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rban Big Data

Search Result 24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딥러닝 시티: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제안 (Deep Learning City: A Big Data Analytics Framework for Smart Cities)

  • 김화종
    • 정보화정책
    • /
    • 제24권4호
    • /
    • pp.79-92
    • /
    • 2017
  • 도시 기능이 복합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 시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 시티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교통, 안전, 복지, 생활 등 도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세계 각국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기술을 스마트 시티에 도입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종합적인 도시 서비스로는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스마트 시티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핵심 문제로 부각된, 데이터 공유문제, 서비스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딥러닝 기술을 스마트 시티 서비스에 접목한 "딥러닝 시티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도시 여러 영역의 시공간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하고 여러 도시의 학습 데이터를 융합하는 새로운 스마트 시티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서울시 행복지수 분석 및 예측을 위한 실험 및 고찰 (Forthcoming Big Data in Smart Cities: Experiment for Machine Learning Based Happiness Estimation in Seoul City)

  • 신동윤;송유미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8-35
    • /
    • 2017
  • Cities have complex system composed diverse activities. The activities in cities have complex relationship that creates diverse urban phenomena. Big Data is emerging technology in order to understand such complex network.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such relations by analysing the diverse city indexes. 28 indexes were collected in 25 of districts in Seoul city and analysed to find a weighted correlation. By defining the correlation values of certain years, it tries to predict the missed index values, "happiness" of each districts in other years. The result presents that the overall prediction accuracy 70.25%. However, for further discussion, the result is considered that this methods may not enough to use in practice, since the data has inconstant accuracy by different learning years.

위치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활동인구 유형 및 유형별 지역 특성 분석 (Types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Human Dynamics in Seoul Using Location-Based Big Data)

  • 정재훈;남진
    • 국토계획
    • /
    • 제54권3호
    • /
    • pp.75-90
    • /
    • 2019
  • As the 24-hour society arrives, human activities in daytime and nighttime urban spaces are changing drastically, and the need for new urban management policies is steadily increasing.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oul's human dynamics using location-based big data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of human dynamics in Seoul repeats itself every 7 days. Second, the types of human dynamics in Seoul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nd each of type has its own unique time-series and local characteristics. Third, the degree of match between human dynamics and zoning system in urban planning legislation was highest in 'Type 1' residence pattern and low in other typ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se results.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eoul through the human dynamics and obtained meaningful results. Second, This paper can derive reliable and objective pattern analysis results using Big data that reflect the overall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ird, the scale of night-time activity in the urban space of Seoul was understood, and its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dentified.

수도권 도시철도 역사환승량 추정방안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여 - (Estimating Station Transfer Trips of Seoul Metropolitan Urban Railway Stations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

  • 이미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693-701
    • /
    • 2018
  • 수도권 도시철도의 환승통행은 '노선간환승'과 '역사환승'으로 구분된다. 역사환승은 1) 교통카드 Tag-In 단말기 운영노선과 초승열차 운영노선이 다른 경우와 2) 최종 하차열차 운영노선과 교통카드 Tag-Out 단말기 운영노선이 다른 경우에 발생한다. 기존연구에서 주로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한 환승량 추정은 '노선간 환승량'을 의미하며 '역사환승량'은 제외되어 환승통로를 이용하는 보행에 대한 과소추정의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해서 역사환승량을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승객의 경로선택모형에 역사환승량 산정에 적합하도록 변형된 Big-Node 기반 네트워크 구축기법과 자료구조 방법론을 제시한다. 1일 약 800만 건의 수도권 도시철도 이용카드자료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행한다.

도시성장분석상 위상영상자료와 구역자료의 통합이용에 관한 연구 (Urban Growth Analysis Through Satellite Image and Zonal Data)

  • 김재익;황국웅;정현욱;여창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2
    • /
    • 2004
  • 위성영상은 도시의 물리적 확산 및 변화를 예측하는데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시화된 지역이 어느 정도의 강도로 개발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밀도분석에는 적절치 못하다. 이는 위성영상이 미시적 공간단위로 토지이용 현황을 분석하는 반면 통계자료는 거시적 공간 단위로 구축되어 있어 통계자료를 미시적인 공간단위에 적용하는데 어려웠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자료와 통계청의 기초단위구라는 미시적 구역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성장분석상 이들 자료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대구광역시로 하였으며, 분석자료로 1985년과 2000년의 위성영상 Landsat TM-5 와 구역통계자료로 기초단위구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위성영상자료는 도시의 확산 그리고 기초단위구는 밀도 분석이 용이하여 도시성장에 따른 확산과 밀도변화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Innovation and Challenges of Urban Creative Products in Digital Media Art - Tourist cities in China for example

