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Third Molar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 땃쥐속 우수리땃쥐 Crocidura lasiura와 작은땃쥐 C. suaveolens, 뒤쥐속 뒤쥐 Sorex caecutiens의 치아형태와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를 이용한 법랑질 표면의 정성적 분석 비교 (Comparative Tooth Morphology and Qualitative Analysis on the Enamel Surface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in the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lasiura and C. suaveolens and the Red-Toothed Shrew Sorex caecutiens from Korea)

  • 정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3-212
    • /
    • 2013
  • 한국 땃쥐속 우수리땃쥐 Crocidura lasiura와 작은땃쥐 C. suaveolens, 뒤쥐속 뒤쥐 Sorex caecutiens의 치아형태와 법랑질 표면의 함유물을 EDX를 이용하여 정성 분석하였다. 우수리땃쥐와 작은땃쥐의 경우, 치식은 I3/1 C1/1 P1/1 M3/3=28이었고,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는 5개의 교두들로 만들어진 균형이 맞지 않는 W형을 가지고 있었고, 상악 제3 대구치는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3/1크기였으며, 상악 제1절치는 2개의 다른 크기의 갈고리 모양이었으며, 하악 제1 절치는 매끈하였다. 뒤쥐의 경우, 치식은 I3/1 C1/1 P3/1 M3/3=32이었고,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 구치는 균형이 맞는 W형을 가졌고 상악 제3대구치는 다른 대구치의 약 절반 크기였으며, 상악 제1절치는 2개의 비슷한 크기의 갈고리 모양이었으며 하악 제1절치는 매끈하지않은 톱니모양이었다. 치아와 두개골 측정치 비교에서 우수리땃쥐가 3종 중 가장 컸으나(p<0.001), 작은땃쥐와 뒤쥐는 크기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EDX를 이용한 하악 제1절치와 하악 제1대구치의 법랑질 표본의 정성적 분석으로부터, C, O, P, Ca, Cu가 모든 표본에서 검출되었고 Pb는 몇몇 표본에서만 검출되었다. 3종들에서 이들의 함유량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Fe는 붉게 착색된 치아를 가지는 뒤쥐의 법랑질 표면에서만 검출되었다. 따라 서 Fe가 치아의 붉은 착색의 원인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치아 끝의 색을 포함한 치아 형태학적 특징들이 땃쥐속과 뒤쥐속의 분류키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역별 분만서비스 접근도에 따른 산과적 합병증 비교 (Obstetric Complications by the Accessibility to Local Obstetric Service)

  • 최영현;나백주;이진용;황지혜;임남구;이성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1호
    • /
    • pp.14-24
    • /
    • 2013
  • 이 연구는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획득한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전국 232개 시군구 지역의 분만 및 합병증 청구 자료를 바탕으로 산모가 자신의 거주 지역 내 외에서 출산하는 비율과 산과적 합병증과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생태학적 연구이다. 산모가 본인의 거주 지역 밖에서 출산하는 비율인 관외분만율은 정도에 따라 저도 관외분만율 지역, 중등도 관외분만율 지역, 고도 관외분만율 지역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산과적 합병증은 '유산, 자궁외 임신 및 기태임신에 따른 합병증율', '유산율', '자간증율'을 구하였다. 관외분만율에 따른 산과적 합병증의 일원배치 분산분석에서 저도 및 중등도 관외분만율 지역보다 고도 관외분만율 지역이 '유산, 자궁외 임신 및 기태임신에 따른 합병증율'과 '자간증율'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5), 산과적 합병증 각각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유산, 자궁외 임신 및 기태임신에 따른 합병증율'은 고도 관외분만율 지역(분만서비스 접근 취약지역)이 기타 지역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자간증율'은 고도 관외분만율 지역에서 그리고 1인당 지방세납입액이 낮은 지역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 연구를 통해 분만서비스 접근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산모에서 산과적 합병증이 높음을 나타냈고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세워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응급 대응 및 산전관리의 충실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대안이 정책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 연구는 시군구를 분석 단위로 한 생태학적 연구이므로 산전관리 수진 및 산과적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에서의 요인들까지 고려되지 못한 점은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추후 산전관리 및 산과적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산모 개인수준에서의 요인들까지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고기능성 폴리머(PEKK) 지대주를 이용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with high-performance polymer (PEKK) abutments in partial edentulous patients: A case report)

