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Neighborhood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9초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Park Performance Assessment Tool (PPAT)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Neighborhood Parks)

  • 김용국;김영현;유예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0-1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Park Performance Assessment Tool, PPAT)를 개발하는 것이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 풀을 구성하였다. 둘째, 전문가 자문회의 및 시범 평가를 통해 국내 공원 여건에 적합한 평가항목으로 정제하였다. 셋째, 시범 평가를 통한 공원성능평가도구(PPAT)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넷째, 전문가 설문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평가표와 평가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를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22개 근린공원에 적용하여 물리적 공간 환경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공원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열악한 질의 근린공원이 다수 발견되었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는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 공원 정비사업 우선순위와 사업추진방식 선정, 우수 공원 인증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친환경 근린주구 인증제도 개발을 위한 국내외 인증제도 비교연구 : 탄소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Research of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for Low Carbon and Sustainable Neighborhood)

  • 신은미;이병호;신성우
    • KIEAE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1-26
    • /
    • 2013
  • Recently, as the concern over environmental problem has been serious all over the world, carbon has become a key issue to mitigate the problem.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various sustainable assessment systems and LCCO2 assessment strategies have been developed, guiding low carbon building while planning. However, assessment system for low carbon neighborhood, which can be more efficient strategy, is still in the stage of research. In this paper, as a research for low carbon assessment system and planning guideline for neighborhood, scope meeting domestic condition has been set and sustainable assessment system for neighborhood, which is similar to low carbon concept, have been compared. LEED-Neighborhood Development, BREEAM-Communities, CASBEE-Urban Development, and GBCC-Apartment Houses were used for compariso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ose systems has many differences in judging system, aggregating method, scope of evaluation, and relations with a building assessment system. The concern about carbon is not insufficient yet. Finally, assessment system for low carbon neighborhood, which is not only for establishing the plan, but also for giving guideline at the very first state of the plan, should be developed as fast as passible. With the result of this paper, establishment of assessment criteria and the way to measure quantitative $CO_2$ should be studied forward.

국내신도시 사례를 통해서 본 뉴어바니즘 도시설계요소 분석 -서울시 은평뉴타운 1구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New Urbanism Urban Design Factors in New Town -Case Study on Eunpyung New Town District 1 in Seoul -)

  • 나인수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31-38
    • /
    • 2021
  • The design principles of new urbanism (NU) have been adopted for new towns-in town projects for inner city neighborhoods in Seoul, Korea Since 2000. Here, ten NU principles were matched to four urban design categories: streets, land use, housing and buildings, and public open spaces. These elements were analyzed for Eunpyung New Town project. Through the case, the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NU principles are explored. The principles of connectivity, quality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increased density, green transportation, sustainability, and quality of life were positively and successively adopted for streets, land use, housing and buildings, and public open spaces. The principles of mixed-use and diversity and traditional neighborhood structure were only partially applied in land use, housing and buildings, and public open spaces. It should be note that the walkability principle is intended not for job-housing proximity, but for pedestrian-friendly street design.

선진국 도시재생 사례비교를 통한 말레이시아 주거재생 전략의 모색 (How can the development of neighbourhood renewal strategies in Malaysia be informed by best practice and transferable lessons from developed countries)

  • 틴완준;이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69-486
    • /
    • 2017
  • 말레이시아에서는 전면개발방식의 도시 재개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젠트리피케이션, 역사성과 정체성의 상실, 불평등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따라서 앞으로의 말레이시아 정부는 도시 재개발에만 의존하는 것 에서 벗어나 또 다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역 기반 주거재생은 낙후 지역을 총체적인 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재개발, 회복, 재활성화 및 보전 등을 통합하는 전력이다. 본 연구 목적은 선진국 주거재생 사례를 비교 검토 하고 말레이시아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검토를 통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람중심 장소중심 체계중심의 정책을 통합하는 주거지 재생을 통해, 적절한 자원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성의 중요성, 주민참여, 그리고 공평하고 공정하며 체계적으로 자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 협치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결론적으로 말레이시아의 주거지재생은 진정한 지역 주민의 참여와 지속 가능한 재원조달 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역주민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실행자 역할을 하기 보다는 지원자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다.

도시 저층주거지의 생활권 중심 분석 (The Analysis of a Neighborhood Center in the Urban Low-rise Residential Areas)

  • 구미경;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19-29
    • /
    • 2016
  • As a lifeway and social change, the neighborhood build up around elementary school based on Perry's Neighbourhood Unit becomes change. Elementary School does not function as a center of residents' activity or community any longer. Activities occurred near the school move to the community streets that many facilities are distributed to, while utilization of facilities near schools becomes lower. On the bases of the current states, this study aims to draw a practical neighborhood center of residential areas by case study. The research is being mainly about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which includes one elementary school at least. In order to deduct the center of neighborhood, the survey takes two steps. At the preliminary survey, conduct the observation and do an interview to investigate awareness and actual status. Also to analyze practical center, do a main survey about land value, pedestrian volume, distribution of public transit and facility density.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re is another activated center street not nearby elementary school in every case. This study assumes that the neighborhood center is not limited around elementary school and could variously build up by circumstances. It has significance that we present a question about the traditional theory and also could be references of the future city maintenance in the long term.