  • Ma Xiaoyu;Lee Jae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75-181
    • /
    • 2024
  • The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digital media art on urban creative products, analyz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digital era. It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urban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highlighting their significance and future growth potential. The digital media era provides unprecedented innovation opportunities, utilizing advanced tools for efficient design, production, and marketing. Trends like personalization, customization, AI, and big data offer new expressions and market prospects. Cultural products evolve in design, marketing, and sales channels due to digital media, with tools like social media and e-commerce platforms opening new promotion avenues. Case studies illustrate digital media's role in driving innovation and enhancing user experiences. The paper addresses challenges in market competition, copyright, and technological renewal, while recognizing opportunities from AI and big data. The creative industries must adapt and innovate to remain relevant. Looking ahead, urban creative products will evolve under digitalization, relying on digital means to attract consumers and enhance brand value. Cultural products, beyond economic entities, disseminate urban culture and creative spirit. In the digital era, urban creative products demonstrate potential and necessity, prompting a reevaluation of digital technology's role. Through continuous innovation, this field contributes to cultural and economic levels, impacting urban characteristics and heritage. Urban creative products play an increasingly vital role in the global cultural and creative economy.

토지주택분야 정보 현황과 빅데이터 연계활용 방안 (Utilizing Spatial Big Data for Land and Housing Sector)

  • 정연우;유종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1호
    • /
    • pp.19-29
    • /
    • 2016
  •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정책과 활용사례 조사, 공간 빅데이터의 토지주택 활용분야를 제시함으로써 토지주택분야의 미래 사업을 발굴하고, 정부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공간 빅데이터 기반 활용분야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관련 정책과 사례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정부3.0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정부부처의 각 정보를 빅데이터 기반 체계로 구축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공간정보 플랫폼을 통한 빅데이터의 적극적 활용,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공간 빅데이터 체계 구축을 추진 중이다. 둘째, LH에서 구축 및 운영하고 있는 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국토정보의 현황과 토지주택분야에서의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정보시스템은 크게 공사업무지원, 통계조회, 부동산정보조회, 온라인민원, 국가정책지원 분야로 구분되며, 주요 활용분야 도출의 기본방향으로는 국토정보(DB), 활용수요(업무영역), 수익창출(사업모델) 측면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기본방향 설정 후 접근방법으로서 업무분야와 업무절차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지역개발사업 후보지 선정, 임대주택 운영 및 관리, 토지비축 우선순위 설정, 도시재생 우선순위 설정 등 4개의 활용분야를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한 4개의 활용분야에서 공간 빅데이터 활용체계를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와 적용방법, 각 활용분야별 분석절차를 제시하였으며, 공간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구현하기 위하여 LH에 요구되는 개선사항과 향후 검토방향을 제시하였다.

Where and Why? A Novel Approach for Prioritizing Implementation Points of Public CCTVs using Urban Big Data

  • Ji Hye Park;Daehwan Kim;Keon Chul Park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97-106
    • /
    • 2023
  • Citizens' demand for public CCTVs continues to rise, along with an increase in variouscrimes and social problems in cities. In line with the needs of citizen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began installing CCTV cameras in 2010, and the number of new installations has increased by over 10% each year. As the large surveillance system represents a substantial budget item for the city, decision-making on location selection should be guided by reasonable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xisting related models(such as public CCTV priority location analysis manuals)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foranalyzing priority regions ofSeoul-type public CCTVs and propose new mid- to long-term installation goals. Additionally, using the improved methodology, we determine the CCTV priority status of 25 autonomous districts across Seoul and calculate the goals. Through it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to existing models by addressing their limitations, such as the sustainability of input data, the conversion of existing general-purpose models to urban models, and the expansion of basic local government-level models to metropolitan government levels. The results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metropolitan areas and are us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its CCTV operation policy

보행행태조사방법론의 변화와 모바일 빅데이터의 가능성 진단 연구 - 보행환경 분석연구 최근 사례를 중심으로 - (Changes in Measuring Methods of Walking Behavior and the Potentials of Mobile Big Data in Recent Walkability Researches)

  • 김현주;박소현;이선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호
    • /
    • pp.19-2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alking behavior analysis methodology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paying attention to the demand for empirical data collecting for urban and neighborhood planning.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divided into (1)Recording, (2) Surveys, (3)Statistical data, (4)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ices, and (5)Mobile Big Data analysis. Next, we analyze the precedent research and identify the changes of the walkability research. (1)being required empirical data on the actual walking and moving patterns of people, (2)beginning to be measured micro-walking behaviors such as actual route, walking facilities, detour, walking are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end of research, it is analyzed that the use of GPS device and the mobile big data are newly emerged. Finally, we analyze pedestrian data based on mobile big data in terms of 'application' and distinguishing it from existing survey methodology. We present the possibility of mobile big data. (1)Improvement of human,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of data collection, (2)Improvement of inaccuracy of collected data, (3)Improvement of subjective intervention in data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4)Expandability of walking environment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