  • 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71-78
    • /
    • 2021
  • 완전무치악 환자한테 처음으로 시도되었던 임플란트 보철치료는 현재는 단일치아 상실된 경우까지 그 활용범위가 넓어졌으며, 임플란트 보철치료는 현대 치과에서는 거의 필수적인 치료방법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도 초기에 비해 다양해졌는데, 그 중 하나가 고기능성 폴리머의 적용이다. 예전부터 의과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던 고기능성 폴리머를 치과에서도 시도하는 빈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에 고기능성 폴리머를 구치부 임플란트 지대주로 사용한 3가지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첫번째 증례는 하악 좌측 제2소구치가 상실된 부위에 PEKK 지대주 및 PFG 크라운(시멘트-나사-유지형)을 제작, 장착하였으며, 두번째 증례는 상실된 상악 좌측 제1대구치 부위에 PEKK 지대주 및 monolithic zirconia 크라운(시멘트-나사-유지형)을 제작, 장착하였으며, 마지막 증례는 상악 우측 제1,2 대구치 상실부위에 PEKK 지대주 및 splinted PFM 크라운(시멘트-나사-유지형)을 제작하여 장착하였다. 4년의 추적 관찰 결과 상기 환자 모두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소아·청소년 환자의 매복치 특성과 치료에 관한 연구 (A Statist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atients with Tooth Impaction)

  • 조완선;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06-313
    • /
    • 2014
  • 매복치란 맹출 연령임에도 맹출이 되지 않았거나,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해 완전한 맹출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치아이다. 매복치는 치근 변위와 흡수, 인접치의 치주적 문제, 재발성 통증, 낭종의 형성과 같은 잠재적인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상악 전치부의 경우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조선대학교 치과 병원에 내원하여 매복치로 진단 받은 15세 이하의 소아 청소년 환자의 매복치 특성과 치료에 대해 분석해 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매복 제3대구치, 매복 과잉치, 매복 유치를 제외한 3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명의 조사자가 환자의 전자 차트 기록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통해 매복치아의 위치, 매목의 원인, 치료방법, 견인치료 기간 등을 조사 하였다. 매복의 빈도는 다음과 같았다 : 상악 견치, 상악 절치, 하악 소구치, 상악 소구치, 하악 견치. 치아 매복의 원인으로는 치배 위치나 맹출 경로 이상(38.04%), 국소적 병소의 존재(35.01%)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매복치의 치료로는 교정적 견인(46.01%)가 가장 많았다. 국소적 병소 같은 명확한 방해요인이 있는 경우 견인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났으며, 상악 절치의 경우가 매복 상악 견치보다 짧은 견인기간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교정적 견인의 성공률은 96.7%였으며, 5증례가 실패하였다. 3증례는 장치협조도 불량으로 인한 것 이었으며, 2증례는 치아 유착으로 인한 실패였다. 매복치의 견인은 연령이 증가 할수록 불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정기적 검진을 통한 조기의 진단과 적절한 치료계획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소아 청소년 환자의 성공적인 교정적 견인 치료를 위해서는 환아의 협조도가 특히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부분 무치증 환아의 증례보고 (OLIGODONTIA : CASE REPORT)

  • 손정민;최남기;김선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58-665
    • /
    • 2007
  • 부분 무치증은 제 3대구치를 제외한 6개 이상의 선천적 치아 결손으로 정의된다. 제3대구치를 제외한 선천적 치아 결손의 유병율은 $1.6{\sim}9.6%$이며 부분 무치증의 유병율은 $0.08{\sim}1.1%$이다. 가장 많이 이환되는 치아는 하악 제 2소구치이며 그 다음은 상악 측절치, 상악 제2소구치 순으로 호발하며 영구치에 비해 유치에서는 드물고 여성에게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부분 무치증은 외배엽 이형성증과 같은 특정 증후군과 연관되거나 치판의 생리적인 장애나 파열, 공간적 제한, 치성상피의 기능적인 비정상, 기저 간엽세포의 유도 실패나 유전적 영향 등의 원인에서 유래된다고 알려져 있다. 부분 무치증은 안모의 심미적 문제와 함께 치아의 교합 이상 등 기능적인 장애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임상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계획이 요구된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특별한 전신질환이 없는 부분 무치증 환아의 구강내 소견 및치료경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악교정술을 요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ON ORTHOGNATHIC SURGICAL GASES WITH SKELETAL GLASS III MALOGGLUSION)

