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incisors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8초

상악 편악 소구치발치와 양악 소구치발치에 의한 교정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법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re- and post-treatment cephalometric measurements: Upper premolar extraction only vs. upper/lower premolar extraction groups)

  • 김영석;김수정;강승구;이영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21-431
    • /
    • 2007
  • 상악 편악 소구치발치에 의한 교정치료는 임상적으로 상당히 많이 행해지고 있는 현실이지만 임상적 활용도에 비하여 그 보고는 희귀하다. 본 연구는 선택적 교정치료로 행해지는 상악 편악 소구치발치에 의한 교정치료 시 치료전후의 상, 하악 절치위치 및 입술위치 변화를 양악 소구치발치에 의한 교정치료의 치료 전후와 비교, 분석하여 편악발치에 의한 교정치료의 진단적 지침을 제시하고 치료 종료 후의 치료결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최근에 교정치료가 종료된 환자 중에서 초진 시 수평피개량이 7 mm 이상을 보이는 증례 중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고 판단되는 40증례를 선정하여, 교정치료의 목적으로 상악 제1소구치만을 발치하여 치료한 군(이하 편악발치군; Group 1, 20증례)과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여 치료한 군(이하 양악발치군; Group 2, 20증례)으로 나누어 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초진 시 편악발치군에서 양악발치군과 비교하여 하악 절치의 위치는 순측경사의 정도가 덜 하였으며 하순의 돌출도도 심하지 않았다. 치료종료 시 편악발치군에서 양악발치군과 비교하여 하악 절치의 위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두 군과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전후의 변화량 비교에서 상, 하악 절치의 이동량은 양악발치군에서 많게 관찰되었으며 하악 절치의 견인에 따라 하순의 돌출도 감소의 양도 양악발치군에서 크게 관찰되었다. 상순의 위치는 두 군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큰 수평피개를 갖는 증례에서 적절한 발치 선택을 위한 진단정보의 수집에 있어 상악 절치의 위치 및 상순의 돌출도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하악 절치의 위치와 하순의 돌출량은 큰 수평피개를 갖는 증례에 있어서 편악발치 혹은 양악발치를 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진단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큰 수평피개를 갖고 있는 환자 중 하악 절치의 순측경사가 심하지 않으며 하순의 돌출이 심하지 않은 안모를 갖고 있는 증례의 경우 편악발치에 의해 좋은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악매복견치의 진단 및 처치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OF MAXILLARY IMPACTED CANINE)

  • 경승현;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5-177
    • /
    • 1993
  • Upper canine is important because it protects and maintains the stability of the dental arch and also, joins the anterior with the posterior teeth. The incidence of impaction of upper canine is the second most frequent next to the third molar because i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to develop, and has a complicated path of eruption, and erupts lately. After the age of 10, clinical and radioglaphic examination can be used in revealing the possibility of impaction and efforts should be put to reduce the side effects. To prevent impaction, selective extraction of primary canine at the age of 8 to 9 could be considered and prolonged retention of primary canine in oral cavity should be avoided at this time. Once the impaction is iden, the first stage of the treatment is to lcocalize the lesion by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According to the severity, orthodontic traction or auto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comprehensiv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of malocclusion should be established. Generally, labial impaction is due to arch length discrepancy and palatal impaction is due to malposition or morphologic pathosis of lateral incisors rather than arch length discrepancy. In surgical procedure, peridontal problem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minimum amount of bone and soft tissue should be reduced and direct bonding method of many attachment methods should be recommended. Especially in traction of labially impacted canine, it should be guided to erupt through the keratinized zone and proper forced magnitude should be applied. The importance of periodontal condition should always be in mind following the patient education to mintain the good oral hygiene at each stage of treatment. Properly managed impacted canine can provide function and esthetic by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if extraction of canine is not indicated.

  • PDF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기와 비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orean Norm about tooth size and ratio in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 김대식;김영준;최재훈;한종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05-515
    • /
    • 2001
  • 대한치과교정학회 부정교합백서 발간위원회에서 보관중인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표본(남 22명, 여 55명)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과에서 부정 교합 백서 발간을 위하여 수집한 표본(남자: 21명)을 이용한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기의 계측과 비율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기의 평균치를 구하고, 조화로운 교합관계와 심미성의 획득에 기여하는 치아크기의 비율을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남녀 치아크기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2. 남녀간 치아크기의 평균치 비교에서 상하악 제1대구치를 제외한 치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자의 치아크기가 여자의 치아크기에 비하여 크게 계측되었다(p<0.05). 3. 계측된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기 평균치를 바탕으로 교정치료시 전치부에서의 적절한 수직피개도와 수평피개도, 구치부에서의 적절한 교합관계를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치아비율을 산출하였다. 1) Sum of incisors = 4 : 2.97 2) Neff anterior coefficient = 1.28 3) Bolton의 anterior ratio = 78.29%, overall ratio = 91.14% 4. 혼합치열기에서 맹출된 4전치 폭경의 합과 상하악 편측 미맹출 견치와 소구치 폭경의 합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 상관관계에 의해 상하악 편측 미맹출 소구치 폭경의 합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을 구하였다. 1) 미맹출 편측 상악 견치와 소구치 폭경의 합 예측 회귀방정식 = 10.435018 + 0.513346 ${\times}$ (하악 4전치의 합) 2) 미맹출 편측 하악 견치와 소구치 폭경의 합 예측 회귀방정식 = 9.654002 + 0.502565 ${\times}$ (하악 4전치의 합)