근린공원 CPTED 적용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유형별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CPTED Evaluation Indicators and Assessment of Types in Neighboring Park -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Busan -)

  • 손지현;김종구;김유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237-254
    • /
    • 2015
  • 공원은 도시에 활력을 주는 중요한 시설이나 관리의 부재시 우범지대로 전락할 수 있다. 최근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에 의한 다양한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공원 설계시 CPTED를 도입하는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시행했다. 그러나 이를 공원에 적용하고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기 위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근린공원의 CPTED 평가를 위한 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 검증을 통해 지표별로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후 이를 기준으로 부산시에 위치한 근린공원을 CPTED 도입정도에 따라 유형별로 나눠 각각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리적 요소는 설계단계부터 CPTED가 도입된 공원의 점수가 현저히 높았고, 사회적 요소의 경우 각 공원별 특성에 따라 다른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 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 요인 분석: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ed on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Seoul)

  • 이나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25-445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별로 주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도출하여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을 실시하는 창신·숭인동, 해방촌, 가리봉동 지역을 사례로 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창신·숭인동에서는 로컬 거버넌스 요소 중 자율성, 가리봉동에서는 자율성과 네트워크가 증가할 때 주민 삶의 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별로 지역재생역량의 요인을 살펴보면, 지역정체성은 세 지역 모두 경관적 특성이 주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지역공동체는 창신·숭인동의 경우 개인역량, 가리봉동의 경우 참여역량, 관계역량이 증가할 때 주민 삶의 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자산은 세 지역 모두 자연적 자산과 사회적 자산이 주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심지역 산지형 근린공원내 도로에 의한 단절지역 생물이동통로 조성계획 연구 - 동작구 노량진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An Ecological Corridor Plan in an Urban Neighborhood Park - A Case Study of Noryangjin Neighborhood Park in Dongjak-gu, Seoul -)

  • 한봉호;김정호;김종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31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sign a bridge-type ecological corridor plan in a forested neighborhood park affected by road construction in Dongjak-gu, Seoul. In order to study the site conditions, we analyzed topography, ecosystem structure, and user behavior and trail use. Existing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2 types. Based on a vegetation analysis, the Populus albaglandulosa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where planted species are dominant, were distributed extensively in the southern forest area. Planted areas with a single-layer structure of Korean landscape woody plants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with a single-layer structure were distributed extensively in the northern forest and water-supply area. Based on a study of 28 quadrats,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the multi-layer plant communitie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forest and the single-layer planted areas was low. Twenty-four species of wild birds(355 individuals) were found in the survey area, including nine interior species and three urban species. The study of user behavior and numbers showed most users were walkers and few users were observed in the southern forest while most users were observed in the northern forest and water supply area. We selected some wild birds as model species to represent migrating species believed to use this park as an ecological corridor during migration. We suggested the new park plan include the following: improvement of vegetation structure for wildbird migration and habitat, connection of park trails for users and presentation of a landscape linked to nature.

공유 전동킥보드를 고려한 수단선택모형 추정 - 접근통행과 생활권통행을 중심으로 - (Estimating a Mode Choice Model Considering Shared E-scooter Service - Focused on Access Travel and Neighborhood Travel -)

  • 김지윤;김수재;이경재;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2-3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공유 전동킥보드가 운영되고 있는 1기·2기 신도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SP조사를 수행하여 광역교통수단의 접근통행과 생활권통행의 공유 전동킥보드를 고려한 수단선택모형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두 모형에서 공통적으로 통행시간과 통행비용이 음의 계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통행은 통행시간에, 생활권통행은 통행비용에 보다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속성 및 가구속성에 따른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선호도를 살펴보면 40세 이하, 자전거 소유, 주로 이용하는 수단이 대중교통인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 반면, 가구 월소득 300만원 미만, 개인 승용차 보유는 이용선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정보분석시스템을 활용한 공공서비스로서의 도시공원 입지특성 평가 - 충북 청주시를 대상으로 - (Assessment on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 as Public Servic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System: Focused on Cheongju City)

  • 배민기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3호
    • /
    • pp.231-24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positioning strategies of urban park (UP) based on the assessment of location characteristics at cheongju city. To do that, this research found out urban park service area (UPSA) using GIS network analysis and built socio-economic attribute database, UP map, and other public service thematic maps such as public transportation, education, child-care, and convenience services. And this research analyzed spatial and attribute data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1) the nearer neighborhood park and children's park, the higher land price and assumption income level (AIL). 2) children's parks were closed to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bank, hospital, and convenience store. 3) land price, AIL, population, and other public services level (PSL) in UPSA were higher than that of non-UPSA. 4) The higher land price, AIL, population, and other PSL, the higher urban park service lev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resolve the regional UP unbalance and to improve UP service level as public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