준 등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시 및 도로가에 적용하기 위한 소규모 인공습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Pilot-scale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TSS, $COD_{Cr}$, TN, TP, Total Pb에 대한 평균저감효율이 각각 95%, 82%, 35%, 91%, 57%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규모 인공습지가 향후 도시 내 효율적인 물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D시설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 저감효율평가를 위한 SWMM모델의 적용 (Application of SWMM for Reduction of Runoff and Pollutant Loading in LID Facilities)

  • 정광욱;정종석;박진성;현경학
    • 토지주택연구
    • /
    • 제8권4호
    • /
    • pp.249-256
    • /
    • 2017
  • 최근 도시의 확대와 팽창에 따라 불투수층 증가에 따른 물순환의 건전성 약화, 녹지 등 생태계의 파괴 등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LID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인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를 대상으로 SWMM 모텔을 구축하여 LID시설 적용 전후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 저감효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6년 강우를 대상으로 모의한 결과 배수구역 기준 12.2%, 집수구역 기준 62.0%의 유출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OD오염부하 저감효과 평가 결과 배수구역기준 15.5%, 집수구역 기준 74.9%, TP의 경우 배수구역기준 9.2%, 집수구역 기준 71.4%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아산탕정 지구 내에 설치된 4가지 시설물에 대한 효과분석 결과 효율은 식생수로가 가장 높고 측구형 침투시설이 가장 낮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하지만 이는 시설물의 개소수, 체적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로 실제 시설물의 효율을 비교를 위해서는 시설물의 공극률을 고려한 체적을 산정하여 비교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집수면적당 시설물의 공극률을 고려한 체적(V/A)이 낮은 침투도랑 및 측구형 침투시설이 가장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SWMM 모델의 LID모듈을 이용하여 물순환 및 오염부하 저감효과를 검토한 결과 정량적인 해석이 가능하였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의 검토를 통해 효과적인 LID시설을 설계하는데 활용 기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 중소 도시지역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in Small City Urban Area)

  • 이홍신;이승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3-202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 중소 도시지역에서 강우 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의 유출경향을 분석하고 초기강우기준을 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국가산업단지가 소속되어 있는 구미시 원평동의 주거지역으로 선정 되었으며 모니터링 기간은 3개월에 걸쳐 시행되었다. 연구지역의 유역면적은 24.9 ha이고, 토지이용형태는 주거지역으로 대상유역의 80%가 불투수 면적(포장의 형태: 아스팔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은 총 6회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모든 수질항목에 대해 EMC (Event Mean Concentration)와 SMC (Site Mean Concentration)를 산정하였다. 또한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입경크기분포의 변화와 초기세척 현상을 관찰하였는데, 입경크기분포는 10%입경($D_{0.1}$), 50%입경($D_{0.5}$, 90%입경($D_{0.9}$이 각각 9.82 ${\mu}m$, 38.99 ${\mu}m$, 159.61 ${\mu}m$로 나타났고, 초기세척 현상은 용존성 물질보다 입자성 물질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MFF_n$ (Mass first flush)을 이용하여 초기강우기준을 검토한 결과 초기우수유출수의 부피 30%에 오염물질부하량의 부피 44.4~58.5%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FF_n$과 입경크기분포는 자연형, 장치형 시설과 같은 다양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계 및 운전과 초기강우기준 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심지역 강우유출수 처리목적 식물재배화분의 성능 및 설계인자 분석 (Performance Assessment and Design Evaluation of Bioretention Planter Boxes Treating Urban Stormwater Runoff)

  • 게라 하이디;박기수;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2-79
    • /
    • 2018
  • 소규모 바이오 리텐션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식물재배화분은 유출저감과 함께 비점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도시지역에 유망한 LID 시설이다. 본 연구에서는 2개소의 실증 식물재배화분을 모니터링 평가하였다. 이 시설을 통하여 1개소의 시설에서는 강우량이 15mm 이하일 경우 85-100% 유출저감을 달성하였으며 강우량 50mm에서는 50-64%의 유출저감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TSS와 유기물질, 영양소 및 중금속의 저감효율은 40-95% 이었다. 이와 반면에 다른 시설에서는 동일한 강우조건에서 강우유출수 전량이 포착되어 유출발생이 일어나지 않았는데 식물재배화분 통과 후 배수 및 지하여건에 대한 정밀한 재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황이 주변 지하수나 지하구조물에 위해를 가할 수 있으므로 식물재배화분의 설계 및 시공시 투수속도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투수계수가 지나치게 큰 지역에는 토목섬유 포설이나 차수 배리어와 같은 라이닝 시공을 실시해야 한다.

저영향개발 (LID)을 적용한 빗물 관리 시스템에 의한 물 순환 복원 (Restoration of Water Cycle by a Rainwater Management System Applied to Low Impact Development (LID))

  • 이동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2호
    • /
    • pp.130-133
    • /
    • 2016
  • 도시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우수의 지중 침투량 감소에 의한 지하수위 하강, 강우 유출량 증가에 의한 침수해, 고농도 초기 우수에 의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책방안으로서 저영향개발 기법 도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영향개발 (LID) 기법이 적용된 단지 내 빗물관리시스템 모니터링에 의한 물 순환복원효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빗물관리시스템을 적용한 단지 개발에서 기존 방식에 비교하여 물 순환 효율이 41%가 증가하였다.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microbial community presence and survival to the water quality performance of urban stormwater nature-based solutions

  • Geronimo, Franz Kevin;Guerra, Heidi;Jeon, Minsu;Reyes, Nash jett;Kim, Lee-Hyu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9-139
    • /
    • 2022
  • Nature-based solutions (NBS) involved conservation or rehabilitation of natural ecosystems or the creation of natural processes in modified or artificial ecosystems to mimic natural processes for the improved management of water (UN-Water, 201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bial presence and survival to the pollutant treatment performance of seven different stormwater NBS managing urban stormwater runoff. In this study, seven different stormwater nature-based solution (NBS)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microbial community to the pollutant removal performance of stormwater NBS. Based on this study, Proteobacteria was found to be the most dominant microorganism for all stormwater NBS and IS followed by Acidobacteria and Actin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Chloroflexi, Gemmatimonadetes, WS3, and AF234118_p were found to have high positive correlation to most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different stormwater NBS (r-value: 0.62 to 0.68). Using Proteobacteria and Acidobacteria count in stormwater NBS, equations predicting pollutant removal performance were also developed and may be used in minimizing the cost for stormevent monitoring to identify the pollutant removal performance of stormwater NB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