  • PDF

화성시 거주 유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치간 공극과 총생에 대한 예비연구 (Anterior Spacing and Crowding in the Primary Dentition in Hwaseong City : A Preliminary Study)

  • 한지예;황동환;최형준;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7-40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성시에 거주하는 유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공극과 총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한 명의 소아치과 전문의가 만 3 - 4세 유치열기 어린이들의 구강 내 임상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400명 중 237명이 포함 기준을 충족하였다. 전치부 공극의 유무는 인접면 접촉의 유무로 판단하였다. 상악에서 생리적 치간 공극이 관찰되는 어린이는 47.3%였으며, 하악에서는 38.0%였다. 양악 모두에서 접촉 혹은 총생의 치열을 보이는 어린이는 43.5%였다. 여아보다 남아에서 생리적 치간공극이 존재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상악에서는 영장류 공간이 발육공간에 비해 더 많이 발견되었으나, 하악에서는 그 차이가 적었다. 상악에서는 유중절치 사이에 공극이 있는 경우보다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사이에 공극이 있는 어린이가 더 많았으며, 반면 하악에서는 유중절치 사이에 공극이 있는 어린이가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사이 혹은 유측절치와 유견치 사이에 공극이 있는 어린이보다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3 - 4세 유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공극과 총생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 더 많은 표본으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치열기의 전치부 공극 혹은 총생은 어린이 개인에 따라, 성별에 따라, 악궁에 따라, 치간 위치에 따라 다른 정도를 보이므로, 치과의사는 유치의 치관부를 수복할 때 이에 대한 인식 하에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비발치로 치료한 제1급 부정교합자의 재귀현상에 관한 연구 (RELAPSE AND STABILITY : AN EVALUATION OF CLASS I MALOCCLUSION NONEXTRACTION THERAPY)

  • 김구순;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9-89
    • /
    • 1997
  • 이 연구는 제1급 총생치 부정교합자를 비발치로 치료한 후, 교정치료개시기에서부터 보정완료 후까지 장기간의 변화를 관찰하여 치열의 양적 변화와 그경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자료는 26명에 대한 교정치료개시, 교정치료 직후 빛 보정종료까지의 일련의 석고모형과 두부엑스선규격사진이었으며, 이들을 계측하고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1. 수직부피개의 재귀량은 치료량과 상관성이 있었다. 2. 상악견치간 폭경은 치료직후 확대된 증례에서는 안정성이 있었으나 감소된 증례에서는 재귀율이 컸다. 3. 하악견치간폭경은 치료직후 확대 혹은 축소에 관계없이 재귀율이 높았다. 4. 상하악 전치는 치료직후 순측경사를 보였고, 보정기간동안에 안정성이 있었다. 5. 치료직후 상하악 제1대구치는 대체로 원심경사하였으며 보정기간중에 원래의 위치로 재귀하였으며, 대구치간 폭경은 치료직후 약간 확대되어 보정기간중에 안정성을 보였다. 6. 비발치 치료증례의 보정은 하악 견치간 폭경의 유지에 유의하여야 하며, 하악치열궁의 확대는 해당악골의 생리적한계내에서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

피에르 로빈 증후군 환아의 전신마취 하 치아우식 치료 증례 보고 (DENTAL TREATMENT IN A PATIENT WITH PIERRE ROBIN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 A CASE REPORT)

  • 류지연;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이상훈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7-91
    • /
    • 2016
  • 저자는 소하악증으로 인해 기도유지가 어려우며 섭식 장애로 인한 다발성 우식을 보이는 피에르 로빈 증후군 환아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소하악증 및 구개열, 심방중격 결손, 새끼 손가락의 측만지증(clinodactyly), 외사시(exotropia) 등의 증상을 동반하고 있었으며, 신체 발육이 매우 저하된 상태로 섭식 장애로 인한 구강내 침식 및 다발성 우식의 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환아는 가벼운 자폐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어린 나이로 협조를 구하기가 어려웠고 광범위한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었으며 의식하 진정법시 하악의 발육 저하로 인한 기도 확보의 어려움이 예상되었기에 전신마취하 치과치료를 시행하였다. 피에르 로빈 증후군은 기도유지의 어려움과 섭식 장애로 구강위생 관리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나이가 듦에 따라 점차 정상적인 하악의 성장이 이루어지므로 행동조절에 의한 일상적인 치과 처치도 가능할 것이다.