  • 임한호;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9-201
    • /
    • 1998
  •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안모형태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 74명 (남자 38명, 여자 3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악교정 수술을 통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가 진단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성인 45명 (남자 23명, 여자 22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Burstone & Legan방법에 의해 각각의 계측항목별로 남여를 비교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는 함몰된 안모를 지니고 있었고 (P<0.001), 여자에서 뚜렷한 상악골 열성장 (P<0.nt)과 하악골 과성장 (P<0.01)을 보인 반면, 남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고 상,하악골 연조직의 전,후방적인 비교에서는 특징적으로 남자는 하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전방돌출 (P<0.001), 여자는 상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후퇴 (P<0.001)을 보였는데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는 하악골 과성장, 여자는 상악골 열성장에 의해 주로 기인됨을 알 수 있다. 2.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지닌 남여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MP-HP 각과 genial angle이 커서 하악골의 전하방 과성장을 보인 반면, ramus height는 남여 모두에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며, 상악중절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되어 있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을 위한 술전교정 치료시 이러한 치성보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골격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것을 의미한다. 3. 여자에서 상안면고경에 비해 하안면고경이 특징적으로 짧았고, 남자의 lower facial throat angle이 특징적으로 작았다.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에서는 하악골의 과다한 하방 성장및 긴 목, 여자에서는 하악골의 전방으로의 과다성장및 짧은 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치은 염증 상태에 따른 치주낭 측정 깊이와 방사선학적 측정 깊이, 외과적 측정 깊이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BING ATTACHMENT LEVEL, RADIOGRAPHIC AND SURGICAL MEASUREMENT ACCORDING TO GINGIVAL INFLAMMATORY CONDITION)

  • 백동훈;채중규;조규성;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61-27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ationship of probing attachment levels, radiographic measurements and surgical measurements according to gingival inflammatory condition. Patients with incipient to moderate periodontitis were selected. Upper and lower premolar and molar teeth excluding third molars were measured. At first visit, gingival index and bleeding on probing were taken, and subjects were grouped into 4 categories as follows : Experimental group I : gingival index 1 and no bleeding on probing. Experimental group II : gingival index 2 and no bleeding on probing absent. Experimental group III : gingival index 1 and bleeding on probing present. Experimental group IV : gingival index 2 and bleeding on probing present. Probing attachment levels were measured with manual probe on mesial and distal surfaces from cementoenamel junctions to terminal ends of probe. Radiographic measurements were made to assess bone loss by measuring the distance from cementoenamel junction to the alveolar crest. After thorough scating, a flap was raised exposing the alveolar bone and surgical measurements were made from cementoenamel junction to alveolar b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ces between probing attachment level and radiographic measurements showed $1.01{\pm}0.73mm$ for experimental group I, $0.98{\pm}0.48mm$ for experimental group II, $0.59{\pm}0.66mm$ for experimental group III, $0.98{\pm}0.38mm$ for experimental group IV an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2. Differences between probing attachment level and surgical measurements showed $1.36{\pm}0.80mm$ for experimental group I, $1.47{\pm}0.54mm$ for experimental group II, $1.06{\pm}0.39mm$ for experimental group III, $1.41{\pm}0.40mm$ for experimental group IV an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3. Differences between surgical and radiographic measurements showed $0.36{\pm}0.48mm$ for experimental group I, $0.51{\pm}0.54mm$ for experimental group II, $0.57{\pm}0.72mm$ for experimental group III, $0.41{\pm}0.49mm$ for experimental group IV an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I and experimental group II, III, IV(P<0.05).

  • PDF