상악 전치부에 발생한 여러 유형의 치아 외상 (DIVERSE DENIAL TRAUMA OF MAXILLARY ANTERIORS : CASE REPORT)

  • 임혜정;최남기;김선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8-163
    • /
    • 2005
  • 외상으로 인해 완전 탈구와 함입성 및 정출성 탈구가 병합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2003년 7월에 10세 2개월의 여아가 상악우측 측절치의 완전탈구와 상악우측 중절치의 함입성 탈구, 상악 좌측 중절치의 정출성 탈구로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일 외상치아를 외과적으로 재위치시켰으며 레진 강선 고정을 시행하였다. 외상 2주 후 완전탈구된 상악우측 측절치는 근관치료를 시행하였다. 외상 3개월 후 방사선사진 상에 상악 좌우측 중절치의 치근 외흡수가 관찰되었으며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근관치료를 시행한 후 치근 외흡수가 정지되었다. 1년 4개월 동안의 관찰기간 동안 병적인 변화 없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추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Study of soft tissue changes in the upper lip and nose after backward movement of the maxilla in orthognathic surgery

  • Seon, Suyun;Lee, Hyun-Woo;Jeong, Bong-Jin;Lee, Baek-Soo;Kwon, Yong-Dae;Ohe, J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6권6호
    • /
    • pp.385-392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s soft tissue changes of the upper lip and nose after maxillary setback with orthognathic surgery such as Le Fort I o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Materials and Methods: All 50 patients with bimaxillary protrusion and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underwent Le Fort I o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with backward movement.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were analyzed using cephalograms collected preoperatively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Cluster analysis on the ratios shows that 2 lines intersected at 4 mm point. Based on this point,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2 groups: Group A (less than 4 mm, 27 subjects) and Group B (more than 4 mm, 23 subjects). Also, each group was divided according to changes of upper incisor angle (≥4°=A1, B1 or <4°=A2, B2). The correlation between A and B groups for A'/ANS and Ls/Is (P<0.001) was significant; A'/A (P=0.002), PRN/A (P=0.043), PRN/ANS (P=0.032), and St/Is (P=0.010). Variation of nasolabial angl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f vertical movement and angle variation. Conclusion: The ratio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movement depends on the amount of posterior movement in the maxilla, showing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rates in most of the midface when posterior movement was greater than 4 mm. The soft tissue changes caused by posterior movement of the maxilla were little affected by angular changes of upper incisors. Interestingly, nasolabial angle showed a different tendency between A and B groups and was more affected by incisal angular changes when horizontal posterior movement was less than 4 mm.

포스트가 치근내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STRESS DISTRIBUTION OF ENDODONTICALLY TREATED TOOTH ACCORDING TO THE POST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이선형;최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80-790
    • /
    • 1996
  • The endodontically treated tooth is generally restored with post and core, owing to the brittleness and the loss of large amount of tooth structure. Although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about the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the three-dimensional quantitative studies about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m are in rare cases.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 coronal portion of the upper incisor had extensively damaged. After the root canal therapy it was post cored, and restored with PFG crown. The three-dimensional model, in which the root was supported with a normal alveolar bone, was constructed. Force was applied to the centric stop point with the angle of 135 degrees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Force was assumed to be 250N as functional maximum bite force of upper central incisors. The results analyzed with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were as follows : 1.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middle portion of the labial side dentin and the apical portion of the dentin. 2. Stress in the post was more concentrated on the post apex. 3. The displacement of the post at the post-cement interface was almost symmetrical la-bio-lingually. 4. It assumed that restoring extensively damaged tooth with a post-core and PFG crown is an adequate method of restoration.

  • PDF

하악전치발치를 통한 교정 (Lower Incisor Extraction for Dental Camouflage)

  • 이원유;이영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61-668
    • /
    • 1997
  • 치열의 crowding을 해소하는 방법에는 크게 발치, 비발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발치로 교정하는 경우 주로 고려되는 발치대상 치아는 제1, 2 소구치이며 그 다음이 제2 대구치, 하악전치, 제1대구치등 이다. 하악전치의 발치는 소구치 발치가 여의치 않을 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ase를 잘 선택한다면, 치료시간도 줄일 수 있고, 간편하게,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직 이에 대한 국내 연구와 보고가 활발하지 않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